목차
1.교직의 개념
2.교직의 전문성
1) 전문직의 기준
2) 교직의 전문성 이유
3.유아교직의 특성
4.유아교직의 매력과 한계
1) 유아교직의 매력
2) 유아교직의 한계
2.교직의 전문성
1) 전문직의 기준
2) 교직의 전문성 이유
3.유아교직의 특성
4.유아교직의 매력과 한계
1) 유아교직의 매력
2) 유아교직의 한계
본문내용
사랑을 기반으로 하여 어린이를 인도하는 것을 본분으로 삼고 있 으며, 자기 자신의 이득이나 이해관계를 생각하기에 앞서서 제자의 성장과 발달에 정 성은 쏟아야 할 석이 기대되고 있다.
⑤ 유아교직은 계속적인 자기 갱신을 통하여 고도의 자아실현을 도모하기에 적절한 직업이라는 데 또 하나의 매력이 있다.
☞ 매슬로우가 지적한 바와 같이 자아실현은 인간의 최고 욕구이고 목표이다. 누구나 이 를 희구하고 실현하기를 원한다. 인간의 자아실현은 자기의 능력과 소질에 따라서 여 러 가지 길이 있다. 어떤 직업에 있어서나 그 직업에서 높은 경지에 도달하면 거기에 서 자기의 능력을 발휘하고 사회발전에 공헌하며 스스로 보람을 느낄 수 있는데 그것 이 바로 자아실현인 것이다.
교직은 자아실현을 촉진하는데 어느직 보다도 유리한 직업이다. 교직의 성격상 유아를 지도하는 것이 곧 스스로 수양을 쌓고 학습하는 과정이며, 생활 그 자체가 자기 향상 과 직결되는 것이다. 자기의 능력과 적성만 적합하다면 교직은 다른 어느 직업보다도 끊임없는 자기갱신과 자기향상을 추구할 수 있는 길리 될 수 있다.
2) 유아교직의 한계
① 교원에 대한 처우가 미흡하다.
☞ 청빈(淸貧)한 직업이라고 미화되기도 하지만, 사회ㆍ경제적 지위가 우대되어야 한다고 유네스코 등에서 국제적으로 이미 확인되어졌다.
② 교직 생활이 변함없이 단조롭다.
☞ 교원은 심리적ㆍ내면적 세계에서는 부단한 창조와 개혁을 경험하는 직업이지만, 가시 적 변화는 좀처럼 찾기가 힘들다.
③ 교직자에 대한 사회의 도덕적, 윤리적 규제가 강하다.
☞ 교직자를 성인군자, 도덕자, 완벽한 인간으로 보는 경향으로 교사의 행동의 자유를 제 한하고 교사로 하여금 심리적 압박감을 갖게 한다.
④ 교직자는 일반인과는 다른 인내력이 필요하다.
☞ 지적, 정서적, 사회적으로 다른 유아를 인격적으로 대하고 그들의 개성을 존중하여 능 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려면 남다른 수양 및 인내와 노력이 필요하다. 정영수 외(1998), 교사와 교육, 서울: 문음사
Lortie, D. C. (1975). School teacher: A sociological study.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진동섭(옮김 ) (1993), 교직사회 : 교직과 교사의 삶, 양서원
http://www.happycampus.com/pages/2002/05/01/D1085173.html(본문)
⑤ 유아교직은 계속적인 자기 갱신을 통하여 고도의 자아실현을 도모하기에 적절한 직업이라는 데 또 하나의 매력이 있다.
☞ 매슬로우가 지적한 바와 같이 자아실현은 인간의 최고 욕구이고 목표이다. 누구나 이 를 희구하고 실현하기를 원한다. 인간의 자아실현은 자기의 능력과 소질에 따라서 여 러 가지 길이 있다. 어떤 직업에 있어서나 그 직업에서 높은 경지에 도달하면 거기에 서 자기의 능력을 발휘하고 사회발전에 공헌하며 스스로 보람을 느낄 수 있는데 그것 이 바로 자아실현인 것이다.
교직은 자아실현을 촉진하는데 어느직 보다도 유리한 직업이다. 교직의 성격상 유아를 지도하는 것이 곧 스스로 수양을 쌓고 학습하는 과정이며, 생활 그 자체가 자기 향상 과 직결되는 것이다. 자기의 능력과 적성만 적합하다면 교직은 다른 어느 직업보다도 끊임없는 자기갱신과 자기향상을 추구할 수 있는 길리 될 수 있다.
2) 유아교직의 한계
① 교원에 대한 처우가 미흡하다.
☞ 청빈(淸貧)한 직업이라고 미화되기도 하지만, 사회ㆍ경제적 지위가 우대되어야 한다고 유네스코 등에서 국제적으로 이미 확인되어졌다.
② 교직 생활이 변함없이 단조롭다.
☞ 교원은 심리적ㆍ내면적 세계에서는 부단한 창조와 개혁을 경험하는 직업이지만, 가시 적 변화는 좀처럼 찾기가 힘들다.
③ 교직자에 대한 사회의 도덕적, 윤리적 규제가 강하다.
☞ 교직자를 성인군자, 도덕자, 완벽한 인간으로 보는 경향으로 교사의 행동의 자유를 제 한하고 교사로 하여금 심리적 압박감을 갖게 한다.
④ 교직자는 일반인과는 다른 인내력이 필요하다.
☞ 지적, 정서적, 사회적으로 다른 유아를 인격적으로 대하고 그들의 개성을 존중하여 능 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려면 남다른 수양 및 인내와 노력이 필요하다. 정영수 외(1998), 교사와 교육, 서울: 문음사
Lortie, D. C. (1975). School teacher: A sociological study.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진동섭(옮김 ) (1993), 교직사회 : 교직과 교사의 삶, 양서원
http://www.happycampus.com/pages/2002/05/01/D1085173.html(본문)
추천자료
교직의 성격과 교권확립
교직의 성격과 직업의 분류
교육학개론(교직과 교사, 민주주의와의 교육)
교사관, 교직관 (교생실습)
어린이집 원장의 교직경험이야기
[교직실무] 교원능력개발평가 자료
보육교사의 교직주기에 따른 발달특성에 대해 정리.
(교직실무 D) 생활주제별 교육계획안 작성에 대해 논하시오(기본 작성 원리, 들어가야 할 구...
2016년 2학기 교직실무 중간시험과제물 D형(생활주제별 교육계획안)
2016년 2학기 교직실무 중간시험과제물 C형(유치원 교육과정 운영계획)
(교직실무 D형) 생활주제별 교육계획안 작성에 대해 논하시오(기본 작성 원리, 들어가야 할 ...
[2017 교직실무3D] 유치원평가의 변화과정을 서술하시고 발전방향을 제언하시오 [인용, 출처...
2017년 2학기 교직실무 중간시험과제물 E형(유치원 교사를 위한 연수과정)
방통대 중간과제 교직실무 B형 유치원 장학에 대해 서술하시오, (장학의 개념, 기본 방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