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탕
柴胡三錢, 黃芩 桂枝各二錢, 半夏一錢, 甘草四分, 薑三片, 棗二枚, 水煎하여 溫服하니라.
시호삼전 황금 계지각이전 반하일전 감초사분 강삼편 조이매 수전하여 온복하니라.
시호 12g, 황금 계지 8 각각g, 반하 4g, 감초 1.2g과 생강 3조각과 대추 2매를 물에 달여서 따뜻하게 복용한다.
治半表裏證의, 盜汗 身熱하여 不欲去衣와, 及不滿 不硬하고, 但心下의 妨悶을, 謂之支結하니라.
치반표리증의 도한 신열하여 불욕거의와 급불만 불경하고 단심하의 방민을 위지지결하니라.
시호가계탕은 반표반리증의 도한 신열을 치료하고, 옷을 벗고자 하지 않고, 그득하지도 않고 단단하지도 않고 다만 심하부의 방해되고 답답함을 그것을 일컬어 지결이라고 말한다.
≪百證≫에 云하되: 若有頭疼 惡寒者는, 小柴加桂値千金이라 하니라.
백증에 운하되 약유두동 오한자는 소시호가계치천금이라 하니라.
상한백증에서 말하길 만약 두통과 오한이 있는 환자는 소시가계탕의 가치가 천금과 같다고 하였다.
柴胡桂薑湯
시호계강탕
柴胡三錢, 桂枝 牡蠣各一錢半, 天花粉 黃芩各二錢, 乾薑一錢, 甘草八分, 水煎하여 溫服하니라.
시호삼전 계지 모려각일전반 천화분 황금각이전 건강일전 감초팔분 수전하여 온복하니라.
시호계강탕은 시호 12g, 계지 모려 각각 6g, 천화분 황금 각각 8g, 건강 4g, 감초 3.2g을 물에 달여 따뜻하게 복용한다.
方意는 以傷寒五六日에, 已經汗下하면 則邪當解어늘, 其胸滿 微結 心煩 寒熱往來하여, 邪在半表 半裏라,
방의는 이상한오육일에 이경한하하면 즉사당해어늘 기흉만 미결 심번 한열왕래하여 사재반표 반리라.
시호계강탕의 처방 뜻은 상한병 5~6일에 이미 발한 사하를 경과하면 사기가 응당 풀어지거늘 가슴이 그득하고 약간 맺히고, 심번하고 한열이 왕래하여 사기가 반표반리에 있다.
凡小便이 不利而渴者는 必嘔어늘, 今便利하고 渴而不嘔者는 裏無熱也오,
범소변이 불리이갈자는 필구어늘 금변리하고 갈이불구자는 리무열야오.
소변이 불리하고 갈증이 있으면 반드시 구토하거늘 지금 소변이 잘 나가고 갈증이 있고 구토하지 않으면 속에 열이 없음이다.
傷寒에 汗出則和어늘 今但頭汗出하고 而他處無者는 津液이 不足而陽虛也라.
상한에 한출즉화어늘 금단두한출하고 이타처무자는 진액이 부족이양허야라.
상한병에 땀이 나고 조화롭거늘 지금 다만 머리에서만 땀이 나고 다른 곳은 없는 환자는 진액이 부족하고 양이 허약해서이다.
是以로 用柴芩之苦하여 以解傳表之邪하다.
시이로 용시금지고하여 이해전표지사하다.
그래서 시호 황금의 고미를 사용하여 전수한 표부의 사기를 풀어준다.
桂甘之辛甘으로 以散在表之邪하다,
계감지신감으로 이산재표지사하다.
계지 감초의 신감미로 표부에 있는 사기를 발산한다.
牡蠣之鹹으로 以消胸脇之滿하다,
모려지함으로 이소흉협지만하다.
모려의 함미로 가슴과 옆구리의 그득함을 꺼준다.
姜[薑]之辛으로 以收陽虛之汗하다,
포강지신으로 이수양허지한하다.
구운 건강의 신미로 양허의 땀을 수렴한다.
天花粉之苦로 以生津液이니라.
천화분지고로 이생진액이니라.
천화분의 고미로 진액을 생성케 한다.
柴胡三錢, 黃芩 桂枝各二錢, 半夏一錢, 甘草四分, 薑三片, 棗二枚, 水煎하여 溫服하니라.
시호삼전 황금 계지각이전 반하일전 감초사분 강삼편 조이매 수전하여 온복하니라.
시호 12g, 황금 계지 8 각각g, 반하 4g, 감초 1.2g과 생강 3조각과 대추 2매를 물에 달여서 따뜻하게 복용한다.
治半表裏證의, 盜汗 身熱하여 不欲去衣와, 及不滿 不硬하고, 但心下의 妨悶을, 謂之支結하니라.
치반표리증의 도한 신열하여 불욕거의와 급불만 불경하고 단심하의 방민을 위지지결하니라.
시호가계탕은 반표반리증의 도한 신열을 치료하고, 옷을 벗고자 하지 않고, 그득하지도 않고 단단하지도 않고 다만 심하부의 방해되고 답답함을 그것을 일컬어 지결이라고 말한다.
≪百證≫에 云하되: 若有頭疼 惡寒者는, 小柴加桂値千金이라 하니라.
백증에 운하되 약유두동 오한자는 소시호가계치천금이라 하니라.
상한백증에서 말하길 만약 두통과 오한이 있는 환자는 소시가계탕의 가치가 천금과 같다고 하였다.
柴胡桂薑湯
시호계강탕
柴胡三錢, 桂枝 牡蠣各一錢半, 天花粉 黃芩各二錢, 乾薑一錢, 甘草八分, 水煎하여 溫服하니라.
시호삼전 계지 모려각일전반 천화분 황금각이전 건강일전 감초팔분 수전하여 온복하니라.
시호계강탕은 시호 12g, 계지 모려 각각 6g, 천화분 황금 각각 8g, 건강 4g, 감초 3.2g을 물에 달여 따뜻하게 복용한다.
方意는 以傷寒五六日에, 已經汗下하면 則邪當解어늘, 其胸滿 微結 心煩 寒熱往來하여, 邪在半表 半裏라,
방의는 이상한오육일에 이경한하하면 즉사당해어늘 기흉만 미결 심번 한열왕래하여 사재반표 반리라.
시호계강탕의 처방 뜻은 상한병 5~6일에 이미 발한 사하를 경과하면 사기가 응당 풀어지거늘 가슴이 그득하고 약간 맺히고, 심번하고 한열이 왕래하여 사기가 반표반리에 있다.
凡小便이 不利而渴者는 必嘔어늘, 今便利하고 渴而不嘔者는 裏無熱也오,
범소변이 불리이갈자는 필구어늘 금변리하고 갈이불구자는 리무열야오.
소변이 불리하고 갈증이 있으면 반드시 구토하거늘 지금 소변이 잘 나가고 갈증이 있고 구토하지 않으면 속에 열이 없음이다.
傷寒에 汗出則和어늘 今但頭汗出하고 而他處無者는 津液이 不足而陽虛也라.
상한에 한출즉화어늘 금단두한출하고 이타처무자는 진액이 부족이양허야라.
상한병에 땀이 나고 조화롭거늘 지금 다만 머리에서만 땀이 나고 다른 곳은 없는 환자는 진액이 부족하고 양이 허약해서이다.
是以로 用柴芩之苦하여 以解傳表之邪하다.
시이로 용시금지고하여 이해전표지사하다.
그래서 시호 황금의 고미를 사용하여 전수한 표부의 사기를 풀어준다.
桂甘之辛甘으로 以散在表之邪하다,
계감지신감으로 이산재표지사하다.
계지 감초의 신감미로 표부에 있는 사기를 발산한다.
牡蠣之鹹으로 以消胸脇之滿하다,
모려지함으로 이소흉협지만하다.
모려의 함미로 가슴과 옆구리의 그득함을 꺼준다.
姜[薑]之辛으로 以收陽虛之汗하다,
포강지신으로 이수양허지한하다.
구운 건강의 신미로 양허의 땀을 수렴한다.
天花粉之苦로 以生津液이니라.
천화분지고로 이생진액이니라.
천화분의 고미로 진액을 생성케 한다.
추천자료
浮沈升降 수토 병법 단계 상한용약부 도씨충화탕 고강부탕 계지가대황탕 계지가작약탕
과루근탕 복령백출탕 강활승습탕 마행의감탕 행인탕 오적교가산 출부탕 감초부자탕 한방기탕 ...
葛根芩連湯 귤피죽여탕 광활부자탕 귤피건강탕 대귤피탕 대반하탕 생강즙반하탕 적복령탕 도...
三黃附子탕 반하사심탕 감초사심탕 생강사심탕 선복화대자석탕 계지인삼탕 빈랑탕 지경이진탕...
의종금감 상한심법요결 계지가부자탕 진무탕 갈근탕 백호탕 소시호탕
의학입문 내상잡병 冒風 중한 서 중서 모서 서풍 서궐
흉막삼출증의 임상례와 서양의학 한의학적 고찰 및 치료
명나라 방유집이 편찬한 상한론조변 2권 28-35조문 한문 및 한글번역
방유집이 편찬한 상한론조변 2권 五二-57조문 한문 및 한글번역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