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제태연령
2.양수과다증
3.양수과소증
4.출혈
5.임신생태변화
2.양수과다증
3.양수과소증
4.출혈
5.임신생태변화
본문내용
기다리는 상태에 들어가게 된다. 이때 분만에 대해 구체적으로 생각하여 준비를 시작한다. 육아에 대한 독서를 하며 이상적인 부모가 되는 것에 대해 생각하게 된다. 자신에 대한 요구는 내면화되고 아기에 대한 생각으로 가득하게 된다. 자신이 부모가 되는 문제에 대해 생각하면서 자연히 자신의 어렸을 때의 일과 양친상 등에 대한 편견이 있어서 주위에 대해 자기중심적이고 이기적인 생태도 보이게 된다. 임부의 기분은 뚜렷한 이유없이 유쾌한 상태에서 우울하게 되고 때로는 행복감에 젖거나 꿈꾸는 듯 환상에 잡히기도 한다. 이러한 임부자신의 편견은 때로 그의 주위의 사람과의 사이에 문제를 일으키기도 하고 지나친 애정과 관심을 원하게 됨으로 이것이 약간 비정상적인 듯 하나 보편적인 것으로 더욱 세심한 간호가 요구된다.
2. 신체적 변화
1) 자궁
자궁은 증대하여 태아에게 영양을 공급하고 태아를 보호. 무게와 크기가 다 증가하고, 용적이 500에서 1,000배까지 늘어난다고 했다.
무게: 60gm에서 1,100gm으로 증가.
대개 임신 20주 전에 전체의 2/3가 증가된다.
《자궁의 크기변화》
임신말기 기존근육세포가 늘어지고, 이상비대 현상이 나타난다.
혈관, 임파관, 신경조직등의 증대현상이 나타나며, 특히 정맥의 증대는 더욱 심하다.
크기를 보면, 처음의 7.6×5.1×2.5㎝(3×2×1(inch))로 나타난다. 특히, 임신후 근육섬유의 증식에서, 길이는 10배가 늘어나고, 두께는 5배로 늘어난다. 기존했던 근육섬유의 이러한 증식과 새로운 세포의 생성으로 자궁은 증대 된다.
특히, 자궁경부를 향한 내구측의 근육섬유의 증식이 심하며, 출산시에 밀착되었던 윤상근의 경부개구 현상이 나타난다.
실질층: 근육섬유가 상행과 종행으로 되어 사방으로 뻗쳐서, 자궁으로 들어오는 혈관을 압박, 위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작용은 분만후 자궁의 혈관을 위축시키므로, 제3기 동안의 출혈을 막아준다.
최외층: 근육섬유조직은 종행으로 나열되어, 경관에서 시작해서 전면을 덮고, 상행하여 자궁저부로 가서, 경관의 후벽까지 내려간다. 분만중 이종행 근섬유조직의 수축은 자궁협부의 상층 체부쪽은 두껍고 짧아지게 하며, 협부아래 경관은 길어지게 한다. 자궁의 근층은 3층으로 최외층은 덮개처럼 생긴 장막층이며, 내측은 괄약근과 같은 근섬유로 되어 내구를 형성, 경관내구까지 이른다.
외층과 내층사이는 혈관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중층은 자궁벽의 중요한 기저가 되는 곳으로, 혈관과 혈관사이를 잇는 망상형의 근섬유로 되어있고, 각 근성유의 세포는2중으로 굴곡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봐서, 자궁은 처음에 서양배 모양에서 원형으로 되었다가 임신 3개월이 지나면서 종 타원형으로 커진다. 임신4개월에는, 자궁의 저부가 골반과 제와의 중간에 있게 된다.
또 자궁은 임신 초기부터 불규칙 무통성 수축운동을 하는데, 이를 Braxton Hrcks contrac-tion이라고 한다. 약간의 규칙성 수축 작용도 계속 보인다. 신경섬유의 증대로 경관 후측에 있는 하우스씨 경신경절도 처음의 2.5㎝×2㎝에서 3.5㎝×6.5㎝로 된다.
2). 자궁의 혈액 공급
임신중 자궁은 대단히 많은 혈액 공급을 받게 되는데, 특히 태반측 자궁벽 쪽으로 가는 혈액은 더욱 증가된다고 본다. 임신말기에 자궁내에 포함되는 혈액량은 1,500㎖정도 된다고 한다. 특히, 자궁 실질 조직내로 들어가는 말초혈관은 코일과 같은 나선형으로 꼬부라진 맥관형동맥으로서, 이것이 더욱 증대되어 자궁으로 들어가는 혈액량을 최대화시킨다.
임신말기, 자궁으로 흘러 들어가는 혈액량은 1분에 500㎖~1,500㎖가 되며, 이 혈액의 산소 소비량은 10주 때에 분당 5cc, 28주때에 분당 22cc로 증가된다. 이렇게 최대화 하므로 태아의 성장, 신진대사, 태반기능등을 정상적으로 유지시킨다. 또 임신중에는 자궁협부에서 아랫쪽 경부까지의 조직이 상당히 신전되어, 말기에는 경관내구에서 체부측의 사이 조직은 7.6㎝에서 8.6㎝로 늘어난다. 그러나 이 협부측의 조직 발달은 체부측처럼 잘 발달 증대하지는 못한다. 임신말기가 되면 이곳의 조직이 상당히 유연해지고 신전되므로 태아의 선진부가 이곳으로 내려 앉는다.
3). 자궁경관
더욱 유연해지며 약간 푸른색을 띠게된다. 특히 경관에 있는 포도송이와 같은 분비선에서는 끈적끈적한 점액을 분비하여 점액 충전물로써 경관은 채워지게된다. 이 점액체는 경관내를 꽉 채우므로, 외부로부터의 염증성 물질같은 것이 자궁강내로 들어가는 것을 막는다. 특히, 임신중에는 자궁 경관의 혈관이 증대되어, 실질조직에 부종이 오며 분비선의 과도한 형성으로 청색증이 나타난다.
Chadwick\'s sign: 자궁 경부의 푸른색
Hegar\'s sign: 자궁 협부의 부드러움
Goodell\'s sign: 자궁 경부의 부드러움
Mcdonald\'s sign: 자궁저부가 경관쪽으로 쉽게휘어집
Braun Von Fernwald\' sign: 착상부위와 인접한 자궁저부의 부드러운 팽만감
Piskaek‘s sign: 착사부위의 부드러운 팽만감
Braxton Hick\'s sign: 임신초기(4개월)에 감지되는 자궁수축
4). 임신 주 수에 따른 자궁저의 높이
자궁의 전체적인 증대는 일정한 규칙성을 갖기 때문에 자궁저부의 높이를 측정하면 임신 주 수를 추정할 수 있다.
물론, 쌍태라든지 양수과다 거대아 등과 같은 특수한 경우에는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① 제8주 경에는 복부촉진이 불가능하며, 쌍합진 검사에서 난원형을 한 정구공 크기를 촉진 할수 있다. 수정체가 대개 저부측 가까이 착상하게 되므로, 임신 6주에서 12주때는 앞으로 약간 더 전굴하게 된다.
② 12주 경에는 자궁이 골반강내를 꽉 채우며, 저부가 치골결합 최상단까지 올라온다. 이때 의 자궁은 원형이며, 크기는 감자만하다.
③ 16주 경에는 자궁저의 높이가 치골결합 위로 7.6㎝정도 올라 온다. 모양은 좀 더 둥글 고, 자궁벽쪽에 가까이 닿기 때문에, 임부는 태동을 느낀다. 자궁내 잡음도 들을 수 있다.
④ 20주 경에는 저부가 제와부에 오며 치골결합 상연에서 15.2㎝ 정도 올라온다. 이때는 태 아심음, 태아의 부분등을 쉽게 할수 있다.
⑤ 24주
2. 신체적 변화
1) 자궁
자궁은 증대하여 태아에게 영양을 공급하고 태아를 보호. 무게와 크기가 다 증가하고, 용적이 500에서 1,000배까지 늘어난다고 했다.
무게: 60gm에서 1,100gm으로 증가.
대개 임신 20주 전에 전체의 2/3가 증가된다.
《자궁의 크기변화》
임신말기 기존근육세포가 늘어지고, 이상비대 현상이 나타난다.
혈관, 임파관, 신경조직등의 증대현상이 나타나며, 특히 정맥의 증대는 더욱 심하다.
크기를 보면, 처음의 7.6×5.1×2.5㎝(3×2×1(inch))로 나타난다. 특히, 임신후 근육섬유의 증식에서, 길이는 10배가 늘어나고, 두께는 5배로 늘어난다. 기존했던 근육섬유의 이러한 증식과 새로운 세포의 생성으로 자궁은 증대 된다.
특히, 자궁경부를 향한 내구측의 근육섬유의 증식이 심하며, 출산시에 밀착되었던 윤상근의 경부개구 현상이 나타난다.
실질층: 근육섬유가 상행과 종행으로 되어 사방으로 뻗쳐서, 자궁으로 들어오는 혈관을 압박, 위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작용은 분만후 자궁의 혈관을 위축시키므로, 제3기 동안의 출혈을 막아준다.
최외층: 근육섬유조직은 종행으로 나열되어, 경관에서 시작해서 전면을 덮고, 상행하여 자궁저부로 가서, 경관의 후벽까지 내려간다. 분만중 이종행 근섬유조직의 수축은 자궁협부의 상층 체부쪽은 두껍고 짧아지게 하며, 협부아래 경관은 길어지게 한다. 자궁의 근층은 3층으로 최외층은 덮개처럼 생긴 장막층이며, 내측은 괄약근과 같은 근섬유로 되어 내구를 형성, 경관내구까지 이른다.
외층과 내층사이는 혈관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중층은 자궁벽의 중요한 기저가 되는 곳으로, 혈관과 혈관사이를 잇는 망상형의 근섬유로 되어있고, 각 근성유의 세포는2중으로 굴곡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봐서, 자궁은 처음에 서양배 모양에서 원형으로 되었다가 임신 3개월이 지나면서 종 타원형으로 커진다. 임신4개월에는, 자궁의 저부가 골반과 제와의 중간에 있게 된다.
또 자궁은 임신 초기부터 불규칙 무통성 수축운동을 하는데, 이를 Braxton Hrcks contrac-tion이라고 한다. 약간의 규칙성 수축 작용도 계속 보인다. 신경섬유의 증대로 경관 후측에 있는 하우스씨 경신경절도 처음의 2.5㎝×2㎝에서 3.5㎝×6.5㎝로 된다.
2). 자궁의 혈액 공급
임신중 자궁은 대단히 많은 혈액 공급을 받게 되는데, 특히 태반측 자궁벽 쪽으로 가는 혈액은 더욱 증가된다고 본다. 임신말기에 자궁내에 포함되는 혈액량은 1,500㎖정도 된다고 한다. 특히, 자궁 실질 조직내로 들어가는 말초혈관은 코일과 같은 나선형으로 꼬부라진 맥관형동맥으로서, 이것이 더욱 증대되어 자궁으로 들어가는 혈액량을 최대화시킨다.
임신말기, 자궁으로 흘러 들어가는 혈액량은 1분에 500㎖~1,500㎖가 되며, 이 혈액의 산소 소비량은 10주 때에 분당 5cc, 28주때에 분당 22cc로 증가된다. 이렇게 최대화 하므로 태아의 성장, 신진대사, 태반기능등을 정상적으로 유지시킨다. 또 임신중에는 자궁협부에서 아랫쪽 경부까지의 조직이 상당히 신전되어, 말기에는 경관내구에서 체부측의 사이 조직은 7.6㎝에서 8.6㎝로 늘어난다. 그러나 이 협부측의 조직 발달은 체부측처럼 잘 발달 증대하지는 못한다. 임신말기가 되면 이곳의 조직이 상당히 유연해지고 신전되므로 태아의 선진부가 이곳으로 내려 앉는다.
3). 자궁경관
더욱 유연해지며 약간 푸른색을 띠게된다. 특히 경관에 있는 포도송이와 같은 분비선에서는 끈적끈적한 점액을 분비하여 점액 충전물로써 경관은 채워지게된다. 이 점액체는 경관내를 꽉 채우므로, 외부로부터의 염증성 물질같은 것이 자궁강내로 들어가는 것을 막는다. 특히, 임신중에는 자궁 경관의 혈관이 증대되어, 실질조직에 부종이 오며 분비선의 과도한 형성으로 청색증이 나타난다.
Chadwick\'s sign: 자궁 경부의 푸른색
Hegar\'s sign: 자궁 협부의 부드러움
Goodell\'s sign: 자궁 경부의 부드러움
Mcdonald\'s sign: 자궁저부가 경관쪽으로 쉽게휘어집
Braun Von Fernwald\' sign: 착상부위와 인접한 자궁저부의 부드러운 팽만감
Piskaek‘s sign: 착사부위의 부드러운 팽만감
Braxton Hick\'s sign: 임신초기(4개월)에 감지되는 자궁수축
4). 임신 주 수에 따른 자궁저의 높이
자궁의 전체적인 증대는 일정한 규칙성을 갖기 때문에 자궁저부의 높이를 측정하면 임신 주 수를 추정할 수 있다.
물론, 쌍태라든지 양수과다 거대아 등과 같은 특수한 경우에는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① 제8주 경에는 복부촉진이 불가능하며, 쌍합진 검사에서 난원형을 한 정구공 크기를 촉진 할수 있다. 수정체가 대개 저부측 가까이 착상하게 되므로, 임신 6주에서 12주때는 앞으로 약간 더 전굴하게 된다.
② 12주 경에는 자궁이 골반강내를 꽉 채우며, 저부가 치골결합 최상단까지 올라온다. 이때 의 자궁은 원형이며, 크기는 감자만하다.
③ 16주 경에는 자궁저의 높이가 치골결합 위로 7.6㎝정도 올라 온다. 모양은 좀 더 둥글 고, 자궁벽쪽에 가까이 닿기 때문에, 임부는 태동을 느낀다. 자궁내 잡음도 들을 수 있다.
④ 20주 경에는 저부가 제와부에 오며 치골결합 상연에서 15.2㎝ 정도 올라온다. 이때는 태 아심음, 태아의 부분등을 쉽게 할수 있다.
⑤ 24주
추천자료
임신과 빈혈
임신성 고혈압(PIH)
임신중 성생활`에 관하여
임신진단
임신성 고혈압, 임신성 당뇨병, 태반조기박리, 전치태반, 유착태반
임신성 당뇨, 임신성 고혈압 (임신 중독증), 전치 태반, 태반 조기 박리, 자궁경부 무력증(II...
[낙태][임신중절수술][인공유산][피임][임신]낙태(임신중절수술, 인공유산) 원인, 낙태(임신...
임신성 고혈압에 대한 문헌고찰
임산부의 특징과 임신 합병증, 임신 중 건강관리
임신의 진단 및 검사방법에 대해서
임신중 위험요소(운동)
임신과분만-월경,임신,산전관리,분만
[합병증, 고혈압, 간경화, 간내결석증, 당뇨병, 임신, 수술]고혈압의 합병증, 간경화의 합병...
[임신] 산전관리 - 산전관리의 중요성(필요성), 태교, 임신중의 일생생활 및 영양관리, 임신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