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머리말-보고서를 시작하며
2.한국 근현대사에 대한 미국의 개입
1)해방과 분단, 한국전쟁 그리고 미국
(1)8.15광복과 광복후 미국의 개입
(2)한국전쟁과 미국의 개입-이승만 독재의 시발점
2)억압된 민주주의, 배후의 미국
(1)5.18 광주 민주화항쟁
(2)6월 항쟁
3.우리의 주체를 찾아
4.맺음말-보고서를 마치며
2.한국 근현대사에 대한 미국의 개입
1)해방과 분단, 한국전쟁 그리고 미국
(1)8.15광복과 광복후 미국의 개입
(2)한국전쟁과 미국의 개입-이승만 독재의 시발점
2)억압된 민주주의, 배후의 미국
(1)5.18 광주 민주화항쟁
(2)6월 항쟁
3.우리의 주체를 찾아
4.맺음말-보고서를 마치며
본문내용
단면이라 할 수 있다.
미국이라는 외세는 결코 남녘 땅에 국한된 존재가 아니다. 또 일시적으로 등장하는 단막배우도 아니다. 그래서 남과 북에 자리잡고 있는 미국의 실체와 현대사 전반에 걸친 미국의 그림자를 규명하는 작업과 더불어 한미관계를 새로이 자리 매김 하는 것이 시급히 요구된다.
미국이라는 외세는 우리 현대사의 결정적인 굽이굽이마다 핵심적인 결정권자와 지배자로 군림해 왔다. 이러한 미국의 한반도 개입은 1945년 8월 해방이 되자마자 조선사람 어느 누구와도 상의 한번 없이 자기들 멋대로 조선을 38도선에서 양쪽으로 두 동강을 내는 지리적 분단에서 시작되었다. 그리고 2002년 북한을 악의 축으로 지목하여 한반도 전체를 전쟁의 공포 속으로 밀어 넣는 시점까지 줄곧 남의 나라에서 마치 그들이 주인인 것처럼 행세해 왔다. 이 땅에 놓여 있는 미국이라는 외세의 발자취를 미국사람의 눈과 미국화 되어버린 친미사대주의라는 남의 눈으로가 아니라 민족중심적인 눈, 곧 우리 자신들의 눈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 강정구, 「미국은 우리에게 무엇인가」, 민중의 소리, 2002년 3월22일자.
4. 맺음말-보고서를 마치며
이제는 어느 정도의 자유가 보장되어 당시 미국 기밀 관련 자료 등이 밝혀지면서 많은 사람들이 민주주의를 수호한다는 가면 뒤에 있었던 미국의 정체를 조금씩 알아가기 시작하였다. 혹자는 미국의 군사적 원조가 없었다면 이미 우리나라는 6.25때 패하여 북한에 의해 망했을 것이라고 한다. 하지만 앞에서 말했던 것처럼 미국이 없었다면, 한반도가 38선을 기준으로 지리적 분단을 겪었을까? 사회적, 이념적 분단을 겪었을까? 이러한 일들이 없었으면 한국전쟁도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고, 이처럼 분단된 삶을 살지는 않았을 것이다.
지금까지 한국 근현대사에 걸친 미국의 개입과 그로 인한 영향 등에 대해서 조사해 보았다. 자료를 찾아보며 이런 저런 글도 읽어보고 모르던 사실도 많이 알고 정말 사실인가 하고 깜짝 놀랐던 적도 있었다. 비록 내가 느꼈던 것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지는 못했지만 정말 유익했고, 많은 것들을 알게 된 계기라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조지프 굴든, 김쾌상 옮김, 『한국전쟁』, 일월서각, 1982
박세길, 『다시쓰는 한국 현대사』, 돌베개, 1989
허중권, 『바로보는 한국 근현대사』, 학연문화사, 1998
박만규, 「신군부의 광주항쟁 진압작전과 미국정부의 개입」, 1999년
서주석, 「6.25 전쟁이 한국의 정치 사회 및 의식구조에 미친 영향」,관훈저널40권제2호, 2000
강정구, 「통일시대, 우리에게 미국은 무엇인가」, 2000
「미국은 우리에게 무엇인가」, 민중의 소리, 2002.3.22
인터넷 자료-주소
http://opendic.naver.com/100/entry.php?entry_id=93056 광주민주화운동관련
http://100.naver.com/100.php?where=100&id=63051 모스크바 협정관련
http://100.naver.com/100.php?where=100&id=716309 애치슨 라인관련
미국이라는 외세는 결코 남녘 땅에 국한된 존재가 아니다. 또 일시적으로 등장하는 단막배우도 아니다. 그래서 남과 북에 자리잡고 있는 미국의 실체와 현대사 전반에 걸친 미국의 그림자를 규명하는 작업과 더불어 한미관계를 새로이 자리 매김 하는 것이 시급히 요구된다.
미국이라는 외세는 우리 현대사의 결정적인 굽이굽이마다 핵심적인 결정권자와 지배자로 군림해 왔다. 이러한 미국의 한반도 개입은 1945년 8월 해방이 되자마자 조선사람 어느 누구와도 상의 한번 없이 자기들 멋대로 조선을 38도선에서 양쪽으로 두 동강을 내는 지리적 분단에서 시작되었다. 그리고 2002년 북한을 악의 축으로 지목하여 한반도 전체를 전쟁의 공포 속으로 밀어 넣는 시점까지 줄곧 남의 나라에서 마치 그들이 주인인 것처럼 행세해 왔다. 이 땅에 놓여 있는 미국이라는 외세의 발자취를 미국사람의 눈과 미국화 되어버린 친미사대주의라는 남의 눈으로가 아니라 민족중심적인 눈, 곧 우리 자신들의 눈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 강정구, 「미국은 우리에게 무엇인가」, 민중의 소리, 2002년 3월22일자.
4. 맺음말-보고서를 마치며
이제는 어느 정도의 자유가 보장되어 당시 미국 기밀 관련 자료 등이 밝혀지면서 많은 사람들이 민주주의를 수호한다는 가면 뒤에 있었던 미국의 정체를 조금씩 알아가기 시작하였다. 혹자는 미국의 군사적 원조가 없었다면 이미 우리나라는 6.25때 패하여 북한에 의해 망했을 것이라고 한다. 하지만 앞에서 말했던 것처럼 미국이 없었다면, 한반도가 38선을 기준으로 지리적 분단을 겪었을까? 사회적, 이념적 분단을 겪었을까? 이러한 일들이 없었으면 한국전쟁도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고, 이처럼 분단된 삶을 살지는 않았을 것이다.
지금까지 한국 근현대사에 걸친 미국의 개입과 그로 인한 영향 등에 대해서 조사해 보았다. 자료를 찾아보며 이런 저런 글도 읽어보고 모르던 사실도 많이 알고 정말 사실인가 하고 깜짝 놀랐던 적도 있었다. 비록 내가 느꼈던 것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지는 못했지만 정말 유익했고, 많은 것들을 알게 된 계기라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조지프 굴든, 김쾌상 옮김, 『한국전쟁』, 일월서각, 1982
박세길, 『다시쓰는 한국 현대사』, 돌베개, 1989
허중권, 『바로보는 한국 근현대사』, 학연문화사, 1998
박만규, 「신군부의 광주항쟁 진압작전과 미국정부의 개입」, 1999년
서주석, 「6.25 전쟁이 한국의 정치 사회 및 의식구조에 미친 영향」,관훈저널40권제2호, 2000
강정구, 「통일시대, 우리에게 미국은 무엇인가」, 2000
「미국은 우리에게 무엇인가」, 민중의 소리, 2002.3.22
인터넷 자료-주소
http://opendic.naver.com/100/entry.php?entry_id=93056 광주민주화운동관련
http://100.naver.com/100.php?where=100&id=63051 모스크바 협정관련
http://100.naver.com/100.php?where=100&id=716309 애치슨 라인관련
추천자료
[남북문제] 남북한 분단의 전개과정 : 분단과 통일의 변증법
한국 대통령제와 미국 대통령제
서구 중심주의와 미국 예외주의 비교 연구
[5 18 광주민주화운동][광주항쟁][광주사태][5 18광주민주항쟁][5 18민주화운동]5 18 광주민...
[병영 문화] 한국,일본,미국의 군대문화 비교 분석 및 사례와 나의 견해
한반도 전쟁위기와 미국
유럽연합 설립 과정에서의 미국과의 관계
[1950년대][미일안전보장조약]1950년대의 미일안전보장조약, 1950년대의 미국정책, 1950년대...
[정치제도] 미국의 선거제도-대통령 선거를 중심으로
분단과 통일로 본 독일의 현대 정치사(독일의 분단과 통일) 제2차 세계대전의 종전과 분단, ...
통일인사이드 공통) 한반도韓半島 분단이 없었다면 남북한 관계도 없었을 것이라는 의미에서 ...
한국, 영국, 미국, 북유럽의 아동복지의 발달 배경을 각각 기술하고 비교하세요
전쟁의 발발 미국과 남한의 책임
[한국사] 한국사 분단과정 [국제회의와 신탁통치 좌익과 우익의 대립 법제정과 정부수립 전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