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시대적 배경과 당시 예술론
(1) 시대적 배경
(2) 당시 예술론
(3) 형호
2. 그림의 요체인 육요(六要)
(1) 기(氣)
(2) 운(韻)
(3) 사(思)
(4) 경(景)
(5) 필(筆)
(6) 묵(墨)
3. 그림의 품격
4. 붓의 사세론(四勢論)
5. 그림의 병(病)
6. 필법기의 시대적․역사적 의의
(1) 시대적 배경
(2) 당시 예술론
(3) 형호
2. 그림의 요체인 육요(六要)
(1) 기(氣)
(2) 운(韻)
(3) 사(思)
(4) 경(景)
(5) 필(筆)
(6) 묵(墨)
3. 그림의 품격
4. 붓의 사세론(四勢論)
5. 그림의 병(病)
6. 필법기의 시대적․역사적 의의
본문내용
은 사물의 형상으로부터 사물의 기운에 진입해야 한다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신(神)이 없는 형(形)은 물(物)의 본질로나 예술 작품으로부터 말할 때 실제적으로 형을 부정한다. 이것이 바로 중국 회화의 정신이다.
6. 필법기의 시대적역사적 의의
(1) 당 말부터 발흥하기 시작한 수묵산수화의 이론적 배경을 확립하였다.
1) 인물화 → 산수화
산수화는 당 개원 전후에 이미 대체로 완성되어 있었지만 당나라 사람들은 산수화 보다는 인물화가 위주였다. 왕유의 『위화인사사표』를 보면 여전히 인물을 위주로 하고 있다.
이 시긴 산수화를 동양 회화에 정착시켜 북송 이후 천여년간의 회화주류를 이루게 한 사람이 형호이다.
2) 채색 산수화 → 수묵 산수화
ㆍ중당 이후 나타나기 시작한 수묵 산수화를 화론에 적극 수용하였고, 그 기법적인 문제를『필법기』에서 자세히 언급하였다. - 그림은 채색을 위주로 하면서 화려함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먹을 잘 써 그려야 하고, 필세에는 반드시 네 가지 힘이 있어야 하며, 그림을 그리는 방법에는 6가지 법이 있다.
ㆍ더 나아가 산수화가 채색에서 수묵으로 바뀌게 한 것에 큰 영향을 끼쳤다.
(2) 중국에서 최초로 필(筆)과 묵(墨)을 동시에 중시 하였다.
사혁은 육법에서 단지 골법용필(骨法用筆)만을 논했을 뿐 용묵(用墨)은 제시하지 않았다. 이에 반해 형호는 6요(要)중 하나로 묵을 제시하여 필과 함께 묵을 중시 하였다.
(3) 준()법 준법 : 주로 산이나 바위의 명암, 질감, 양감 등을 표현하는 기법으로 다양한 필법을 구사하고 선염을 더하여 암산, 흙산 등의 딱딱하고 각지거나 부드럽고 무른 느낌을 그려내는 방법.
을 이론화 시켜 산수화 표현양식에 변화를 가져왔고, 이로 인해 형호 이후 산수화의 구도형식이 대산대수(大山大水) 대산대수(大山大水) 형식 : 화면의 중앙과 상면(上面)의 대부분에 주산을 배치하고 이를 중심으로 소산(小山)과 계곡, 폭포 등의 배경이 조화 있게 연결되는 구도.
형식으로 바뀌었다.
1) 대산대수(大山大水) 형식과 같은 거대산수양식은 준법의 특성을 최대한 발휘 할 수 있는 구성으로 준법을 의식적으로 표현하고자 하지 않으면 나올 수 없는 것이다. 형호 이후 북송시대의 유행한 산수화의 작품에서 거의 공통적으로 이러한 구성형식을 보이고 있다.
2) 중국고전산수화의 정수는 이 거대양식의 장엄화에 있는데 형호는 이 양식의 창시자로 일컬어진다.
(4) 사혁의 6법을 발전시켜 대체하여 6요를 주장하였다.
1) 6요에 대한 설명은 내용과 규모에 있어서 인물화 위주시대의 사혁에 비해 발전이 있다.
2) 기(氣)와 운(韻)은 6법의 기운생동(氣韻生動)과 비슷하지만 기와 운을 분리하여 정의 내렸다.
3) 전이모사(轉移模寫)는 6법에는 있지만 6요에는 없는데 그 이유는 그가 창조를 중요시하고 천지자연의 조화를 중시하기 때문에 6요에서 생략하였다.
(5) 6요는 형태와 내용의 융합을 통해 객관물상의 사실성뿐 아니라 내적인 본질을 비롯 한 진적(眞的) 통일을 드러내게 하였다.
1) 각 물형의 특유한 모습을 그려낼 수 있다면 물상의 근원을 그려낼 수 있으며, 이리하여 형과 신의 통일에 도달하게 된다.
2) 이는 이후의 회화발전에서 사실과 주관의 일방통행을 방지하여 곽희에 의해 이상적인 수묵산수화의 완성에 까지 이끌게 한 중요한 기초적 규범이 되었다.
(6) 당대에 발전된 산수화의 개요에 대한 비평을 다른 사람이 해 놓은 것에 의탁하지 않았다. - 역대 유명화가들의 그림 품평을 자신이 제시한 이론에 근거해서 비평하였다. 여기에서 비평의 주안점을 6요에 두었으며, 특히 필묵(筆墨)관계를 중심으로 품평하였다.
<참고문헌>
갈로,『중국회화이론사』, 미진사, 1989
김기주 외 역,『중국화론선집』, 미술문화, 2002
박은화,『중국회화감상』, 예경, 2001
서복관,『중국예술정신』, 동문선, 1990
이승찬, ‘형호의 필법기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0
최혜원, ‘형회의 필법기연구’, 상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2
한정희,『중국화 감상법』, 대원사, 1994
허영만,『중국화론』, 서문당, 1988
<목 차>
1. 시대적 배경과 당시 예술론
(1) 시대적 배경
(2) 당시 예술론
(3) 형호
2. 그림의 요체인 육요(六要)
(1) 기(氣)
(2) 운(韻)
(3) 사(思)
(4) 경(景)
(5) 필(筆)
(6) 묵(墨)
3. 그림의 품격
4. 붓의 사세론(四勢論)
5. 그림의 병(病)
6. 필법기의 시대적역사적 의의
6. 필법기의 시대적역사적 의의
(1) 당 말부터 발흥하기 시작한 수묵산수화의 이론적 배경을 확립하였다.
1) 인물화 → 산수화
산수화는 당 개원 전후에 이미 대체로 완성되어 있었지만 당나라 사람들은 산수화 보다는 인물화가 위주였다. 왕유의 『위화인사사표』를 보면 여전히 인물을 위주로 하고 있다.
이 시긴 산수화를 동양 회화에 정착시켜 북송 이후 천여년간의 회화주류를 이루게 한 사람이 형호이다.
2) 채색 산수화 → 수묵 산수화
ㆍ중당 이후 나타나기 시작한 수묵 산수화를 화론에 적극 수용하였고, 그 기법적인 문제를『필법기』에서 자세히 언급하였다. - 그림은 채색을 위주로 하면서 화려함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먹을 잘 써 그려야 하고, 필세에는 반드시 네 가지 힘이 있어야 하며, 그림을 그리는 방법에는 6가지 법이 있다.
ㆍ더 나아가 산수화가 채색에서 수묵으로 바뀌게 한 것에 큰 영향을 끼쳤다.
(2) 중국에서 최초로 필(筆)과 묵(墨)을 동시에 중시 하였다.
사혁은 육법에서 단지 골법용필(骨法用筆)만을 논했을 뿐 용묵(用墨)은 제시하지 않았다. 이에 반해 형호는 6요(要)중 하나로 묵을 제시하여 필과 함께 묵을 중시 하였다.
(3) 준()법 준법 : 주로 산이나 바위의 명암, 질감, 양감 등을 표현하는 기법으로 다양한 필법을 구사하고 선염을 더하여 암산, 흙산 등의 딱딱하고 각지거나 부드럽고 무른 느낌을 그려내는 방법.
을 이론화 시켜 산수화 표현양식에 변화를 가져왔고, 이로 인해 형호 이후 산수화의 구도형식이 대산대수(大山大水) 대산대수(大山大水) 형식 : 화면의 중앙과 상면(上面)의 대부분에 주산을 배치하고 이를 중심으로 소산(小山)과 계곡, 폭포 등의 배경이 조화 있게 연결되는 구도.
형식으로 바뀌었다.
1) 대산대수(大山大水) 형식과 같은 거대산수양식은 준법의 특성을 최대한 발휘 할 수 있는 구성으로 준법을 의식적으로 표현하고자 하지 않으면 나올 수 없는 것이다. 형호 이후 북송시대의 유행한 산수화의 작품에서 거의 공통적으로 이러한 구성형식을 보이고 있다.
2) 중국고전산수화의 정수는 이 거대양식의 장엄화에 있는데 형호는 이 양식의 창시자로 일컬어진다.
(4) 사혁의 6법을 발전시켜 대체하여 6요를 주장하였다.
1) 6요에 대한 설명은 내용과 규모에 있어서 인물화 위주시대의 사혁에 비해 발전이 있다.
2) 기(氣)와 운(韻)은 6법의 기운생동(氣韻生動)과 비슷하지만 기와 운을 분리하여 정의 내렸다.
3) 전이모사(轉移模寫)는 6법에는 있지만 6요에는 없는데 그 이유는 그가 창조를 중요시하고 천지자연의 조화를 중시하기 때문에 6요에서 생략하였다.
(5) 6요는 형태와 내용의 융합을 통해 객관물상의 사실성뿐 아니라 내적인 본질을 비롯 한 진적(眞的) 통일을 드러내게 하였다.
1) 각 물형의 특유한 모습을 그려낼 수 있다면 물상의 근원을 그려낼 수 있으며, 이리하여 형과 신의 통일에 도달하게 된다.
2) 이는 이후의 회화발전에서 사실과 주관의 일방통행을 방지하여 곽희에 의해 이상적인 수묵산수화의 완성에 까지 이끌게 한 중요한 기초적 규범이 되었다.
(6) 당대에 발전된 산수화의 개요에 대한 비평을 다른 사람이 해 놓은 것에 의탁하지 않았다. - 역대 유명화가들의 그림 품평을 자신이 제시한 이론에 근거해서 비평하였다. 여기에서 비평의 주안점을 6요에 두었으며, 특히 필묵(筆墨)관계를 중심으로 품평하였다.
<참고문헌>
갈로,『중국회화이론사』, 미진사, 1989
김기주 외 역,『중국화론선집』, 미술문화, 2002
박은화,『중국회화감상』, 예경, 2001
서복관,『중국예술정신』, 동문선, 1990
이승찬, ‘형호의 필법기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0
최혜원, ‘형회의 필법기연구’, 상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2
한정희,『중국화 감상법』, 대원사, 1994
허영만,『중국화론』, 서문당, 1988
<목 차>
1. 시대적 배경과 당시 예술론
(1) 시대적 배경
(2) 당시 예술론
(3) 형호
2. 그림의 요체인 육요(六要)
(1) 기(氣)
(2) 운(韻)
(3) 사(思)
(4) 경(景)
(5) 필(筆)
(6) 묵(墨)
3. 그림의 품격
4. 붓의 사세론(四勢論)
5. 그림의 병(病)
6. 필법기의 시대적역사적 의의
추천자료
과제중심모델의 이론과 사례적용
적대적 M&A(기업인수합병)에 대한 대응방안-외국자본에 의한 M&A를 중심으로
기업이미지 형성요인 및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고찰-국내외 사례 중심으로
[마케팅전략] 광동제약 '비타500'의 마케팅전략
장애아동 부모교육의 이해
[A+]호텔 식음료및 외식산업 판매증진방안
교육에 대한 기능주의담론에 대한 비판적 논의
piaget와vygotsky이론의비교
한국현대문학사 이상과 이효석
사회복지정책이 경제 성장에 미치는 영향 및 사회복지정책의 역사 세 단계
해외 환경규제가 한국 제조업 분야 FDI에 미치는 영향 - 환경민감산업과 비민감산업 비교
총제적 품질경영(TQM)에서 총제적 경영품질(TMQ)로- ㈜태평양 사례를 중심으로
과제중심모델의 이론과 사례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