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폐 체력 평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운동평가
(1) 운동부하검사 지침

2. 최대 운동부하검사 계획안
(1) 트레드밀 최대 운동부하검사
(2) 자전거 에르고미터 최대 운동검사
(3) 벤치 스텝핑 최대 운동검사

3. 최대하 운동검사 계획안
(1) 최대하 운동검사에 대한 가정
(2) 트레드밀 최대하 운동부하검사
(3) 자전거 에르고미터를 이용한 최대하 운동검사
(4) 벤치 스텝핑 최대하 운동 검사
(5) 그밖의 다른 최대하 운동 검사 형태

4. 현장검사(FILED TESTS)

5. 어린이와 노인의 운동검사

본문내용

장비로 측정하는 방법이 있으며, 상관관계가 r=0.91로 높다)
(1) 장거리 달리기 검사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장거리 달리기는 유산소 능력을 평가할 수 있도록 1.0 또는 1.5마일(1600m-2400m)의 거리를 포함한다. 장거리 달리기 검사는 잘 단련된 사람의 경우 주어진 거리를 보다 짧은 시간 내에 달릴 수 있거나 또는 주어진 시간 동안에 더 먼 거리를 달릴 수 있을 것이라는 가정에 근거한다. 지구력 달리기 경기력은 동기유발, 체지방율, 달리기 효율성(속도조절), 그리고 젖산역치와 같은 다른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장거리 달리기 검사와 VO2max 사이의 상관관계는 피험자, 연구집단의 규모, 그리고 검사 절차에 따라 상당히 달라지는 경향이 있다.(r=0.27에서 0.90) 일반적으로 거리가 멀수록 VO2max와의 상관관계는 더 높다.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장거리 달리기 검사는 9분 또는 12분 달리기와 1.0 또는 1.5마일 달리기이다.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한 일부 체력 검사는 9분 또는 1.0마일 달리기 검사를 사용하도록 권장한다.
1) 9분 또는 12분 달리기 검사
2)1마일 또는 1.5마일 달리기/걷기 검사
3)1마일 조깅 검사
(2) 걷기 검사
Rockport 걷기협회에서 20-69세 사이 남녀의 심폐 체력을 평가하기 위한 걷기 검사를 개발하였다. 이검사는 빠른 걷기만을 요구하기 때문에 나이가 많거나 또는 비활동적인 사람을 검사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 검사에서는 회원들에게 1.0마일을 최대한 빨리 걷도록 그리고 검사 직후에 15초 동안 맥박수를 세어서 자신들의 심박수를 측정하도록 지시한다. 이때 회원들은 자신의 맥박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걷기 코스는 평평하고 외부로부터 방해가 없는 400m 트랙이 가장 바람직하며, 걷기에 좋은 신발과 몸에 달라붙지 않는 옷을 착용한다.
(3) 심폐 체력을 평가하는데 있어 스텝 검사 사용의 주된 장점은 값비싼 장비나 잘 훈련된 검사요원 없이도 현장 상황에서 많은 사람들에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다.
(4) 그 밖의 현장 검사
이 외에도 자전거 타기와 수영 검사가 고안되었는데 3단 기어를 초과하지 않는 자전거를 사용하는 12분 자전거 타기 검사는 딱딱하고 평평한 지면에서 바람속도가 10mph보다 느릴 때 실시된다. 12분 수영 검사에서 회원은 어떠한 영법을 사용해도 좋으며 휴식은 필요할 때에 취한다.
5. 어린이와 노인의 운동검사
(1) 어린이의 심폐 체력 평가
실험실에서는 어린이의 심폐 체력을 트레드밀 또는 자전거 에르고미터를 사용하면서 평가할 수 있다. 트레드밀 검사가 특히 어린이들에게 더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주의력 집중 시간이 짧기 때문에 자전거 에르고미터 검사 동안 일정한 페달 회전 속도를 유지하기 어려울 수도 있기 때문이다. 트레드밀 검사에서 변경된 Balke 계획안을 사용해야만 하는데 왜냐하면 스피드는 일정하면서 운동강도는 경사도를 변경시킴으로써 증가되기 때문이다. 자전거 에르고미터 검사의 경우 ACSM은 McMaster 계획안을 권장한다.
(2) 노인의 심폐 체력 평가
노인들의 심폐 체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변경된 트레드밀 그리고 자전거 에르고미터 계획안을 사용할 수 있다. 살펴보면
① 준비운동 시간을 3분보다 더 길게 연장한다.
② 시작 운동강도를 2-3METs으로 설정한다.
③ 각 운동 단계의 지속시간을 연장하여(최소한 3분) 피험자가 항정상태에 도달하는데 충분한 시간을 허용한다.
④ 전체 검사 시간이 8-12분이 되도록 하는 계획안을 선택한다. 특히 잘 걷지 못하는 노인들을 위해서는 스피드 대신에 경사도를 증가시키는 트레드밀 계획안을 선택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6.03.07
  • 저작시기2006.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87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