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직단에 대하여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사직단의 제도와 형식

- 사직단의 형식과 제례

본문내용

마찬가지로 최고의 격식을 유지하며 치러졌었다.
조선왕조가 막을 내린 뒤 사직단에서 드리던 제례는 함께 종식을 고하였다. 종묘 제례는 내용이 축소되어 한동안 지속되다가 1945년 이후로 중단되었다. 제례가 치러지지 않게 되면서 사직단과 종묘는 많은 훼손을 당하였음은 물론이다.
사직단은 이미 일정기에 공원으로 개조되어 조선 최고의 제례공간이 갖던 신성한 분위기가 사라졌다. 해방이후에도 사직단은 계속 공원으로 사용되어, 60년대에는 도시계획으로 정문이 뒤로 물러나고 70년대에는 도서관, 동사무소, 수영장등이 들어섰다. 1985년경에 와서야 뒤늦게 사직단을 복원하기 위한 조사가 이루어지고 단과 그 주변이 일부 복원되었으나 이미 과거의 분위기는 전혀 되찾지 못하고 있다.
※참고 문헌: <종묘와 사직/김동욱 저>
  • 가격1,0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06.03.13
  • 저작시기2006.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96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