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 장 마이크로티칭에 관하여
제 2 장 마이크로티칭의 개념
제 3 장 마이크로티칭 모형의 선택
제 4 장 마이크로티칭 수업목표의 진술
제 5 장 마이크로티칭을 위한 VCR기재 준비
제 6 장 마치크로티칭 프로그램의 설계
제 7 장 평가자 선정과 훈련
제 8 장 마으크로티칭의 시간계획
제 9 장 마이크로티칭 수업안 양식
제 10장 마이크로티칭 수업안 예시
제 2 장 마이크로티칭의 개념
제 3 장 마이크로티칭 모형의 선택
제 4 장 마이크로티칭 수업목표의 진술
제 5 장 마이크로티칭을 위한 VCR기재 준비
제 6 장 마치크로티칭 프로그램의 설계
제 7 장 평가자 선정과 훈련
제 8 장 마으크로티칭의 시간계획
제 9 장 마이크로티칭 수업안 양식
제 10장 마이크로티칭 수업안 예시
본문내용
해 기재 사용에 있어 시차제(時差制)를 이용한다.
2) 다수의 실습생이 수업-평가-재수업을 할 경우 많은 시간이 필요하므로 충분한 시간적 여유를 둔다.
3) 실습수업과 다음 재수업 사이에 항상 약간의 시간적 여유를 두는 것이 필요하다.
제9장 마이크로티칭 수업안 양식
마이크로티칭 수업은 주로 모듈(module)양식으로 개발하며 가급적 명확하고 간결하게 진술한다.
- 수업안의 기본적인 요소
① 수업 명
② 관련 교과
ⓐ 관련 학년 수준
ⓑ 교과 명
③ 수업 준비물
④ 관련 단원
⑤ 학생들이 배워야 할 수업목표(수업 내용)
⑥ 교육실습생이 습득하여야 할 마이크로티칭 실습목표(교수 기술)
⑦ 이론적 배경
ⓐ 실습생이 학습할 교수 기술의 이론적 배경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 그 교수 기술이 교사의 교실운영 능력에 어떻게 도움이 되는가에 대 해 기술한다.
⑧ 목표로 하는 구체적인 교수 기술
⑨ 평가방법(평가기준)
제10장 마이크로티칭의 수업안의 예시
1. 수업 명
언어발달을 위한 경험적 접근
2. 관련교과
① 학년 - 유아 및 초등학교 저학년
② 교과 명 - 언어
3. 준비물
크레파스, 검은색 매직펜, 큰 종이(전지), 스템플러
4. 아동을 위한 수업목표
① 자신감을 가지고 언어를 사용한다.
② 다양한 언어 사용법을 안다.
5. 교육실습생을 위한 마이크로티칭 실습목표
교육실습생은 다음 6번에 제시된 교수 기술들을 실제 사태에 효과적으로 활용하 는 능력을 기른다.
6. 목표 교수 기술
유의점 - 이 경험적 접근은 교실 내에서 아동들과의 실제적 상호작용을 통해 습 득하여야 할 내용을 다루고 있는데, 다음에 제시된 여덟가지 단계들은 단지 이 러한 상호작용의 대략적인 윤곽일 뿐이다. 교사는 아동들의 수업에 최대한 적극 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격려하고 자신감을 가지도록 북돋아 주어야 한다.
① 자유롭고 친근한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 앞으로 있을 견학이나 학습 과제 등에 대해 학생들과 함께 자유롭게 이야기 한다.
② 각 아동에게 종이를 주고 자신이 흥미있다고 느끼거나 중요하게 생각 하는 내용을 그리고 색칠하도록 한다. 이 때 종이 하단은 비워 두도록 일러두어, 나중에 그 여백에 그림에 대한 설명을 붙일 수 있게 한다.
③ 아동들이 모두 그림을 그리고 난 다음, 각자 자기가 그린 그림에 대하 여 설명하도록 한다.
④ 이 때 교사는 아동이 하는 말을 교정해 주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한다.
⑤ 아동들이 자기 그림에 대한 설명을 마치고 나면, 아동을 도와 그 그림 하단에 있는 여백에다 어떤 문장을 써 넣을지 결정한다. 그림의 여백 에다 아동이 표현하는 대로 그대로 받아 적어 준다. 비록 부적절한 어 휘가 있거나 표현기법이 틀린 글자가 있다 하더라도 교사가 지적하거 나 고쳐 주지 않아야 한다.
⑥ 교사가 아동이 말한 바를 받아쓰는 동안 각 글자의 모양이라든지, 글 자의 소리, 모음과 자음의 위치 및 결합형태 등을 손으로 짚어 가며 아동에게 일러 준다. 그리고 아동이 다른 글자를 보고 유사한 내용을 찾아낼 수 있도록 격려한다.
⑦ 각 그림마다 적절한 문장을 써 넣은 다음에는 그림들을 다 모아 표지 를 붙여서 책으로 묶는다.
⑧ 아동들을 도와 그 그림책의 제목을 생각해 내도록 유도하고 제목을 표지에 적는다. 이 그림책은 다음에 다른 학습 활동을 위하여 유용하 게 쓸 수 있다.
7. 평가
평가 기준은 6번에 제시된 단계를 순서대로 잘 다랐는가, 그리고 얼마나 자연스럽게 실시하였는가 하는 점을 보게 된다.(평가지 참고)
8. 이론적 배경
간혹 아동들 중에는 평균적인 지능을 가지고 있으며, 학습장애가 있는것도 아닌데 언어발달이 느린 아동이 있다. 이러한 아동의 경우에는 교사가 아동의 말을 고쳐주는 예가 매우 흔하다. 따라서 아동이 말을 하는데 자신감을 잃게 되어 수업 중에 발표하기를 주저하게 되고 조금 거북하다고 느껴지는 분위기에서는 말을 하지 않으려고 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아동들의 자신감을 회복시키는 데는 경험적 접근이 효과적이다. 이 접근을 실시할 때는 교사가 무엇보다 먼저 아동이 말을 하는데 자신감을 회복하도록 하는 일이 중요하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교사는 아동이 수업 중에 적극적으로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고 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친근하고 자유로운 분위기를 형성하는 일이 필요하다.
교사가 이 경험적 접근이 기본 내용을 익히고 나면 그 다음에는 자신의 경험과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첨가하여 융통성 있게 진행할 수도 있다.
언어발달을 위한 이러한 경험적 접근은 개개의 아동을 위한 개별학습의 형태나 소집단 또는 대집단 학습의 경우를 막론하고 어떠한 규모의 학급에서도 적용 될 수 있으므로 가급적 전체 아동들이 다 참여하는 편이 바람직하다.
그것은 학급 전체 아동들이 모두 적극적으로 수업활동에 참여하게 되면 그 열성적인 분위기가 쉽게 전파가 되어 수줍음을 타는 아동들도 용기를 내어 발표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9. 참고문헌
Corbin, R. & Crosby, M (1965). Language programs for the disadvantaged. Champaign, Illinois :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English.
Lee, D. & Allen, R. (1963). Learning to read through experience. New York : Appleton, Centruy, Crofts.
10. 평가
평 가
수업명 : 언어 발달을 위한 경험적 접근
*교수기술 (성공적으로 달성한
항목에 ○ 표시한다)
1. 수업의 도입 부분에 아동들에게 친근하거나
공통적인 경험을 이야기 하면서 자유로운
분위기를 조성한다.
2. 아동들에게 각자가 원하는 그림을 그리도록 한다.
3. 아동들에게 자기가 그린 그림에 대해 각자 설명
하도록 한다.
4. 아동이 말하는 도중 말을 고쳐 주지 않는다.
5. 아동을 도와 각자의 그림에 알맞은 문장을 생각해
내도록 한다.
6. 그림의 여백에 아동이 말한 문장을 써 넣으면서
글자와 소리의 형태를 일러준다.
7. 그림을 모두 모아 책으로 묶는다.
8. 책 표지에 아동이 결정한 제목을 쓴다.
*평가자 의견
2) 다수의 실습생이 수업-평가-재수업을 할 경우 많은 시간이 필요하므로 충분한 시간적 여유를 둔다.
3) 실습수업과 다음 재수업 사이에 항상 약간의 시간적 여유를 두는 것이 필요하다.
제9장 마이크로티칭 수업안 양식
마이크로티칭 수업은 주로 모듈(module)양식으로 개발하며 가급적 명확하고 간결하게 진술한다.
- 수업안의 기본적인 요소
① 수업 명
② 관련 교과
ⓐ 관련 학년 수준
ⓑ 교과 명
③ 수업 준비물
④ 관련 단원
⑤ 학생들이 배워야 할 수업목표(수업 내용)
⑥ 교육실습생이 습득하여야 할 마이크로티칭 실습목표(교수 기술)
⑦ 이론적 배경
ⓐ 실습생이 학습할 교수 기술의 이론적 배경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 그 교수 기술이 교사의 교실운영 능력에 어떻게 도움이 되는가에 대 해 기술한다.
⑧ 목표로 하는 구체적인 교수 기술
⑨ 평가방법(평가기준)
제10장 마이크로티칭의 수업안의 예시
1. 수업 명
언어발달을 위한 경험적 접근
2. 관련교과
① 학년 - 유아 및 초등학교 저학년
② 교과 명 - 언어
3. 준비물
크레파스, 검은색 매직펜, 큰 종이(전지), 스템플러
4. 아동을 위한 수업목표
① 자신감을 가지고 언어를 사용한다.
② 다양한 언어 사용법을 안다.
5. 교육실습생을 위한 마이크로티칭 실습목표
교육실습생은 다음 6번에 제시된 교수 기술들을 실제 사태에 효과적으로 활용하 는 능력을 기른다.
6. 목표 교수 기술
유의점 - 이 경험적 접근은 교실 내에서 아동들과의 실제적 상호작용을 통해 습 득하여야 할 내용을 다루고 있는데, 다음에 제시된 여덟가지 단계들은 단지 이 러한 상호작용의 대략적인 윤곽일 뿐이다. 교사는 아동들의 수업에 최대한 적극 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격려하고 자신감을 가지도록 북돋아 주어야 한다.
① 자유롭고 친근한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 앞으로 있을 견학이나 학습 과제 등에 대해 학생들과 함께 자유롭게 이야기 한다.
② 각 아동에게 종이를 주고 자신이 흥미있다고 느끼거나 중요하게 생각 하는 내용을 그리고 색칠하도록 한다. 이 때 종이 하단은 비워 두도록 일러두어, 나중에 그 여백에 그림에 대한 설명을 붙일 수 있게 한다.
③ 아동들이 모두 그림을 그리고 난 다음, 각자 자기가 그린 그림에 대하 여 설명하도록 한다.
④ 이 때 교사는 아동이 하는 말을 교정해 주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한다.
⑤ 아동들이 자기 그림에 대한 설명을 마치고 나면, 아동을 도와 그 그림 하단에 있는 여백에다 어떤 문장을 써 넣을지 결정한다. 그림의 여백 에다 아동이 표현하는 대로 그대로 받아 적어 준다. 비록 부적절한 어 휘가 있거나 표현기법이 틀린 글자가 있다 하더라도 교사가 지적하거 나 고쳐 주지 않아야 한다.
⑥ 교사가 아동이 말한 바를 받아쓰는 동안 각 글자의 모양이라든지, 글 자의 소리, 모음과 자음의 위치 및 결합형태 등을 손으로 짚어 가며 아동에게 일러 준다. 그리고 아동이 다른 글자를 보고 유사한 내용을 찾아낼 수 있도록 격려한다.
⑦ 각 그림마다 적절한 문장을 써 넣은 다음에는 그림들을 다 모아 표지 를 붙여서 책으로 묶는다.
⑧ 아동들을 도와 그 그림책의 제목을 생각해 내도록 유도하고 제목을 표지에 적는다. 이 그림책은 다음에 다른 학습 활동을 위하여 유용하 게 쓸 수 있다.
7. 평가
평가 기준은 6번에 제시된 단계를 순서대로 잘 다랐는가, 그리고 얼마나 자연스럽게 실시하였는가 하는 점을 보게 된다.(평가지 참고)
8. 이론적 배경
간혹 아동들 중에는 평균적인 지능을 가지고 있으며, 학습장애가 있는것도 아닌데 언어발달이 느린 아동이 있다. 이러한 아동의 경우에는 교사가 아동의 말을 고쳐주는 예가 매우 흔하다. 따라서 아동이 말을 하는데 자신감을 잃게 되어 수업 중에 발표하기를 주저하게 되고 조금 거북하다고 느껴지는 분위기에서는 말을 하지 않으려고 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아동들의 자신감을 회복시키는 데는 경험적 접근이 효과적이다. 이 접근을 실시할 때는 교사가 무엇보다 먼저 아동이 말을 하는데 자신감을 회복하도록 하는 일이 중요하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교사는 아동이 수업 중에 적극적으로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고 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친근하고 자유로운 분위기를 형성하는 일이 필요하다.
교사가 이 경험적 접근이 기본 내용을 익히고 나면 그 다음에는 자신의 경험과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첨가하여 융통성 있게 진행할 수도 있다.
언어발달을 위한 이러한 경험적 접근은 개개의 아동을 위한 개별학습의 형태나 소집단 또는 대집단 학습의 경우를 막론하고 어떠한 규모의 학급에서도 적용 될 수 있으므로 가급적 전체 아동들이 다 참여하는 편이 바람직하다.
그것은 학급 전체 아동들이 모두 적극적으로 수업활동에 참여하게 되면 그 열성적인 분위기가 쉽게 전파가 되어 수줍음을 타는 아동들도 용기를 내어 발표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9. 참고문헌
Corbin, R. & Crosby, M (1965). Language programs for the disadvantaged. Champaign, Illinois :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English.
Lee, D. & Allen, R. (1963). Learning to read through experience. New York : Appleton, Centruy, Crofts.
10. 평가
평 가
수업명 : 언어 발달을 위한 경험적 접근
*교수기술 (성공적으로 달성한
항목에 ○ 표시한다)
1. 수업의 도입 부분에 아동들에게 친근하거나
공통적인 경험을 이야기 하면서 자유로운
분위기를 조성한다.
2. 아동들에게 각자가 원하는 그림을 그리도록 한다.
3. 아동들에게 자기가 그린 그림에 대해 각자 설명
하도록 한다.
4. 아동이 말하는 도중 말을 고쳐 주지 않는다.
5. 아동을 도와 각자의 그림에 알맞은 문장을 생각해
내도록 한다.
6. 그림의 여백에 아동이 말한 문장을 써 넣으면서
글자와 소리의 형태를 일러준다.
7. 그림을 모두 모아 책으로 묶는다.
8. 책 표지에 아동이 결정한 제목을 쓴다.
*평가자 의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