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대십국의 전개와 오대십국이 가지는 의의 및 특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오대십국의 전개와 오대십국이 가지는 의의 및 특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오대의 전개 및 의의
1) 오대사란?
2) 오대사가 가지는 의의
3) 당 왕조의 멸망
4) 후량과 후당
5) 연운 16주
6) 후주의 폐불
7) 오대정권의 특징

2. 십국의 성립
1) 십국十國이란?
2) 십국의 흥망
1. [오, 남당]
2. [오월]
3. [민]
4. [남한]
5. [전촉, 후촉]
6. [초]
7. [형남]
3) 십국정권의 특징
4) 문화사상으로 본 오대십국

본문내용

외국인 상인이 통화를 해외로 반출하는 것을 막거나, 1백 문文에 대응하는 전錢수를 줄임으로써 실질적으로 통화절하 효과를 노린 정책이 실시되기도 했다. 이 같은 일이 행해지는 것은 국제경제 관계가 존재했기 때문이며, 앞서 설명한 것처럼 자국의 특산물이 개발되거나 그것을 판매하기 위한 재외기관이 설치되기도 했다.
‘부국강병’을 위한 정책문제는 각 정권의 영역 내부에서는 당연히 지역개발과 결부된다. 영역 내의 개발로 유명한 예로서는 오월을 들 수 있다. 오월은 ‘도수영전사都水營田使’를 두어 수천의 부대로 태호太湖 주변의 수리농전 개발을 행한 것을 비롯해 방조사업과 배수공사를 각지에서 행하여 농업생산의 확대에 노력했다. 또한 당唐대에는 가장 후진지역이던 복건성 일대가 민지역을 지배한 왕씨에 의해 개발이 진전되었다. 오월도 민 왕조도, 인민에 대한 조세 등의 부담은 무거웠다.
4) 문화사상으로 본 오대십국
문화사상으로 중원강남을 가리지 않고 이 시대를 본다면 그 역사적 위치는 어떠한 것이었을까? 여기에 대해서는 일찍이 나파리정那波利貞이 지적했지만 전란이 이어진 오대정권에 비해 비교적 평화롭고 안정적인 상태가 유지된 십국지배 지역에서 당대의 문화는 계승 발전되었다.
그 가운데서도 남당과 촉이 차지한 위치가 컸는데 두 왕조 모두 전란을 벗어난 당의 귀족과 문인이 다수 유입된 것이 그 원인의 하나이다. 특히 주목할 만한 분야 가운데 하나가 회화일 것이다. 남당에서는 산수화의 동원董源거연巨然, 꽃과 새 그림[花鳥畵]의 서희徐熙서숭사徐崇嗣 등이 유명해 ‘강남화단江南畵壇’이라 불린다. 그들은 후주 이욱이 투항할 때 함께 송 궁정에 들어가게 되어 그들의 화풍이 송대의 회화로 이어졌다. 촉에서는 중원에서 유입된 당의 궁정화가들에 의한 화풍과 산수화가 성했다. 그 중 유명한 화가로는 불교회화의 관휴貫休가 있는데 그의 나한화羅漢畵 스타일은 널리 계승되었다. 또한 지금까지도 작품이 전해지는 수묵화의 석각石恪, 화조화의 황전黃筌 등도 잘 알려져 있다.
한편 문학분야에서는 당대 후반부터 유행하기 시작한 운문스타일의 ‘사詞’가 이들 지역에서 많은 작가를 낳았다. 남당에서는 국왕인 원종元宗 이경과 후주 이욱이 뛰어난 작가였고, 촉에서는 왕건정권의 재상이자 유명한 사인詞人이기도 했던 위장韋莊의 사를 비롯한 이 시대의 작품을 모은 사집 화간집花間集[후촉 趙崇祚가 편집]이 만들어져 현재까지 전한다.
문화와 관련된 수공업 분야에서도 촉과 남당이 차지하는 위치는 크다. 종이[남당의 궁정에서 만들어지기 시작한 澄心堂紙는 중국역사상 가장 뛰어난 것이었음]는 물론 붓과 벼루 등 문방구의 개량과 생산이 발전하여 송대에서도 지역산업으로서 번성했다.
이에 비해 중원지역에서의 문화상황은 그다지 분명하지 않지만 중원정권과 관련하여 주목할 만한 점은 풍도馮道가 중심이 되어 행한 9경經의 인쇄가 있다. 종래 왕조에서는 유학의 고전인 경서를 종종 돌에 새겨 국도의 태학太學에다 세웠는데[石經], 풍도는 이를 인쇄할 것을 제안하여, 후당 장흥長興 3년(932)부터 개시하여 4왕조를 거쳐 후주 광순廣順 3년(953)에 완성시켰다. 유감스럽게도 오늘날 실물은 존재하지 않지만 경서가 인쇄되기 시작한 사례이며 정부에 의한 최초의 출판사업이기도 하다. 또한 후촉에서는 무소예毋昭裔가 상당수의 책을 간행했다.
송대가 되면 태평어람太平御覽을 비롯한 국가적인 편찬사업이 이루어졌는데, 그 사업에는 강남 여러 나라 출신자가 다수 기용되었다. 여기에는 피정복지역 대책이라는 정치적 측면도 있지만 역시 이들 나라에 문화적 전통이 존재했다는 점이 크게 작용했다. 또한 중원과 십국, 특히 강남지역과의 문화격차는 송대의 정치상황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6.04.17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48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