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이터는 확정치 그 이후 데이터는 잠정치 자료)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소계
25,986
29,297
48,073
72,393
64,476
81,421
7,521
고등어류
0
0
0
5
50
80
0
넙치류
14,127
16,426
23,348
34,533
32,141
40,059
3,842
농어
605
873
2,006
2,778
1,850
2,600
147
능성어
6
20
39
101
36
155
6
감성돔
221
275
685
1,084
1,379
2,671
496
자리돔
0
0
0
0
0
0
0
참돔
412
641
960
4,417
3,988
5,816
396
기타돔류
386
94
234
1,287
1,430
2,048
169
민어
51
45
19
7
0
0
0
방어
494
95
186
114
45
57
6
보구치
0
5
0
0
0
0
0
복어류
2
63
29
14
48
76
2
조피볼락
8,473
9,254
16,550
23,771
19,576
21,297
1,756
기타볼락
225
76
86
167
132
339
28
노래미류
0
0
0
0
2
9
0
숭어류
968
1,415
3,898
4,093
3,596
5,500
673
임연수어
0
3
0
0
0
0
0
전갱이류
0
0
0
0
0
63
0
전어
0
0
0
0
181
576
0
쥐치류
9
3
0
3
19
74
0
기타어류
7
9
33
19
3
1
0
◎국내 양식산업 현황
전 세계 주요수산식품의 양식생산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최근 국내 양식생산량은 그 동안 정부의 생산증대 정책과 산학연의 노력에 힘입어 꾸준한 발전을 거듭하여 1993년도에 1백만 톤을 넘었으나 1999년도 이후로 다소 침체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에는 육지로부터 유입되는 각종 산업폐수, 대형유조선 침몰로 인한 유류 오염, 양식장의 지나친 밀식에 의한 어장의 노화 및 적조의 영향, 그리고 1990년 중반 이후 실시된 상수원 내의 내수면 가두리 면허 연장 중지처분으로 내수면 담수어 양식이 급속한 퇴보를 한 것 등이 국내양식산업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 하지만 국내 양식 산업이 위기에 처하게 된 가장 큰 원인은 국내양식산업구조가 기술 집약적이고 자본집약적인 어류와 갑각류 중심의 발전을 꾀하지 않은 결과로 생각되며 총 국내 양식 생산량 80만 톤 중 노동집약적인 해조류와 패류가 90%이상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영세성을 벗어나지 못해 국내외 경쟁력을 잃었다는데 있다. 이의 개선을 위해서는 국내 양식 산업 구조가 기술 집약적이고 자본집약적인 어류 및 갑각류 중심의 양식 산업으로 바뀌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세계는 이미 본격적인 해양 경쟁시대에 돌입한 상태이기 때문에 해양자원에 대한 아무런 대책이 없다면 국내양식산업이 세계양식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상대적으로 계속 하락하고 이어 수산물 수입개방에 따른 영향으로 국내양식산업은 경쟁력을 잃어 버려 다가오는 21세기에 사양 산업이 되고 말 것이다. 이러한 현황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늦은 감은 있지만, 앞으로 보다 체계적인 양식 산업에 대한 연구개발로 다가오는 21세기를 대비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국내 양식 산업이 먼저 국민 전략 품종 선정에 따른 연구의 집중화와 효율적 생산체제를 갖춤으로써 국가의 식량 기간산업으로 자리를 잡아야 할 것이다.
★참고자료
http://fs.fips.go.kr/index.jsp 해양수산부 어업생산통계
http://aqua2000.net/ 아쿠아2000
http://www.fepi.re.kr/ 수산경제연구원
2005수산양식 진흥을 위한 심포지엄 - 군산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세계어업 및 양식업 회고 - FAO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소계
25,986
29,297
48,073
72,393
64,476
81,421
7,521
고등어류
0
0
0
5
50
80
0
넙치류
14,127
16,426
23,348
34,533
32,141
40,059
3,842
농어
605
873
2,006
2,778
1,850
2,600
147
능성어
6
20
39
101
36
155
6
감성돔
221
275
685
1,084
1,379
2,671
496
자리돔
0
0
0
0
0
0
0
참돔
412
641
960
4,417
3,988
5,816
396
기타돔류
386
94
234
1,287
1,430
2,048
169
민어
51
45
19
7
0
0
0
방어
494
95
186
114
45
57
6
보구치
0
5
0
0
0
0
0
복어류
2
63
29
14
48
76
2
조피볼락
8,473
9,254
16,550
23,771
19,576
21,297
1,756
기타볼락
225
76
86
167
132
339
28
노래미류
0
0
0
0
2
9
0
숭어류
968
1,415
3,898
4,093
3,596
5,500
673
임연수어
0
3
0
0
0
0
0
전갱이류
0
0
0
0
0
63
0
전어
0
0
0
0
181
576
0
쥐치류
9
3
0
3
19
74
0
기타어류
7
9
33
19
3
1
0
◎국내 양식산업 현황
전 세계 주요수산식품의 양식생산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최근 국내 양식생산량은 그 동안 정부의 생산증대 정책과 산학연의 노력에 힘입어 꾸준한 발전을 거듭하여 1993년도에 1백만 톤을 넘었으나 1999년도 이후로 다소 침체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에는 육지로부터 유입되는 각종 산업폐수, 대형유조선 침몰로 인한 유류 오염, 양식장의 지나친 밀식에 의한 어장의 노화 및 적조의 영향, 그리고 1990년 중반 이후 실시된 상수원 내의 내수면 가두리 면허 연장 중지처분으로 내수면 담수어 양식이 급속한 퇴보를 한 것 등이 국내양식산업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 하지만 국내 양식 산업이 위기에 처하게 된 가장 큰 원인은 국내양식산업구조가 기술 집약적이고 자본집약적인 어류와 갑각류 중심의 발전을 꾀하지 않은 결과로 생각되며 총 국내 양식 생산량 80만 톤 중 노동집약적인 해조류와 패류가 90%이상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영세성을 벗어나지 못해 국내외 경쟁력을 잃었다는데 있다. 이의 개선을 위해서는 국내 양식 산업 구조가 기술 집약적이고 자본집약적인 어류 및 갑각류 중심의 양식 산업으로 바뀌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세계는 이미 본격적인 해양 경쟁시대에 돌입한 상태이기 때문에 해양자원에 대한 아무런 대책이 없다면 국내양식산업이 세계양식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상대적으로 계속 하락하고 이어 수산물 수입개방에 따른 영향으로 국내양식산업은 경쟁력을 잃어 버려 다가오는 21세기에 사양 산업이 되고 말 것이다. 이러한 현황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늦은 감은 있지만, 앞으로 보다 체계적인 양식 산업에 대한 연구개발로 다가오는 21세기를 대비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국내 양식 산업이 먼저 국민 전략 품종 선정에 따른 연구의 집중화와 효율적 생산체제를 갖춤으로써 국가의 식량 기간산업으로 자리를 잡아야 할 것이다.
★참고자료
http://fs.fips.go.kr/index.jsp 해양수산부 어업생산통계
http://aqua2000.net/ 아쿠아2000
http://www.fepi.re.kr/ 수산경제연구원
2005수산양식 진흥을 위한 심포지엄 - 군산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세계어업 및 양식업 회고 - FA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