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생애와 사상
1.생애
2.사상
Ⅱ. 교육 사상
(1) 교육과 사회생활
(2) 교육의 일반 원리
Ⅲ. 교육 목적의 특성
(1) 교육 목적의 3대원리
(2)교육 목적의 3요건
Ⅳ. 시사점
Ⅴ. 요약
1.생애
2.사상
Ⅱ. 교육 사상
(1) 교육과 사회생활
(2) 교육의 일반 원리
Ⅲ. 교육 목적의 특성
(1) 교육 목적의 3대원리
(2)교육 목적의 3요건
Ⅳ. 시사점
Ⅴ. 요약
본문내용
획에 있어서의 교사, 학부형, 일반인사의 참여가 교육 현장에서 중요하다고 보고 이를 적극적으로 권장하였다.
네 번째 특징은 과학적 교육의 강조다. 교육과정에 있어서 비과학적 요소는 용납하지 않았으며 그러한 요소들은 적극적으로 과학화하고 합리화하는 작업을 해야 한다고 보았다. 해방 이후 일찍부터 一人一技, 과학교육, 실업교육 등이 강조되어 온 것도 이의 영향이라고 볼 수 있다.
다섯 번째 특징은 과정 중심 교육이다. 종래의 교육은 결과 중심 교육이었다. 목적이 수단을 합리화한다는 결과론적 사고가 지배적이었기 때문에 여러 가지 교육적 오류들을 비판 없이 수용할 수 있었다. 그러나 과정 중심 사고가 일반화되면서 학습 활동에 있어서 참여도 중시하게 되었으며, 단순한 아동, 교사의 참여 뿐만이 아니라, 사회 인사, 학부모 등의 시간적, 공간적 분담과 성원으로서의 참여가 교육적으로 큰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보았다.
Ⅴ 요약
듀이의 교육사상은 근대의 교육사상을 재구성하여 현대의 경험주의적 교육사상으로 재정립시킨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한세기에 걸치는 그의 생애에서 볼 때 초기의 관념론적 사상은 점차 경험주의적인 사상으로 성숙 발전하다가, 말기에는 다시 지성의 고조를 통한 새로운 이상주의적인 일면을 나타내고 있다는 사실도 간과해서는 안된다고 생각한다.
인간은 하나의 생명체로서 환경에 대한 작용을 통하여 자기를 갱신한다. 생명체의 본질은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자기를 갱신하는데 있다. 이러한 과정이 성장이며, 생명의 특징은 성장에 있다. 따라서 교육의 목적은 인간의 성장을 계속 촉진시키는 데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때 성장의 과정이란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경험의 의미를 증대시키는 경험의 개조 재구성이다. 그러므로 이 과정은 연속적으로 경험을 개조하고 재구성하며, 변형하는 과정이다. 교육은 이러한 경험의 의미를 발전시키기 위한 경험의 개조와 재구성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J.Dewey(이홍우 譯), {민주주의와 교육}, 교육과학사, 1987
J.S.Brubacher(이원호 譯), {교육사}, 문음사, 1985
김재만, {교육철학.사}, 형설출판사, 1987
김재만, {듀이 철학}, 배영사, 1980
우메네 사토루(김정환, 심성보 譯), {세계교육사}, 풀빛, 1990
柳久雄(임상희 譯), {교육사상사}, 백산서당, 1985
한기언, {한국현대교육철학}, 하우출판사, 1995
네 번째 특징은 과학적 교육의 강조다. 교육과정에 있어서 비과학적 요소는 용납하지 않았으며 그러한 요소들은 적극적으로 과학화하고 합리화하는 작업을 해야 한다고 보았다. 해방 이후 일찍부터 一人一技, 과학교육, 실업교육 등이 강조되어 온 것도 이의 영향이라고 볼 수 있다.
다섯 번째 특징은 과정 중심 교육이다. 종래의 교육은 결과 중심 교육이었다. 목적이 수단을 합리화한다는 결과론적 사고가 지배적이었기 때문에 여러 가지 교육적 오류들을 비판 없이 수용할 수 있었다. 그러나 과정 중심 사고가 일반화되면서 학습 활동에 있어서 참여도 중시하게 되었으며, 단순한 아동, 교사의 참여 뿐만이 아니라, 사회 인사, 학부모 등의 시간적, 공간적 분담과 성원으로서의 참여가 교육적으로 큰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보았다.
Ⅴ 요약
듀이의 교육사상은 근대의 교육사상을 재구성하여 현대의 경험주의적 교육사상으로 재정립시킨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한세기에 걸치는 그의 생애에서 볼 때 초기의 관념론적 사상은 점차 경험주의적인 사상으로 성숙 발전하다가, 말기에는 다시 지성의 고조를 통한 새로운 이상주의적인 일면을 나타내고 있다는 사실도 간과해서는 안된다고 생각한다.
인간은 하나의 생명체로서 환경에 대한 작용을 통하여 자기를 갱신한다. 생명체의 본질은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자기를 갱신하는데 있다. 이러한 과정이 성장이며, 생명의 특징은 성장에 있다. 따라서 교육의 목적은 인간의 성장을 계속 촉진시키는 데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때 성장의 과정이란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경험의 의미를 증대시키는 경험의 개조 재구성이다. 그러므로 이 과정은 연속적으로 경험을 개조하고 재구성하며, 변형하는 과정이다. 교육은 이러한 경험의 의미를 발전시키기 위한 경험의 개조와 재구성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J.Dewey(이홍우 譯), {민주주의와 교육}, 교육과학사, 1987
J.S.Brubacher(이원호 譯), {교육사}, 문음사, 1985
김재만, {교육철학.사}, 형설출판사, 1987
김재만, {듀이 철학}, 배영사, 1980
우메네 사토루(김정환, 심성보 譯), {세계교육사}, 풀빛, 1990
柳久雄(임상희 譯), {교육사상사}, 백산서당, 1985
한기언, {한국현대교육철학}, 하우출판사, 1995
추천자료
레지오에밀리아의 유아교육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 레포트
미국의 시민교육
Herman H. Horne
[협력학습]협력학습의 국어과 교육(국어교육)과 영어과 교육(영어교육), 협력학습의 수학과 ...
교육학개론정리(교육철학) 전체요약
[노인교육][노인][노인교육 의의][노인교육 기관][노인교육 법적지원]노인교육의 기능, 노인...
평생교육(평생학습)의 정의, 평생교육(평생학습)의 확산, 평생교육기관(평생교육시설)의 정의...
보육과정 - 레지오에밀리아
평생교육
[퍼지][퍼지와 진화연산 응용 사례][성과측정방법 비교]퍼지의 응용가능성, 퍼지의 응용, 퍼...
레지오 에밀리아 프로그램의 이해
언어 발달과 지도 - 총체적 언어교육에 관하여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