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산소성역치(AT)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무산소성역치(AT)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무산소성 역치의 개념과 중요성

2)무산소성역치와 최대산소섭취량

3)무산소성역치와 지구성능력

4)지구력 트레이닝의 강도로서 무산소성 역치

5)무산소성 역치의 측정방법

6)참고문헌

본문내용

장점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OBLA의 결정을 위해서는 Sjodin 과 Jacobs(1981)는 트레드밀을 이용하여 4가지속도에서 각 4분간 운동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 방법에 의하면 위밍업은 선수의 트레이닝 상태나 최대산소섭취량을 고려하여 대략 최대산소섭취량의 45~50%의 운동 강도에서 5분간 실시한다. 그 후에 1단계 운동부하는 위밍업의 운동 강도보다 0.5~1Km/h정도 더 높은 속도로 4분간 실시하고 그 후의 운동 강도는 그전의 운동 속도 보다 1~2Km/h씩 높여서 각 4분간 운동하면서 혈중저산농도가 4mK를 초과하면 그이루의 부하는 생략한다. 그리고 혈액채취는 각 운동부하 단계의 마지막 15~20초 사이에 실시하여 혈중 젖산농도를 측정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여 측정된 혈중 젖산농도를 트레드밀 속도에 대응시켜 플로팅한 다음 보간법에 의하여 OBLA를 결정한다.
6)참고문헌
운동과 스포츠 생리학 (주)대한미디어
운동과건강, 조현철, 라이프사이언스,2002
운동과건강, 김현 외4명, 학이당,2003
건강과 운동, 박철배, 태근문화사,1995
운동생리, 공응대,형설출판사,1995
21세기의 스포츠과학 이명천,2001

키워드

  • 가격9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6.06.20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59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