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전력 수요에 따란 생산량 예측
2. 국내 전력 생산 현황
1) 원자력 발전
◎원자력에너지의 필요성
◎국내 원자력 발전소 전력 생산량
◎세계의 원자력 현황 비교
◎원자력 발전의 장단점
2) 화력 발전
◎ 화력발전 종류
① 화력(기력발전)
② 복합발전
③ 내연력발전
④ 열병합발전
◎ 화력 발전의 장단점 및 전망
◎ 발전현황 <한국남부발전(주)>
① 발전현황
② 건설중 설비
③ 건설기본확정 단계공사
④ 설비용량내역
◎ 발전현황 <한국남동발전(주)>
① 운영설비
② 건설설비(계획중 설비 포함)
◎ 발전회사별 설치용량비교
◎ 발전회사별 설비용량내역
3) 수력발전
◎ 수력발전설비 현황
◎ 수력 발전의 장단점 및 전망
2. 국내 전력 생산 현황
1) 원자력 발전
◎원자력에너지의 필요성
◎국내 원자력 발전소 전력 생산량
◎세계의 원자력 현황 비교
◎원자력 발전의 장단점
2) 화력 발전
◎ 화력발전 종류
① 화력(기력발전)
② 복합발전
③ 내연력발전
④ 열병합발전
◎ 화력 발전의 장단점 및 전망
◎ 발전현황 <한국남부발전(주)>
① 발전현황
② 건설중 설비
③ 건설기본확정 단계공사
④ 설비용량내역
◎ 발전현황 <한국남동발전(주)>
① 운영설비
② 건설설비(계획중 설비 포함)
◎ 발전회사별 설치용량비교
◎ 발전회사별 설비용량내역
3) 수력발전
◎ 수력발전설비 현황
◎ 수력 발전의 장단점 및 전망
본문내용
NG
900 MW
경기 성남시
무주양주
-
600.4 MW
전북 무주군
소 계
-
-
7,194 MW
-
② 건설설비(계획중 설비 포함)
담당부하
발전소
사용연료
시설용량
위 치
기저
영흥화력 #3,4
유연탄 (수입탄)
1,600 MW
인천 옹진군
첨두
예천양수
-
800 MW
경북 예천군
◎발전회사별 설치용량비교
◎발전회사별 설비용량내역 (단위: MW)
구분
남 동
중 부
서 부
남 부
동 서
운전중
기저
4,840
3,000
3,000
3,000
2,500
중간
853.6
2,153
1,400
460
2,200
첨두
1,500.4
1,800
2,880
4,111
2,800.4
소계
7,194
6,953
7,280
7,571
7,500.4
건설중
기저
1,600
1,000
1,000
1,200
2,000
중간
-
-
-
-
-
첨두
800
1,450
600
-
-
소계
2,400
2,450
1,600
1,200
2,000
총 계
9,594
9,403
8,880
8,771
9,500.4
<장점>
- 발전소를 건설하는 비용이 싸다.
- 지형적인 요소(수력발전소는 강이 있어야 되고, 원자력발전소는 냉각수를 쉽게 얻을 수 있는 해안지역 등)에 제약받지 않고 건설할 수 있다.
<단점>
- 전기를 생산하기 위한 에너지를 화석에너지를 사용함으로써, 엄청난 공해(매연) 을 발생시킨다.
- 화석에너지가 점차 고갈되어가고 있으므로, 언젠가는 더 이상의 발전이 불가능해 진다.
- 화석에너지의 고갈에 따른, 가격 상승으로 인하여, 전기의 생산단가가 계속적으 로 올라간다.
- 화석에너지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는 한국에서는 화석에너지를 안정적으로 공 급 받기 어렵다.
<전망>
- 더 이상의 대규모 화력발전소 건설은 이루어 지지 않을 전망이다.
- 그러나, 소규모 외딴 지역을 위한, 건설은 가능하나, 이 경우에도, 화석에너지의 수급 때문에 많이 확대될 것 같지 않으며, 점차적으로 소멸될 것으로 예상된다.
3) 수력발전
수력발전은 국내 부존자원인 물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므로 무공해 청정에너지이며 발전연료 수입 대체효과, 양질의 전력공급에 기여하고 있다. 기동과 정지, 출력조정 시간이 원자력이나 화력 등 기타 전력설비에 비해 빨라 부하변동에 대한 속응성이 우수하므로 첨두부하를 담당하여 양질의 전력공급에 기여하고 있다. 수력발전소는 외부의 전원 없이 자체 기동이 가능하며 짧은 시간내에 전출력까지 송전할 수 있으므로 전지역 광역정전 또는 일부지역 정전시 인접한 계통으로 부터 수전이 불가능 하거나 수전에 30분 이상 소요될 때에는 정전된 지역내의 자체 기동 발전소를 가동하여 전력계통에 전력을 공급한다.
이렇게 수력발전은 계통 속응성을 활용하여 원자력 및 석탄화력의 대용량기가 불시에 고장으로 계통 탈락하는 등 계통사고 시에 대비한 상시대기 예비력으로 운용되어 전력계통 공급신뢰도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수력발전설비 현황
발전소
용량[kW]
비고
<일반수력>
화천
108,000
한수원
춘천
57,600
"
의암
45,000
"
청평
79,600
"
팔당
120,000
"
괴산
2,600
"
섬진강
34,800
"
보성강
45,000
"
안흥
450
"
강릉
82,000
"
추산
1,400
한전
소양강
200,000
수공
대청
90,000
"
충주
412,000
"
합천
101,200
"
주암
22,500
"
임하
50,000
"
남강
14,000
"
용담
24,400
"
계
1,450,050
37.4%
<양 수>
무주
600,000
남동
삼랑진
600,000
서부
청평
400,000
남부
산청
700,000
동서
안동
90,000
수공
계
2,390,000
61.7%
발전소
용량[kW]
비고
<소 수 력>
포천
2,970
임기
1,100
동진
2,000
방우리
2,120
소천
2,400
덕송
2,000
단양
2,100
영월
2,800
금강
1,350
봉화
2,000
산내
820
광천
450
대아
3,000
정선
1,920
경천
800
반변
1,060
보령
701
부안
193
성주
1,800
운문
330
횡성
1,000
영천
1,000
밀양
500
계
34,414
0.9%
계
3,874,464
100%
◎화력 발전의 장단점
<장점>
- 설비의 운전절차가 간단하다. 자얀의 에너지(떨어지는 물의 운동에너지)를 그대 로 이용하기 때문에 화력발전이나 원자력 발전처럼, 증기터빈이 필요없고, 시히기 위한 냉각 시스템도 필요없습니다.
- 공해가 없고 운전비용이 저렴하다. 연료를 태우는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오염물 질이 발생하지 않으며 연료구입 비용도 들지 않습니다.
- 수자원 관리가 가능하다. 다른 발전소는 대부분 발전을 목적으로 세우지만 수력 발전소는 발전뿐만 아니라 홍수와 가뭄 예방을 위해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 다.
<단점>
- 건설 기간이 길고 비용이 많이 든다. 다른 발전소와는 달리 먼저 댐을 건설해야 하기 때문에 초기에 투입되는 비용이 많고 건설에 시간이 많이 걸린다.
- 건설지역이 한정되어 있다. 수력발전을 위해서 높은 수위차를 유지해야하고, 많 은 양의 물을 가지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건설지역이 제한될 수 밖에 없다. 남쪽 과 같이 높은 산이 없는 지역에서는 대규모 수력발전소가 불가능하다. 우리나라 는 북한의 압록강이나 두만강에 있는 수력발전소의 생산전력이 매우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 환경을 파괴시킬 수 있다. 댐을 건설함으로써 댐 아래지역의 물의 양을 변화시키 고, 댐으로 인해 동줄들이 이동로가 막히고, 주거환경이 바뀌는 등 생태계가 단절 되는 문제를 야기시킨다.
- 수요자에게 멀어 전력손실이 크다. 화력이나 원자력은 도심 인근지역에 세울 수 있지만, 수력은 산 속 깊은 곳에 주로 건설된다. 전력생산지와 소비지역이 멀수록 송전과정에서 전력손실이 많이 발생한다.
<전망>
- 중국의 경우, 양자강을 막은 ‘산샤댐’을 댐이 있으며, 이는 무공해 세계 최 대 발전 용량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 하지만, 거대한 강과, 일정량 이상의 강우량이 보장되어야하므로, 한국에서는 더 이상의 대규모 수력발전소의 건설은 힘들 것으로 예상된다.
900 MW
경기 성남시
무주양주
-
600.4 MW
전북 무주군
소 계
-
-
7,194 MW
-
② 건설설비(계획중 설비 포함)
담당부하
발전소
사용연료
시설용량
위 치
기저
영흥화력 #3,4
유연탄 (수입탄)
1,600 MW
인천 옹진군
첨두
예천양수
-
800 MW
경북 예천군
◎발전회사별 설치용량비교
◎발전회사별 설비용량내역 (단위: MW)
구분
남 동
중 부
서 부
남 부
동 서
운전중
기저
4,840
3,000
3,000
3,000
2,500
중간
853.6
2,153
1,400
460
2,200
첨두
1,500.4
1,800
2,880
4,111
2,800.4
소계
7,194
6,953
7,280
7,571
7,500.4
건설중
기저
1,600
1,000
1,000
1,200
2,000
중간
-
-
-
-
-
첨두
800
1,450
600
-
-
소계
2,400
2,450
1,600
1,200
2,000
총 계
9,594
9,403
8,880
8,771
9,500.4
<장점>
- 발전소를 건설하는 비용이 싸다.
- 지형적인 요소(수력발전소는 강이 있어야 되고, 원자력발전소는 냉각수를 쉽게 얻을 수 있는 해안지역 등)에 제약받지 않고 건설할 수 있다.
<단점>
- 전기를 생산하기 위한 에너지를 화석에너지를 사용함으로써, 엄청난 공해(매연) 을 발생시킨다.
- 화석에너지가 점차 고갈되어가고 있으므로, 언젠가는 더 이상의 발전이 불가능해 진다.
- 화석에너지의 고갈에 따른, 가격 상승으로 인하여, 전기의 생산단가가 계속적으 로 올라간다.
- 화석에너지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는 한국에서는 화석에너지를 안정적으로 공 급 받기 어렵다.
<전망>
- 더 이상의 대규모 화력발전소 건설은 이루어 지지 않을 전망이다.
- 그러나, 소규모 외딴 지역을 위한, 건설은 가능하나, 이 경우에도, 화석에너지의 수급 때문에 많이 확대될 것 같지 않으며, 점차적으로 소멸될 것으로 예상된다.
3) 수력발전
수력발전은 국내 부존자원인 물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므로 무공해 청정에너지이며 발전연료 수입 대체효과, 양질의 전력공급에 기여하고 있다. 기동과 정지, 출력조정 시간이 원자력이나 화력 등 기타 전력설비에 비해 빨라 부하변동에 대한 속응성이 우수하므로 첨두부하를 담당하여 양질의 전력공급에 기여하고 있다. 수력발전소는 외부의 전원 없이 자체 기동이 가능하며 짧은 시간내에 전출력까지 송전할 수 있으므로 전지역 광역정전 또는 일부지역 정전시 인접한 계통으로 부터 수전이 불가능 하거나 수전에 30분 이상 소요될 때에는 정전된 지역내의 자체 기동 발전소를 가동하여 전력계통에 전력을 공급한다.
이렇게 수력발전은 계통 속응성을 활용하여 원자력 및 석탄화력의 대용량기가 불시에 고장으로 계통 탈락하는 등 계통사고 시에 대비한 상시대기 예비력으로 운용되어 전력계통 공급신뢰도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수력발전설비 현황
발전소
용량[kW]
비고
<일반수력>
화천
108,000
한수원
춘천
57,600
"
의암
45,000
"
청평
79,600
"
팔당
120,000
"
괴산
2,600
"
섬진강
34,800
"
보성강
45,000
"
안흥
450
"
강릉
82,000
"
추산
1,400
한전
소양강
200,000
수공
대청
90,000
"
충주
412,000
"
합천
101,200
"
주암
22,500
"
임하
50,000
"
남강
14,000
"
용담
24,400
"
계
1,450,050
37.4%
<양 수>
무주
600,000
남동
삼랑진
600,000
서부
청평
400,000
남부
산청
700,000
동서
안동
90,000
수공
계
2,390,000
61.7%
발전소
용량[kW]
비고
<소 수 력>
포천
2,970
임기
1,100
동진
2,000
방우리
2,120
소천
2,400
덕송
2,000
단양
2,100
영월
2,800
금강
1,350
봉화
2,000
산내
820
광천
450
대아
3,000
정선
1,920
경천
800
반변
1,060
보령
701
부안
193
성주
1,800
운문
330
횡성
1,000
영천
1,000
밀양
500
계
34,414
0.9%
계
3,874,464
100%
◎화력 발전의 장단점
<장점>
- 설비의 운전절차가 간단하다. 자얀의 에너지(떨어지는 물의 운동에너지)를 그대 로 이용하기 때문에 화력발전이나 원자력 발전처럼, 증기터빈이 필요없고, 시히기 위한 냉각 시스템도 필요없습니다.
- 공해가 없고 운전비용이 저렴하다. 연료를 태우는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오염물 질이 발생하지 않으며 연료구입 비용도 들지 않습니다.
- 수자원 관리가 가능하다. 다른 발전소는 대부분 발전을 목적으로 세우지만 수력 발전소는 발전뿐만 아니라 홍수와 가뭄 예방을 위해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 다.
<단점>
- 건설 기간이 길고 비용이 많이 든다. 다른 발전소와는 달리 먼저 댐을 건설해야 하기 때문에 초기에 투입되는 비용이 많고 건설에 시간이 많이 걸린다.
- 건설지역이 한정되어 있다. 수력발전을 위해서 높은 수위차를 유지해야하고, 많 은 양의 물을 가지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건설지역이 제한될 수 밖에 없다. 남쪽 과 같이 높은 산이 없는 지역에서는 대규모 수력발전소가 불가능하다. 우리나라 는 북한의 압록강이나 두만강에 있는 수력발전소의 생산전력이 매우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 환경을 파괴시킬 수 있다. 댐을 건설함으로써 댐 아래지역의 물의 양을 변화시키 고, 댐으로 인해 동줄들이 이동로가 막히고, 주거환경이 바뀌는 등 생태계가 단절 되는 문제를 야기시킨다.
- 수요자에게 멀어 전력손실이 크다. 화력이나 원자력은 도심 인근지역에 세울 수 있지만, 수력은 산 속 깊은 곳에 주로 건설된다. 전력생산지와 소비지역이 멀수록 송전과정에서 전력손실이 많이 발생한다.
<전망>
- 중국의 경우, 양자강을 막은 ‘산샤댐’을 댐이 있으며, 이는 무공해 세계 최 대 발전 용량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 하지만, 거대한 강과, 일정량 이상의 강우량이 보장되어야하므로, 한국에서는 더 이상의 대규모 수력발전소의 건설은 힘들 것으로 예상된다.
추천자료
명장정밀회사의 생산운영관리
계면공학 Orimulsion의 생산 및 이용 분석
토요타생산관리
과일 생산농가 전자상거래의 문제점 및 발전방안
나말여초 농업생산력 향상에 관한 고찰
대구지역 생산직 근로자의 숙련형성 실태분석 및 과제
유연 생산 시스템
북한 어업생산기반의 여건
한국생산성본부
생산운영 관리 보고서
정부의 생산성혁신을 위한 공무원 사기와 동기부여 향상방안 연구
경영학:생산관리) JIT(Just-In-Time) 시스템을 설명하고 그 적용사례를 하나 이상 찾아 설명...
도요타 생산방식 [JIT 소개]
[생산관리] 오이의 유통프로세스 현재와 개선책 - 국내 농수산물을 통한 유통프로세스 고찰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