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게임 그래픽과 인상주의 - 게임그래픽은 예술인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3D게임 그래픽과 인상주의 - 게임그래픽은 예술인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게임 그래픽은 예술인가

3. 3D 게임 그래픽의 역사

4. 인상주의란?

5. 3D 게임 그래픽의요소와 인상주의와의 관계
a. 빛에 관하여
b. 색에 관하여

6. 결론

※참고자료

본문내용

최종 색상 값을 표현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앞서 이야기한 빛에서도 볼 수 있듯이 현재의 하드웨어와 3D기술이 현실적인 것을 그대로 보여주기 힘들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보이게끔 하는 기법 위주의 표현이 중심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그래픽 파이프라인 구조도 정확한 표현보다는 기법 표현의 효율성을 위해 만들어
졌다고 할 수 있다.
[그림 ] 마비노기 (Nexon) - 렌더링 과정
정리하자면, 3D 게임 그래픽의 색의 처리는 현실적인 어려움으로 인해 본래의 색의 표현 보다는 색 자체의 변화와 표현에 초점을 두고 발전 하였다. 3D 그래픽의 색이라는 존재는 사물을 표현하는 핵심이며 색의 표현을 중점적으로 발전하고 있다는 말은 인상주의에서의 색감의 표현과 관계 한다고 하겠다. 물론, 기술이 발전하면서 실제와 비슷한 색을 현실과 같은 방법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노력이 있지만 이쪽의 발전 보다는 쉐이더 - 렌더링 공정 중 다양한 연산을 해주는 역할을 하는 함수 또는 장치 - 의 발전이 주가 되는 것으로 봐서는 3D 게임의 그래픽 표현은 실제적인 색을 보여주는 것 보다는 색 자체의 표현을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제로 PC의 대표적인 그래픽 API인 DirectX는 버젼업을 하면서 점점 많은 쉐이더의 기능의 지원을 목표로 발전하고 있다.
[그림 ] 뷰티풀 죠 (Capcom)
6. 결론
현대 사회에서 이제는 커다란 오락의 하나로 성장한 게임은 영화와 연극이 걸어 온 것 같이 단순한 즐거움뿐만 아니라 예술적인 면도 차차 가지게 되었다. 게임의 여러 요소 중 모니터에 투영되는 시각적 요소는 대표적인 게임안의 예술분야가 되었고 가장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는 분야이다. 이중 3D 게임 그래픽은 가장 발전된 분야이며, 가장 연구가 많은 분야로써 게임의 시각적 예술성을 높여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인상주의가 사실 주의의 반발로 생겨난 것에 비해 3D 게임 그래픽은 사실성의 표현이 기술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표현 중심의 기술 위주로 발전 하였다. 이러한 태생의 한계성에 의해 인상주의가 추구해온 빛에 의한 색채, 색조, 질감 자체를 3D 게임 그래픽 역시 추구 하고 있으며 발전해 오고 있다. 현재의 렌더링 기술이 쉐이더 위주로 발전함이 이를 말해주고 있다. 인상주의와 3D 게임 그래픽은 이러한 태생적인 차이점과 생겨난 목적, 이유가 다르지만 둘 모두 색 자체의 표현이라는 것을 중심으로 생각하게 되었고 추구해 온 것으로 보아 직접적으로 3D 게임 그래픽이 인상주의의 영향을 받았다고 할 수 없지만, 인상주의의 기법이나 생각은 3D 게임 그래픽에 이어져 왔다고 할 수 있겠다.
참고자료
1) Real-Time Rendering 2판
(Tomas Akenine-Moller , Eric Haines 저 - AK PETERS)
2) Advanced 3D Game Programming uing DirectX 8.x
(Peter Walsh 저 - 영진출판사)
3) DirectX 실시간 렌더링 실전 테크닉
(켈리 뎀스키 저 - Premier Press)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6.06.28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70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