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 관련 교과서 분석하기(초등학교 6학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악 관련 교과서 분석하기(초등학교 6학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사회 교과서(2학기 p64)

2. 국어 말하기 듣기 쓰기 교과서 (2학기 p67~68)

3. 국어 읽기 (2학기 p48~49)

4. 사회과탐구(1학기 p89 )

5. 체육 (p107~112)

6. 음악 교과서
1. 둥당기 타령 (p12~13)
2. 개구리 소리(p16~17)
3. 극음악 (p.23)
4. 수제천(p.29)
5. 싸름 (p.32~33)
6. 거문도 뱃노래(p.38~39)
7. 풍년가
8. 음악과 의식(p46~47)
9. 쾌지나 칭칭 나네(48~49)

본문내용

불러 봅시다.
3) 굿거리장단에 맞추어 노래 불러 봅시다.
청성자진한잎 : 이음악은 관악기인 단소나 대금으로 연주하는 독주곡입니다.
4) ‘청성자진한잎’을 들어보고, 악곡의 특징을 이야기해 봅시다.
5) 단소와 대금으로 여주되는 ‘청성자진한잎’을 듣고 비교하여 이야기해 봅시다.
☞ 이 제재는 풍년의 기쁨을 노래한 경기 미요로 시김새를 가르치기에 적절한 곡이다. 자연스러운 목소리로 시김새를 살려 부르고, 굿거리장단치기에 중점을 둔다. 감상곡<청성자진한잎>은 단소와 대금으로 연주되는 곡을 비교하여 듣는 것에 중점을 두도록 한다.
8. 음악과 의식(p46~47)
음악은 의식의 의미를 보다 깊고 값지게 만듭니다.
취타 : 취타는 대취타의 가락을 관현 합주곡을 바꾸어 연주하는 곡입니다. 가락을 주의 깊게 들어봅시다.
2) 여러 가지 악기들의 어울림과 가락의 특징을 파악하여 들어 봅시다.
3) 장단을 치면서 들어 봅시다.
4) 취타와 대취타의 차이점을 비교하며 감상해 봅시다.
☞ 이 제재는 생활 속에서 이루어지는 의식과 음악과의 관계에 대해 이야기하고 음악과 생활의 밀접한 관계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둔다. 감상곡 <취타>는 <대취타>를 편곡한 현악 합주곡으로 이 둘을 비교 감상하는 활동에 중점을 두어 지도한다. 또 취타 장단을 익혀 장단을 치며 감상하고, 연주 악기나 연주 형태를 탐색해보는 기회를 가진다.
9. 쾌지나 칭칭 나네(48~49)
경상도 민요, 굿거리
1) 노래의 빠르기에 맞추어 굿거리 장단과 자진모리 장단을 치며 노래 불러 봅시다.
2) 빠르기를 변화시켜 다음 가사로 불러 봅시다. 빠르기에 따라 가락을 어떻게 부르는 것이 좋은지 이야기해 봅시다.
<메기는 소리> 달아 달아 ...
3) 모둠별로 메기는 부분의 가사를 바꾸어 흥겹게 노래 불러 봅시다.
4) 다른 모둠의 노래를 듣고 잘 된 점을 이야기해 봅시다.
☞ 이 곡은 경상도 민요로 메기고 받는 방식으로 노래를 부르고, 굿거리장단과 자진모리장단을 치며 빠르기 변화를 학습하기에 적절할 곡이다. 메기고 받으며 노래 부르기, 장단 변화에 맞추어 노래 부르기, 가사 창작하여 노래 부르기에 중점을 둔다. 특히 실제로 음악에 맞추어 장구를 치며 빠르기 변화를 느껴 보도록 한다.
10. 썰매 (p56)
이원수 작사/이성동 작곡
자진모리 -> 굿거리 변화
▲ 참고문헌
1. 초등학교 6학년 교과서(전 과목)
2. 초등학교 6학년 교사용 지도서 (전 과목)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07.10
  • 저작시기2005.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83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