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부르크하르트의 생애
2. 19세기와 부르크하르트의 역사의식
3. 부르크하르트의 문화사관
4. 결론
2. 19세기와 부르크하르트의 역사의식
3. 부르크하르트의 문화사관
4. 결론
본문내용
기 후반의 미학적·예술적인 문화사적 서술은 바로 그에게서 절정에 도달했었다. 그에게 문화란 가치이자 자유였으며, 이 자유는 외면적이 아니라, 내면적인 정신의 자유를 의미하는 것이었다. 그러므로 그가 문화사에 매진했던 것은 바로 문화의 정신적 자유를 위한 것이었다. 그리고 그의 관제는 그의 현재인식과 미래의식에서 세워졌다. 즉 그는 그리스·로마시기에 형성되었고, 르네상스시기에 새로이 전승되었던 유럽문화가 근세국가들의 형성 이래로 이미 제약되어 왔거니와 19세기에 와서는 강대국 지향의 민족주의에 의해 억압되고 있고, 산업사회의 물질주의에 의해 속물화되고 있는 시민계급과 전통을 부정하는 대중운동의 획일적 평등주의에 의해 상실되고 있는 현실에 분노하고 있었고, 당대의 권력지향주의와 획일적인 대중운동 속에 필연적으로 전체주의가 등장할 것이며, 결국 문화운반자로서의 개인들은 자유를 상실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위기의식에서 그가 문화사를 서술한다는 것은 문화의 가치와 의미를 각성시키는 작업이었고, 유럽문화의 계속적인 전승을 위한 것이었다. 실로 그는 속물화된 산업사회에서 문화에 대한 각성과 정신의 고양을 통해 역사를 구원하고자 시도했던 것이다. 그에게 이러한 시도를 특히 자극시켰던 것은 다름 아닌 그의 미래의식이었고, 이것이 그의 문화사 서술과 사학사적 의미를 특징짓게 되었다. 세계대전 이후에 랑케의 제자인 마이네케가 베를린 아카데미에서 행한 연설에서, 부르크하르트는 미래를 예견할 줄 알았던 점에 있어서 랑케보다 더 위대한 역사가였다고 말했던 것은 실로 의미 있는 평가라고 할 수 있겠다.
추천자료
고려시대의 역사의식과 역사서술 / 한국의 역사가와 역사학
중국의 상업 혁명-19세기 중․서 상업 자본주의의 전개
[개항,쇄국정책]19세기 조선의 개항과 대원군의 쇄국정책
산업화 시대의 아동 노동 - 19세기 프랑스와 영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러시아 문학사 19~20세기 주요 흐름 요약
[역사의식, 역사인식] 한국과 한국인의 역사의식
[불문학] 19세기 프랑스 낭만주의와 사실주의
[불문학] 19세기 프랑스 사회사 요약
아르누보 양식의 특성과 19세기 아르누보양식의 복식(Clothing)과의 연관성
K.Chopin과 C. P. Gilman의 소설을 통해 엿볼 수 있는 19세기 후반 미국사회의 여성문제
영유아 교육이 현재에 이르기까지 시대적(18,19,20,21세기)으로 어떠한 요인의 영향을 받으며...
[불교, 불교적 상상력, 불교적 진리판별, 불교적 역사의식, 불교적 사생관, 불교적 청소년, ...
[여성 영문학] The Yellow Wallpapaer(노란 벽지)와 The Mill on the Floss(플로스강의 물방...
[현대의서양문화][19세기인종주의가발명한신화][서구중심주의][제국주의][인종주의]서구중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