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측량 기계와 기구 조사
1. 간의
사진, 사용년도, 제작자, 특징 등
2. 혼천의
사진, 사용년도, 제작자, 특징 등
3. 인지의
사진, 사용년도, 제작자, 특징 등
4. 기리고차
사진, 사용년도, 제작자, 특징 등
5. 청구도
사진, 사용년도, 제작자, 특징 등
6. 대동여지도
사진, 사용년도, 제작자, 특징 등
1. 간의
사진, 사용년도, 제작자, 특징 등
2. 혼천의
사진, 사용년도, 제작자, 특징 등
3. 인지의
사진, 사용년도, 제작자, 특징 등
4. 기리고차
사진, 사용년도, 제작자, 특징 등
5. 청구도
사진, 사용년도, 제작자, 특징 등
6. 대동여지도
사진, 사용년도, 제작자, 특징 등
본문내용
지도
大東輿地圖
조선 후기 김정호(金正浩)가 제작한 한국지도.
1985년 8월 9일 보물 제850호로 지정되었다. 목판본이며, 22첩으로 이루어져 있다. 1861년(철종 12) 김정호 자신이 판각하여 초판을 발간하고 1864년(고종 1) 재간하였다. 1834년에 펴낸 《청구도》의 자매편으로서 그 내용을 보충하고 일반인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는 책자 형식의 분첩절첩식(分帖折疊式)으로 만들었다.
즉, 전체를 22첩으로 꾸며서 접으면 책자가 되고, 2~3첩씩 합쳐서 볼 수도 있으며 모두 펼치면 전도(全圖)가 되게 제작한 것이다. 각 첩은 가로 20.1㎝, 세로 30.2㎝이고, 전체는 가로 3.3m, 세로 6.7m의 방대한 크기이다. 한반도를 남북으로 22등분하여 한 층에 동서 80리, 남북 120리를 포괄하도록 만들어 축척은 16만 분의 1이다.
지도의 내용은 산천(山川) 해도(海島) 영아(營衙) 읍치(邑治) 성지(城池) 진보(鎭堡) 역참(驛站) 창고(倉庫 목소(牧所) 봉수(烽燧) 능침(陵寢) 방리(坊里) 고현(古縣) 고산성(古山城) 도로 등이 표시되어 있다. 지도표를 명확하게 예시하고, 도로를 나타낸 선상에 10리마다 점을 찍어 거리를 표시하는 등 도로망 산천의 본지(本支)가 훨씬 세밀해졌으며 산맥의 표시방법도 진보되어 있다. 서문에 해당하는 지도유설(地圖類說)에서 정치 경제 국방 학문 연구의 모든 분야에서 지도와 지리지는 반드시 필요하다고 편찬목적을 밝혔다.
이 지도는 김정호가 《청구도》를 제작한 뒤 27년 동안 전국 방방곡곡을 답사하고 실측한 집념의 결정으로 그 정확함이 현행의 지도와 큰 차이가 없다. 서양의 지도학이 들어오기 전에 이미 한국 지도학을 대성시킨 문화재라 할 수 있다.
이 판각본을 흥선대원군에게 바치자 그 정밀함에 놀란 조정에서는 국가 기밀을 누설한다는 죄목으로 각판을 불태우고 간행을 금지하였으며, 김정호는 투옥되어 옥사하였다는 설도 있다. 1936년 경성제국대학에서 축쇄판과 소재지명 색인을 간행한 이래 각종 영인본이 출간되었다. 성신여자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2004년 2월 처음으로 일반에 공개되었다. 이외에 서울역사박물관과 경상남도의 거창박물관에도 이본이 소장되어 있다.
목 차
1. 간 의 (簡 儀)
2. 혼 천 의 (渾 天 儀)
3. 인 지 의 (印 地 儀)
4. 기리고차 (記里鼓車)
5. 청 구 도 (靑 邱 圖)
6. 대동여지도 (大東輿地圖)
大東輿地圖
조선 후기 김정호(金正浩)가 제작한 한국지도.
1985년 8월 9일 보물 제850호로 지정되었다. 목판본이며, 22첩으로 이루어져 있다. 1861년(철종 12) 김정호 자신이 판각하여 초판을 발간하고 1864년(고종 1) 재간하였다. 1834년에 펴낸 《청구도》의 자매편으로서 그 내용을 보충하고 일반인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는 책자 형식의 분첩절첩식(分帖折疊式)으로 만들었다.
즉, 전체를 22첩으로 꾸며서 접으면 책자가 되고, 2~3첩씩 합쳐서 볼 수도 있으며 모두 펼치면 전도(全圖)가 되게 제작한 것이다. 각 첩은 가로 20.1㎝, 세로 30.2㎝이고, 전체는 가로 3.3m, 세로 6.7m의 방대한 크기이다. 한반도를 남북으로 22등분하여 한 층에 동서 80리, 남북 120리를 포괄하도록 만들어 축척은 16만 분의 1이다.
지도의 내용은 산천(山川) 해도(海島) 영아(營衙) 읍치(邑治) 성지(城池) 진보(鎭堡) 역참(驛站) 창고(倉庫 목소(牧所) 봉수(烽燧) 능침(陵寢) 방리(坊里) 고현(古縣) 고산성(古山城) 도로 등이 표시되어 있다. 지도표를 명확하게 예시하고, 도로를 나타낸 선상에 10리마다 점을 찍어 거리를 표시하는 등 도로망 산천의 본지(本支)가 훨씬 세밀해졌으며 산맥의 표시방법도 진보되어 있다. 서문에 해당하는 지도유설(地圖類說)에서 정치 경제 국방 학문 연구의 모든 분야에서 지도와 지리지는 반드시 필요하다고 편찬목적을 밝혔다.
이 지도는 김정호가 《청구도》를 제작한 뒤 27년 동안 전국 방방곡곡을 답사하고 실측한 집념의 결정으로 그 정확함이 현행의 지도와 큰 차이가 없다. 서양의 지도학이 들어오기 전에 이미 한국 지도학을 대성시킨 문화재라 할 수 있다.
이 판각본을 흥선대원군에게 바치자 그 정밀함에 놀란 조정에서는 국가 기밀을 누설한다는 죄목으로 각판을 불태우고 간행을 금지하였으며, 김정호는 투옥되어 옥사하였다는 설도 있다. 1936년 경성제국대학에서 축쇄판과 소재지명 색인을 간행한 이래 각종 영인본이 출간되었다. 성신여자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2004년 2월 처음으로 일반에 공개되었다. 이외에 서울역사박물관과 경상남도의 거창박물관에도 이본이 소장되어 있다.
목 차
1. 간 의 (簡 儀)
2. 혼 천 의 (渾 天 儀)
3. 인 지 의 (印 地 儀)
4. 기리고차 (記里鼓車)
5. 청 구 도 (靑 邱 圖)
6. 대동여지도 (大東輿地圖)
추천자료
전통음식-병과의 재료(한과,떡,차)
교육과정의 개념, 유형과 제 7차 교육과정
[국어과]7차교육과정 개관
[국어교육]7차 교육과정 국어 말하기 영역분석
6자회담에 관한 소고; 제4차 6자회담 공동 선언문을 중심으로
[마케팅전략] 남양유업 녹차음료 17차 마케팅사례분석
도덕과 목표 설정의 기본 이론과 준거(제7차교육과정)
초등학교 5,6학년을 대상으로 한 2차성징에 대한 성교육 교재 개발계획서
영화 ‘링컨 차를 타는 변호사’
정보통신윤리교육의 의미, 정보통신윤리교육의 필요성, 정보통신윤리교육의 원칙, 정보통신윤...
가드너가 주장한 이론내용을 음악7차 교육 과정에 적용하여 설명하시오.
중세 전쟁에서 베트남전까지의 주요 전쟁사 요약정리 {중세전젱, 나폴레옹 전쟁, 제1·2차세계...
건강증진론 B형)제4차 국민건강증진계획(Health Plan 2020)의 중점과제인 노인건강의 지표별 ...
전기자동차의 미래전기자동차 성공전략전기자동차 산업분석중국 전기자동차 시장전기하이브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