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 과학 교육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아 과학 교육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유아과학교육의 목표

2. 유아과학교육의 목적

3. 유아과학교육의 내용

4. 유아과학교육의 교수-학습방법

5. 유아과학교육의 방향

본문내용

좀더 풍부해질 것이다.
일곱째, 자연을 접하는 것만으로도 탐구능력의 싹을 키워줄 수 있다.
: 과학은 자연세계를 탐구하는 학문이다. 물리적 세계에서 벌어지는 현상에 대해 이해하고,
활용하고, 예측하기 위해 과학이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과학을 하기 위해서는 과학의 대상인 물리적 세계, 자연의 세계를 우선 접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회적 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 대인문제 해결능력을 키우기 위해서 사회적 상황 속에서 생활하는 경험이 필요하듯이, 과학적 탐구능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과학이 대상이 풍부하게 존재하는 자연의 세계를 충분히 경험해야한다.
연못가에 서있는 노란 은행나무를 직접 만져보고, 올려다볼 때, 왜 잎이 노랗게 되었는지, 왜 나뭇가지들이 모두 연못 쪽을 향하고 있는지에 대해 궁금해질 것이다. 이러한 체험 속에
서 제기한 과학적 질문이 있을 때 탐구의 과정이 이어질 것이다. 과학교육은 교실안의 책상
위에서 구조화된 도구가 있어야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 아니다
* 과학학습을 통한 창의적 사고능력을 위한 교사의 언어
1. 인식단계
- 이것은 무슨 색이니?
- 어떤 일이 일어났지?
- 냄새 맡아 보아라
- ....을 자세히 얘기해 줄래?
2. 탐색단계
- 만약.... 라면 어떤 일이 생길까?
- 네가 직접 .....을 할 수 있겠니?
- 이것을 가지고 어떤 것을 할 수 있을까?
3. 조사단계
- 어떻게 하면 될까?
- 다른 방법은 어떤 것이 있을까?
- 왜이렇게 되었다고 생각하니?
- 어떻게 해서 이런 생각을 가지게 되었니?
4. 활용단계
- 만약 네가..... 바꿀 수 있다면 어떻게 하겠니?
- 각기 다른 재료가 쓰인다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
- 이것을 어떻게 고치고 싶니?
- 다음에 일어날 수 있는 일은 어떤 것이 있을까?
5.유아 과학교육의 방향
첫째, 유아 과학 교육은 지식의 이해보다는 주변에 대한 호기심과 탐구 능력을 길러주는데 보다 강조점을 두어야 한다.
둘째, 유아 과학 교육은 관찰이나 실험만이 아니라 모든 영역과의 통합적 접근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한다.
셋째, 과학 교육의 장소로 교실 뿐 아니라 교실 밖의 자연 환경, 시설 등을 적극적으로 탐색하고 활용한다.
넷째, 과학과 기술, 사회간의 유기적 관계를 인식하고 이에 관련된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우기 위한 유아기 환경 교육은 자연 탐구 활동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사회에서 일어나는 과학적 사건을 과학 교육을 위한 주제로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여섯째, 유아들이 일상적으로 접하는 사물이나 현상에 대해 보다 창의적으로 탐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스스로 설정한 문제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해 탐구 과정에 몰입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일곱째, 과학 활동에 있어서 유아의 생각과 질문을 중시함으로써 단순히 감각을 통해 직접 조작하는 것을 넘어 유아의 정신적 조작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여덟째, 새로운 과학 교육이 모든 사람이 과학적 교양인이 될 것을 지향한다는 것을 염두
해 둘 때, 교사 자신의 과학적 소양을 키우고자 하는 적극적 노력이 필요하다.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6.09.18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43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