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린쿼터 폐지 반대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스크린쿼터 폐지 반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스크린쿼터란?

2. 스크린쿼터제 폐지 논란이 다시 불거진 배경

3. 반대 의견
1) 영화의 경쟁력과 현재 국내 영화 산업의 문제점
2) 스크린쿼터 폐지는 세계적인 흐름이 아니다
3) 한미 FTA는 과연 옳은가?
4) 영화가 대변할 수 있는 것은?

5. 결론

본문내용

것. 우리 문화.
이것은 좀 더 근본적인 문제라 할 수 있다. 첫 번째 반대 근거에서도 영화가 우리 문화 산업의 대표 코드라는 점을 강조한 바 있다. 영화 속의 쟁점이 우리 일상의 토론으로 이어지기도 하고 영화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말이 유행어처럼 번지기도 한다. 영화 속의 인물들이 달고 나오는 액세서리가 날개 돋친 듯 팔리기도 한다. 이처럼 영화가 우리 일상에서 아주 중요한 영향을 끼치고 있음은 누구도 부정할 수 없을 것이다. 그리고 한국 영화 속에는 한국인의 일상, 한국인의 문화, 한국인의 사고방식과 가치관들이 담겨 있다. 그것은 외국에 수출될 때 ‘한류’라 이름 붙여지고 일종의 문화 코드로 작용하기도 한다. 세계적으로 가장 인기 있는 문화 상품인 영화는 한국을 표현하는 가장 대표적인 매체로 기능하고 있다. 앞으로는 그런 현상이 점차 강화될 것이다. 따라서 만일 스크린쿼터가 점차 축소되고 이윽고 폐지됨으로써 이러한 영화가 설 자리를 잃게 된다면, 그것은 한국을 알릴 수 있는 대표적인 수단 가운데 하나를 잃는 결과를 낳을 것이다.
4. 결론
- 사실 스크린쿼터 폐지론은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1998년 WTO 협정 때도 그랬듯이 자유무역에 있어 스크린쿼터는 항상 거론되어 온 문제이고, 그때마다 영화인들과 시민들은 스크린쿼터를 열심히 지켜 왔다. 최근에는 영화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스크린쿼터가 왜 필요한지 묻는 사람들이 예전보다 많아진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영화산업의 발전은 스크린쿼터라는 원인이 있었기에 가능한 결과였다. 지금 스크린쿼터를 폐지하는 건 그러한 ‘원인’을 없애는 결과를 낳을 것이다.주길.

키워드

스크린쿼터,   폐지,   반대,   영화,   스크린,   무역,   한미
  • 가격1,2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6.10.19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71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