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인석의 <약속의 숲> 분석 정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1. 작가와 그의 현실인식
1. 2. 소설 속의 시대상황
2. 소설 속에 나타난 자본주의 사회의 단면들
2.1 제국주의
2.2. 물질만능주의
2.3. 인종차별
3. 소설과 현실, 그리고 그 속을 살아가는 인물..

Ⅲ. 결론

본문내용

조각, 나무 몇 토막 넣고 불을 피워 철이와 함께 추위와 어둠을 피할 수 있는 작은 난로, 작은 공간에 불과합니다. 저는 이 세상에서 그런 걸 찾을 수 없다는 것이, 그런 걸 찾기가 이다지 힘들다는 것이 믿어지지 않습니다. 누구나가 틀림없이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찾을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소설에서는 현실의 무자비한 폭력에 저항하는 인물로서 유일하게 윤경을 제시한다. 어린 나이에 혼혈아를 키우며, 경제적 문제를 책임지고, 미국이라는 거대 자본주의 국가에서 홀로 살아가는 그녀는 현실적인 장애와 비극의 요소를 가장 무겁게 지고 있는 인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녀는 컬러드 라는 자신의 정체성과 선택을 흔들림 없이 지켜 나간다. 이는 이미 현실성의 흐름 속에 휩쓸리고 함몰되어 버린 이전 세대들과는 큰 차별성을 가지고 있다. 작가는 다분히 희망적인 시각으로 다음 세대, 윤경을 그려내고 있다. 7, 80년대라는 어두운 터널의 희생자이고, 미국이라는 거대한 부조리의 또 다른 피해자이기도 하지만, 그 같은 운명을 직시하면서도 자신의 생의 가치를 지켜가겠다는 윤경의 모습에서, 읽는 이들은 현실 속에서 개인의 정체성을 지켜나가는 소중한 논리를 확인하게 된다.
Ⅲ. 결론
지금까지 약속의 숲에 나타난 현실문제의 구체적인 모습과, 그러한 시대를 살아가는 작중 인물들의 삶의 모습을 살펴보았다. 최인석은 유난히도 암울하고 비극적인 세계를 그리는 작가이다. 극단화된 서사나 환상으로의 몰입을 통해서 독자가 자신의 비극적 존재와 운명을 냉정하게 바라보고, 현실을 인식케 하려는데 작가의 의도가 있다.
소설 속의 주인공 대영 또한 지켜지지 약속의 숲을 헤매고 있는 인물이다. 소설의 제목에서 사용되고 있는 과연 약속의 숲이란 어떤 장소일까. 약속은 깨어지기 위해 하는 것이다, 라는 말이 있다. 그것은 이렇게도 이야기할 수 있을 것이다. 약속은 지키기 위해 하는 것이다, 라고. 아마 약속의 숲에서도 두 가지 경우가 공존하고 있을 것이다. 지키는 약속과 깨어지는 약속이 숲 속의 나무들처럼 어지럽게 뿌리내리고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약속의 숲이란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현실의 숲이기도 하다. 소설 속의 대영은 이 숲에서 길을 잃어버리기 일보 직전이지만, 그는 결국 하나의 외침, 과거의 자신처럼 어깨를 펴고 당당히 걷는 딸의 외침소리를 듣는다. 그것은 그의 내부에 있던 무언가 깨뜨려버린다. 그것은 무엇이었을까. 그것이 그가 그토록 찾던 문이었을까, 길이었을까. 어쨌든 그는 한국으로 돌아가는 비행기 안에서 딸이 건내 준, 네 가족의 형상이 나란히 새겨져 있는 아프리카 토템 인형을 손에 꼭 쥔다. 작가는 이러한 암시적 결말을 통해 이 시대를 살아가는 인간들의 구원 가능성의 문을 혹은 길을 조금이나마 열어두고 있다.
Ⅰ. 서론
Ⅱ. 본론
1. 1. 작가와 그의 현실인식
1. 2. 소설 속의 시대상황
2. 소설 속에 나타난 자본주의 사회의 단면들
2.1 제국주의
2.2. 물질만능주의
2.3. 인종차별
3. 소설과 현실, 그리고 그 속을 살아가는 인물..
Ⅲ. 결론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6.10.22
  • 저작시기2006.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81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