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조직사회론
1) 개론
2) 주요 독립변인들
(가) 조직의 환경
(나) 조직에 있어서의 기술
(다) 기구의 목표와 구조
3) 국제기구의 생존을 위한 전략
(가) 변화에의 저항
(나) 조직의 필요성에 대한 주장
(다) 변화에의 적응
4) 조직이론의 적용 예: ILO
(가) 조직의 성장추구
(나) 조직의 쇠퇴에 대한 저항
(다) 목표에 대한 환경과 지도력의 영향
(라) 하위목표(sub-goal)의 형성과 의사소통 패턴의 영향
※ 합리적 선택론(Rational Choice Theory)
1) 합리적 선택론 일반
2) 국가를 분석단위로 하는 공공재 이론
3) 개인을 분석단위로 하는 합리적 선택론
(가) 가정(assumption)
(나) 가설(hypothsese)의 예
(다) 결론
1) 개론
2) 주요 독립변인들
(가) 조직의 환경
(나) 조직에 있어서의 기술
(다) 기구의 목표와 구조
3) 국제기구의 생존을 위한 전략
(가) 변화에의 저항
(나) 조직의 필요성에 대한 주장
(다) 변화에의 적응
4) 조직이론의 적용 예: ILO
(가) 조직의 성장추구
(나) 조직의 쇠퇴에 대한 저항
(다) 목표에 대한 환경과 지도력의 영향
(라) 하위목표(sub-goal)의 형성과 의사소통 패턴의 영향
※ 합리적 선택론(Rational Choice Theory)
1) 합리적 선택론 일반
2) 국가를 분석단위로 하는 공공재 이론
3) 개인을 분석단위로 하는 합리적 선택론
(가) 가정(assumption)
(나) 가설(hypothsese)의 예
(다) 결론
본문내용
ement), 국제관세협정(international tariff conventions)과 같은 공공재를 생산하고 공급하는데 이러한 공공재는 무임승차의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본다. 이러한 무임승차를 막거나 약화시키는 것이 국제기구의 효율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첫째, 합리적 선택론은 국제기구가 무임승차에 대해 높은 비용을 부과할 수 있을 때 효율적일 수 있다고 본다. 둘째, 국제기구는 또한 국제기구에 의해 수립된 규칙을 따르는 국가에게 기구 내의 직책, 의사 결정력(decision-making power), 양도성 원조(concessional aid), 그리고 수익성이 있는 사업계약과 같은 사적인 재화(private goods)를 제공할 수 있을 때 효율적일 수 있다. 셋째, 무임승차를 하는 국가에게 제재를 가하고 무임승차를 하지 않고 규칙을 잘 따르는 국가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외에 교육과 선전(propaganda)을 통해 이러한 무임승차 경향을 약화시킬 수도 있다고 본다.
합리적 선택론은 작은 규모의 국제기구가 대규모의 보편적인 국제기구 보다 효율적일 수 있다고 본다. 또한 합리적 선택론은 국제기구가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자원의 상당한 부분을 공공재로부터 사적인 재화로 전환하는 데 사용해야 할 것으로 본다.
3) 개인을 분석단위로 하는 합리적 선택론
(가) 가정(assumption)
개인을 분석단위로 하는 합리적 선택론은 정치가와 관료가 유권자(voters)와는 다른 개인적인 목표를 추구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즉 국가의 대외정책 결정자는 자신이 선호가는 정책을 실행하기 위해 권력의 형태로 그들의 효용을 극대화하려 한다고 가정한다.
(나) 가설(hypothsese)의 예
① 공모적 행태로서의 국제적인 조정
국가간의 합동 의사결정은 다수 유권자를 희생한 공모(collusion)로 볼 수 있다. 국가간의 집단적인 의사결정은 참여하는 정치가로 하여금 인기없는 정책에 대한 국내적인 책임을 회피할 수 있게 해주고, 국제적인 협상의 일부로서 이러한 정책을 받아들이게 할 수 있으며, 다른 국가의 월등한 성과에 대해 자신들을 보호하게 해준다.
② 국제기구와 회원국간의 노동의 분화
관료에 관한 경제적 이론(economic theory of bureaucracy)에 따르면 국제기구의 직원은 그들의 권력을 극대화하고자 하며 추가적인 권력과 자원에 대한 요구는 무제한적이라고 본다. 국제기구는 그 일이 불쾌하고 중요하지 않고에 관계없이 얻을 수 있는 일이라면 어떠한 일이라도 얻으려 할 것이라는 가설이 나온다.
(다) 결론
개인을 분석단위로 하는 합리적 선택론은 전통적인 국제기구에 관한 규범적인 이론들과는 달리 국제기구를 헌장에 규정된 숭고한 목표(lofty objections)를 추구하는 존재로 바라보지 않고 또한 정책 결정자를 공공의 이익을 추구하는 존재로 바라보지 않는다. 그리고 국제기구는 오용될 수 있으며 실제로 오용된다. 이는 어쩌다가 있는 정치가들의 부덕의 소치가 아니라 국민들을 희생으로 한 공모의 경향이 체계적으로 내재해 있기 때문이다.
합리적 선택론은 작은 규모의 국제기구가 대규모의 보편적인 국제기구 보다 효율적일 수 있다고 본다. 또한 합리적 선택론은 국제기구가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자원의 상당한 부분을 공공재로부터 사적인 재화로 전환하는 데 사용해야 할 것으로 본다.
3) 개인을 분석단위로 하는 합리적 선택론
(가) 가정(assumption)
개인을 분석단위로 하는 합리적 선택론은 정치가와 관료가 유권자(voters)와는 다른 개인적인 목표를 추구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즉 국가의 대외정책 결정자는 자신이 선호가는 정책을 실행하기 위해 권력의 형태로 그들의 효용을 극대화하려 한다고 가정한다.
(나) 가설(hypothsese)의 예
① 공모적 행태로서의 국제적인 조정
국가간의 합동 의사결정은 다수 유권자를 희생한 공모(collusion)로 볼 수 있다. 국가간의 집단적인 의사결정은 참여하는 정치가로 하여금 인기없는 정책에 대한 국내적인 책임을 회피할 수 있게 해주고, 국제적인 협상의 일부로서 이러한 정책을 받아들이게 할 수 있으며, 다른 국가의 월등한 성과에 대해 자신들을 보호하게 해준다.
② 국제기구와 회원국간의 노동의 분화
관료에 관한 경제적 이론(economic theory of bureaucracy)에 따르면 국제기구의 직원은 그들의 권력을 극대화하고자 하며 추가적인 권력과 자원에 대한 요구는 무제한적이라고 본다. 국제기구는 그 일이 불쾌하고 중요하지 않고에 관계없이 얻을 수 있는 일이라면 어떠한 일이라도 얻으려 할 것이라는 가설이 나온다.
(다) 결론
개인을 분석단위로 하는 합리적 선택론은 전통적인 국제기구에 관한 규범적인 이론들과는 달리 국제기구를 헌장에 규정된 숭고한 목표(lofty objections)를 추구하는 존재로 바라보지 않고 또한 정책 결정자를 공공의 이익을 추구하는 존재로 바라보지 않는다. 그리고 국제기구는 오용될 수 있으며 실제로 오용된다. 이는 어쩌다가 있는 정치가들의 부덕의 소치가 아니라 국민들을 희생으로 한 공모의 경향이 체계적으로 내재해 있기 때문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