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북한의 학교제도
2. 소학교에 대해서
3. 소학교 목적 및 변천
4. 제도와 그 변천
5. 교수 내용과 교수 방법
6. 교육 과정
7. 소학교 교과서 분석
2. 소학교에 대해서
3. 소학교 목적 및 변천
4. 제도와 그 변천
5. 교수 내용과 교수 방법
6. 교육 과정
7. 소학교 교과서 분석
본문내용
2
2
2
2
304
계
22
22
25
26
3,603
7. 소학교 교과서 분석
학교 교육의 목적은 일반적으로 교과 과정을 통하여 실행되며, 그 교과 과정이 어떻게 조직되어 체계적으로 학생에게 지식을 전달하여 학생들이 학습하게 되는가 하는 문제는 학생들이 수업할 때 사용하는 교과서를 분석하면 파악할 수 있다. 특히 북한과 같이 정보를 통제하는 사회에서는 학생들의 정보활동이 극히 국한되어 있고, 또 조선 노동당이 유일사상 체제를 강행하고 있기 때문에 학생들은 교과서 중심의 학습 활동을 하게 된다. 이렇게 볼 때 북한의 인민 학교에서 사용하는 교과서, 특히 인민 학교 4년 동안의 총 수업 시간의 3분의 1을 차지하고 있는 국어 교과서를 분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현재 북한의 인민 학교는 1학년에서 4학년에까지 전체 초등교육을 통하여 사용되고 있는 국어 교과서의 내용을 세밀히 분석 파악해 볼 때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즉 첫째로, 국어 교육의 본래 목적은 문법, 낱말, 문장 해석 및 작문과 같은 언어활동을 향상시키기 위한 학습의 주제가 15%를 차지하고 있고, 둘째로, 김일성과 김정일 내지 그들의 가족을 찬양하는 내용을 간직한 주제가 64%이며, 마지막으로 공산주의 도덕 교양의 일환으로 노동을 사랑하고 집단을 애호하고 적에 대한 적대적이며 전투적인 태도를 조성하게 하는 주제가 21%나 된다. 이것을 학과 수로 볼 때 전제 196과목 중에서 국어 학습을 위한 과목 수는 32개이고, 김일성 및 김정일을 찬양하는 과목 수는 124개, 그리고 공산주의 도덕 교양을 위한 과목 수는 40개나 된다.
한편, 학생들에게 적개심과 전투적 의식을 가르치기 위해 교과서에 많은 문장과 낱말을 사용하고 있는데, 그 예로 인민 학교 국어 교과서 3학년용 제 40과 “아버지원수님의 품속에 안길래요”라는 과목은 첫 줄이 “미제놈 물러가라, 전두환괴뢰놈 때려부시자.” 로부터 시작하여 총칼을 무섭다고 생각하지 않고 감옥에 가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고 싸우겠다는 것으로 끝을 맺는다. 이렇게 한 국가 또는 한 사회의 일원이 되어 그 사회를 건전하게 이끌어 나갈 어린 학생들을 어떠한 집단이나 한 개인을 증오하도록 가르친다는 것은 그런 교수 내용에 영구성이라든가, 객관성이 결여되었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 참고자료 +
북한의 교육 (을유문화사, 김형찬)
북한의 이해 (시그마프레스(주), 정민수)
최신 북한의 이해(학문사, 박승규)
2
2
2
304
계
22
22
25
26
3,603
7. 소학교 교과서 분석
학교 교육의 목적은 일반적으로 교과 과정을 통하여 실행되며, 그 교과 과정이 어떻게 조직되어 체계적으로 학생에게 지식을 전달하여 학생들이 학습하게 되는가 하는 문제는 학생들이 수업할 때 사용하는 교과서를 분석하면 파악할 수 있다. 특히 북한과 같이 정보를 통제하는 사회에서는 학생들의 정보활동이 극히 국한되어 있고, 또 조선 노동당이 유일사상 체제를 강행하고 있기 때문에 학생들은 교과서 중심의 학습 활동을 하게 된다. 이렇게 볼 때 북한의 인민 학교에서 사용하는 교과서, 특히 인민 학교 4년 동안의 총 수업 시간의 3분의 1을 차지하고 있는 국어 교과서를 분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현재 북한의 인민 학교는 1학년에서 4학년에까지 전체 초등교육을 통하여 사용되고 있는 국어 교과서의 내용을 세밀히 분석 파악해 볼 때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즉 첫째로, 국어 교육의 본래 목적은 문법, 낱말, 문장 해석 및 작문과 같은 언어활동을 향상시키기 위한 학습의 주제가 15%를 차지하고 있고, 둘째로, 김일성과 김정일 내지 그들의 가족을 찬양하는 내용을 간직한 주제가 64%이며, 마지막으로 공산주의 도덕 교양의 일환으로 노동을 사랑하고 집단을 애호하고 적에 대한 적대적이며 전투적인 태도를 조성하게 하는 주제가 21%나 된다. 이것을 학과 수로 볼 때 전제 196과목 중에서 국어 학습을 위한 과목 수는 32개이고, 김일성 및 김정일을 찬양하는 과목 수는 124개, 그리고 공산주의 도덕 교양을 위한 과목 수는 40개나 된다.
한편, 학생들에게 적개심과 전투적 의식을 가르치기 위해 교과서에 많은 문장과 낱말을 사용하고 있는데, 그 예로 인민 학교 국어 교과서 3학년용 제 40과 “아버지원수님의 품속에 안길래요”라는 과목은 첫 줄이 “미제놈 물러가라, 전두환괴뢰놈 때려부시자.” 로부터 시작하여 총칼을 무섭다고 생각하지 않고 감옥에 가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고 싸우겠다는 것으로 끝을 맺는다. 이렇게 한 국가 또는 한 사회의 일원이 되어 그 사회를 건전하게 이끌어 나갈 어린 학생들을 어떠한 집단이나 한 개인을 증오하도록 가르친다는 것은 그런 교수 내용에 영구성이라든가, 객관성이 결여되었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 참고자료 +
북한의 교육 (을유문화사, 김형찬)
북한의 이해 (시그마프레스(주), 정민수)
최신 북한의 이해(학문사, 박승규)
추천자료
북한의 경제 북한의 사회 북한의 군사 북한의 정치 북한의 교육 그리고 통일교육
북한경제의 특성, 북한경제의 현황, 북한경제의 개방, 북한경제의 운영, 북한경제의 문제점, ...
북한경제정책의 발전과정, 북한경제정책의 특징, 북한경제정책의 변화, 북한경제정책의 현황,...
[북한][현재 남북관계][남북현안문제][북한 대외정책][남북화해협력정책 평가][북한 변화 전...
[북한 과학기술정책][북한 과학기술 개발현황][북한 대외 과학기술협력][북한 과학기술 발전 ...
[북한 사회주의경제체제][북한 사회주의경제체제 전망]북한 사회주의경제체제 기본노선, 북한...
[북한경제개혁][북한경제력][북한경제]북한경제개혁의 배경, 북한경제개혁의 의미, 북한경제...
[북한문학]북한문학의 변천, 북한문학의 이론, 북한문학의 위상, 북한문학의 전개, 북한문학...
북한 7 1경제관리개선조치(북한 7 1조치)의 형성, 북한 7 1경제관리개선조치(북한 7 1조치)의...
북한 7 1경제관리개선조치(북한 7 1조치)의 의의, 북한 7 1경제관리개선조치(북한 7 1조치)의...
북한 7 1경제관리개선조치(북한 7 1조치) 등장배경, 북한 7 1경제관리개선조치(북한 7 1조치)...
북한 7 1조치(북한 7 1경제관리개선조치)의 기대효과, 북한 7 1조치(북한 7 1경제관리개선조...
북한 7 1조치(북한 7 1경제관리개선조치)의 역사, 북한 7 1조치(북한 7 1경제관리개선조치)의...
[북한의사회와경제] 1. 남북한 통일방안의 구체적 내용을 기술 2. 북한 통일방안의 허구성을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