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제사음식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역별 제사음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제사의 의미와 유래
1. 제사의 의미
2. 제사의 기원
3. 우리나라에 제사가 들어온 배경

Ⅱ. 제사의 종류
1. 기제
2. 시제
3. 차례
4. 묘제
5. 한식

Ⅲ. 제사음식의 깃든 사상과 종류
1. 제사음식에 깃든 사상
2. 제사음식의 종류
3. 제사음식의 의미
Ⅳ. 제사상 차림의 예

Ⅴ. 제사음식의 조리법

Ⅵ. 지역별 제사음식의 차이
1. 서울/경기
2. 경상도식
3. 전라도식
4. 경상북도
5. 전라남도
6. 경기남부
7. 충청남도

Ⅶ. 제사에관한 상식

 별첨 (지역별 제사음식 조사내용)
8. 출처

본문내용

3. 제사음식의 의미
하루는 상제님께서 말씀하시기를
“부모를 경애하지 않으면 천지를 섬기기 어려우니라.
천지는 억조창생의 부모요, 부모는 자녀의 천지니라.
자손이 선령(先靈)을 박대하면 선령도 자손을 박대하느니라.
예수는 선령신들이 반대하므로 천지공정에 참여치 못하리라.
이제 인종 씨를 추리는 후천 가을운수를 맞아 선령신을 박대하는 자들은 모두 살아남기 어려우리라.” 하시고 또 말씀하시기를 “조상은 아니 위하고 나를 위한다 함은 부당하나니 조상의 제사를 극진히 받들라. 사람이 조상에게서 몸을 받은 은혜로 조상 제사를 지내는 것은 천지의 덕에 합하느니라.” 하시니라. (증산도 도전 2편26장) 감 : 콩 심은데 콩 나고 팥 심은 데 팥 나는 것이 천지의 이치이다. 그러나 감만은 그렇지 않다. 감 씨앗은 심은 데서 감나무가 나지 않고 대신 고욤나무가 나는 것이다. 그래서 3~5년쯤 지났을 때 기존의 감나무 가지를 잘라 이 고욤나무에 접을 붙여야 그 다음 해부터 감이 열린다. 이 감나무가 상징 하는 것은 사람으로 태어났다고 다 사람이 아니라 가르치고 배워야 비로소 사람이 된다는 뜻이다. 가르침을 받고 배우는 데는 생가지를 칼로 째서 접붙일 때처럼 아픔이 따른다. 그 아픔을 겪으며 선인의 예지를 이어 받을 때 비로소 하나의 인격체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감나무는 아무리 커도 열매가 한번도 열리지 않은 나무를 꺾어 보면 속에 검은 신이 없고 열린 나무를 꺾어 보면 검은 신이 있다. 이걸 두고 부모가 자식을 낳고 키우는데 그만큼 속이 상하였다 하여 부모를 생각하여 놓는다는 설도 있다. 밤 : 다른 식물의 경우 나무를 길러낸 첫 씨앗은 땅속에서 썩어 없어져 버리지만, 밤은 땅 속의 씨 밤이 생밤인 채로 뿌리에 달려 있다가 나무가 자라서 씨앗을 맺어야만 씨 밤이 썩는다. 그래서 밤은 자기와 조상의 영원한 연결을 상징한다. 자손이 수십 수백 대를 내려가도 조상은 언제나 자기와 연결되어 함께 이어간다는 뜻이다. 바로 이런 밤을 제사상에 올리는 이유는 자신의 근본을 잊지 않는 다는 의미가 있다고 한다. 신주를 밤나무로 깎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대추 : 대추의 특징은 한 나무에 열매가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이 열리며 꽃 하나가 피면 반드시 열매 하나가 열리고 나서 꽃이 떨어진다. 헛꽃은 절대 없다. 즉, 자손의 번창을 기원하는 뜻에서이다. 거기다가 대추씨는 통 씨여서 곧 절개를 뜻하며 순수한 혈통을 의미한다 하여 제사상에 빠지지 않고 오르는 제물이다. 배 : 배는 껍질이 누렇기 때문에 황인종을 뜻한다. 오행에서 황색은 우주의 중심을 나타내고 있고 이것은 바로 민족의 긍지를 나타낸다. 그리고 배의 속살이 하얀 것은 우리 백의민족에 빗대어 순수함과 밝음을 나타내기 때문에 제물로 쓰인다는 설이 있다. 조기 : 조기는 서해안에서 나는 대표적인 어물이고 예전부터 생선의 으뜸으로 생각되어져 왔기 때문에 제사상에 빠지지 않고 오르는 제수 품목으로 여겨져 왔다고 한다.
명태(북어포) : 제사상에 빠지지 않는 북어는 우리나라 동해바다의 대표적인 어물이자 머리도 크고 알이 많아 훌륭한 아들을 많이 두고 알과 같이 부자가 되게 해 달라는 유래가 있다
3.전라도식
생선 : 조기, 병어, 자반조기, 북어포, 오징어포
산적 : 소고기산적, 계적
전 : 두부전, 동태전, 꼬치전, 파전, 육원전 , 부추전
튀김 : 오징어튀김, 고구마튀김
탕 : 삼탕(소탕.어탕.육탕각1그릇), 탕국(2kg)
과일 : 대추(200g), 밤(300g), 감(5개곳감7개), 배(5개), 사과(5개)
삼색나물 : 고사리(500g), 도라지(500g), 시금치(500g)
기타재료 : 콩고물시루떡(1되), 식혜(1.5kg), 식혜밥(200g), 산자(200g), 약과(300g),나박김치(1.2kg), 양초(2개), 향(1통)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06.11.28
  • 저작시기2006.11
  • 파일형식워드(doc)
  • 자료번호#3782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