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문제91~120
본문내용
저항선에서 저항의 크기는 길이에 비례하므로 이다.
③ 휘트스톤 브리지 회로와 같은 모양이므로 마주보는 저항값끼리 곱한 값이 같아야 한다.
④ 검류계에 전류가 흐르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점와 점가 반드시 전위가 같아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점가 항상를 3 : 2로 내분하는 점이어야 한다. 따라서 기전력이 크기가 점의 위치는 관계가 없다.
⑤ 마주보는 저항값끼리 곱한 값이 같으므로 미지의 저항 이 커지면 사이의 저항은 작아져야 한다. 따라서 접점는쪽으로 가까워져야 한다.
배경지식 : 위와 같은 장치를 미터 브리지(Meter bridge) 회로라고 하는데 저항을 측정하는 원리는 휘트스톤 브리지와 똑같다. ⑤에서 미지의 저항이 이 된다면 점는 쪽으로 얼마나 가야 할까 ?
에서 사이가 3 : 1로 내분되어야 하므로 사이는 25cm가 되어야 한다. 답 ④
7월 10일 밤 적위 20o인 별을 관측했을 때 시각에 따른 고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116. 23시에 이 별의 지평 좌표는 ? (단, 방위각의 기준은 북점이다.)
① 방위각 0°, 고도 0°② 방위각 0°, 고도 80°
③ 방위각 180°, 고도 0°④ 방위각 180°, 고도 80°
⑤ 방위각 360°, 고도 80°
출제의도 : 23시에는 이 천체가 남중해 있다. 남중한 천체는 자오선상에 있으므로 방위각은 북점으로부터 180°시계 방향으로 돌아간 각이고, 남중 고도는 80°가 된다.
풀이핵심 : 지평좌표
방위각 : 북점 또는 남점에서 지평면을 따라 시계 방향으로 잰 각
고도 : 지평면에서 별을 지나 수직권을 따라 잰 각
천정 거리 : 천정에서 별까지의 거리
적도 좌표
적경 : 춘분점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적도를 따라 잰 각으로 0°~360° 또는 0h~24h로 나타낸다.
적위 : 천구의 적도에서 별을 지나는 시간권을 따라 잰 각
풀이 : 최대 고도가 남중 고도이고 그 때 시각이 남중 시각이다. 남중 시각은 23시이고 그 때 고도는 80°이다. 이 지역의 출몰성 적위의 범위는 이므로
에서 이므로 , 즉 북위 이다.
답 ④
117. 병국이는 북위 37°되는 곳에서 춘분 날, 하짓날, 추분날, 동짓날에 태양의 일주 운동을 관찰하여 그림과 같이 지 평 좌표로 나타내었다. 다음의 설명 중 옳은 것은 ?(단, 방위각의 기준은 북점이다.)
① A는 동짓날의 일주권이다. ② B는 추분날의 일주권이다.
③ C는 하짓날의 일주권이다. ④ 방위각이 90°일 때 태양이 남중하였다.
⑤ C의 일주 운동일 때 해는 북동쪽에서 뜬다.
풀이핵심 : 춘분점 : 황도와 적도가 만나는 두 점 중의 하나로, 태양이 남쪽에서 북쪽으로 이동하여 천구의 적도와 만나는 점
풀이 : A는 하짓날, B는 춘(추)분날, C는 동짓날 일주권이다. 방위각이 180o 일 때 태양은 남중하며, 동짓날에 해는 남동쪽에서 떠서 남서쪽으로 진다.
답 ②
아래 그림은 두 수레 A와 B의 운동을 종이 테이프에 기록한 것이다.
118. 기록 타이머는 1초에 50개의 타점을 찍는다. 수레 A의 운동에서 10개의 타점 간격은 12cm이다. 다음 중 두 수레의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① 수레 A는 등가속도 운동을 하였다.
② 수레 B의 속력은 60cm/s이다.
③ 수레 B의 속력이 A의 속력의 3배이다.
④ 수레 B는 등속도 운동을 하였다.
⑤ 수레 A의 가속도가 B의 가속도의 3배이다.
풀이핵심 : 타점 사이의 거리가 먼 운동의 속도가 크다.
풀이 : 기록 타이머가 1초에 50개의 타점을 찍으므로 타점과 타점 사이에 걸린 시간은 초이다. 수레 A와 B의 타점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므로 두 수레는 등속도 운동을 하였다. 또, 타점 사이의 간격이 서로 다른데 이것은 두 수레의 속력이 다름을 나타낸다. 수레 A의 10개의 타점 간격이 12cm이므로 1타점 간격은 1.2cm이다. 따라서 수레 A의 속력은
이다. 또한 수레 B는 30개의 타점 간격이 12cm이므로 속력은
이다.
답 ④
다음은 정지 상태에서 출발한 후 직선 운동을 하고 있는 어떤 모형 보트의 시간에 따른 가속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119. 다음 중 이 모형 보트의 출발 후 운동 상태로 옳은 것은 ?
① 처음 4초 동안 보트의 속력은 감소하였다.
② 4초 때 보트가 잠시 멈추었다.
③ 4초가 지난 후 보트의 속력은 감소하였다.
④ 6초 때 보트의 속력이 최소였다.
⑤ 6초 때 보트의 이동 거리는 최대였다.
풀이핵심 : 가속도 가 (+)이면 속력이 증가하고, 가속도가 (-)이면 속력이 감소한다.
풀이 : ① 가속도의 값이 (+)이므로 속도는 증가한다.
② 4초 때의 가속도는 0이지만 속도는 0이 아니다. 예를 들어 등속도 운동은 가속도가 0이다.
③ 4초가 지난 후 가속도가 (-)이므로 속력은 감소한다.
④ 그래프에서 4초부터 8초사이에는 속력이 계속해서 줄어들고 있으므로 6초 이후의 속력이 더 작다.
⑤ 초속도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거리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 답 ③
그림과 같이 빗면에서 어떤 물체가 등속도로 미끄러져 내려가고 있다.
120. 이 물체에 작용하는 힘에 대하여 <보기>와 같이 설명하였을 때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
(가) 중력과 수직 항력은 평형을 이룬다.
(나) 중력과 마찰력은 평형을 이룬다.
(다) 중력과 수직 항력의 합력은 마찰력과 크기가 같다.
(라) 마찰력의 크기는 중력의 크기에 비례한다.
① (가), (다)② (가), (라)③ (나), (다)
④ (나), (라)⑤ (다), (라)
출제의도 : 등속도 운동하는 물체가 받는 힘의 합이 0임을 안다.
풀이핵심 : 힘과 가속도의 관계
풀이 : 빗면 위에서 운동하는 물체가 받는 힘은 중력, 수직 항력, 마찰력이다. 등속도 운동을 하는 경우는 이들 힘의 합이 0이 되어 평형을 이룬다. 중력과 수직 항력의 합은 빗면 아래 방향이고, 마찰력은 빗면 윗방향이 되며 이들의 크기는 같다. 또 마찰력의 크기는 수직 항력에 비례하는데, 이런 경우 중력의 수직 성분과 수직 항력이 같으므로 마찰력은 중력의 크기에 비례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답 ⑤
③ 휘트스톤 브리지 회로와 같은 모양이므로 마주보는 저항값끼리 곱한 값이 같아야 한다.
④ 검류계에 전류가 흐르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점와 점가 반드시 전위가 같아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점가 항상를 3 : 2로 내분하는 점이어야 한다. 따라서 기전력이 크기가 점의 위치는 관계가 없다.
⑤ 마주보는 저항값끼리 곱한 값이 같으므로 미지의 저항 이 커지면 사이의 저항은 작아져야 한다. 따라서 접점는쪽으로 가까워져야 한다.
배경지식 : 위와 같은 장치를 미터 브리지(Meter bridge) 회로라고 하는데 저항을 측정하는 원리는 휘트스톤 브리지와 똑같다. ⑤에서 미지의 저항이 이 된다면 점는 쪽으로 얼마나 가야 할까 ?
에서 사이가 3 : 1로 내분되어야 하므로 사이는 25cm가 되어야 한다. 답 ④
7월 10일 밤 적위 20o인 별을 관측했을 때 시각에 따른 고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116. 23시에 이 별의 지평 좌표는 ? (단, 방위각의 기준은 북점이다.)
① 방위각 0°, 고도 0°② 방위각 0°, 고도 80°
③ 방위각 180°, 고도 0°④ 방위각 180°, 고도 80°
⑤ 방위각 360°, 고도 80°
출제의도 : 23시에는 이 천체가 남중해 있다. 남중한 천체는 자오선상에 있으므로 방위각은 북점으로부터 180°시계 방향으로 돌아간 각이고, 남중 고도는 80°가 된다.
풀이핵심 : 지평좌표
방위각 : 북점 또는 남점에서 지평면을 따라 시계 방향으로 잰 각
고도 : 지평면에서 별을 지나 수직권을 따라 잰 각
천정 거리 : 천정에서 별까지의 거리
적도 좌표
적경 : 춘분점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적도를 따라 잰 각으로 0°~360° 또는 0h~24h로 나타낸다.
적위 : 천구의 적도에서 별을 지나는 시간권을 따라 잰 각
풀이 : 최대 고도가 남중 고도이고 그 때 시각이 남중 시각이다. 남중 시각은 23시이고 그 때 고도는 80°이다. 이 지역의 출몰성 적위의 범위는 이므로
에서 이므로 , 즉 북위 이다.
답 ④
117. 병국이는 북위 37°되는 곳에서 춘분 날, 하짓날, 추분날, 동짓날에 태양의 일주 운동을 관찰하여 그림과 같이 지 평 좌표로 나타내었다. 다음의 설명 중 옳은 것은 ?(단, 방위각의 기준은 북점이다.)
① A는 동짓날의 일주권이다. ② B는 추분날의 일주권이다.
③ C는 하짓날의 일주권이다. ④ 방위각이 90°일 때 태양이 남중하였다.
⑤ C의 일주 운동일 때 해는 북동쪽에서 뜬다.
풀이핵심 : 춘분점 : 황도와 적도가 만나는 두 점 중의 하나로, 태양이 남쪽에서 북쪽으로 이동하여 천구의 적도와 만나는 점
풀이 : A는 하짓날, B는 춘(추)분날, C는 동짓날 일주권이다. 방위각이 180o 일 때 태양은 남중하며, 동짓날에 해는 남동쪽에서 떠서 남서쪽으로 진다.
답 ②
아래 그림은 두 수레 A와 B의 운동을 종이 테이프에 기록한 것이다.
118. 기록 타이머는 1초에 50개의 타점을 찍는다. 수레 A의 운동에서 10개의 타점 간격은 12cm이다. 다음 중 두 수레의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① 수레 A는 등가속도 운동을 하였다.
② 수레 B의 속력은 60cm/s이다.
③ 수레 B의 속력이 A의 속력의 3배이다.
④ 수레 B는 등속도 운동을 하였다.
⑤ 수레 A의 가속도가 B의 가속도의 3배이다.
풀이핵심 : 타점 사이의 거리가 먼 운동의 속도가 크다.
풀이 : 기록 타이머가 1초에 50개의 타점을 찍으므로 타점과 타점 사이에 걸린 시간은 초이다. 수레 A와 B의 타점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므로 두 수레는 등속도 운동을 하였다. 또, 타점 사이의 간격이 서로 다른데 이것은 두 수레의 속력이 다름을 나타낸다. 수레 A의 10개의 타점 간격이 12cm이므로 1타점 간격은 1.2cm이다. 따라서 수레 A의 속력은
이다. 또한 수레 B는 30개의 타점 간격이 12cm이므로 속력은
이다.
답 ④
다음은 정지 상태에서 출발한 후 직선 운동을 하고 있는 어떤 모형 보트의 시간에 따른 가속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119. 다음 중 이 모형 보트의 출발 후 운동 상태로 옳은 것은 ?
① 처음 4초 동안 보트의 속력은 감소하였다.
② 4초 때 보트가 잠시 멈추었다.
③ 4초가 지난 후 보트의 속력은 감소하였다.
④ 6초 때 보트의 속력이 최소였다.
⑤ 6초 때 보트의 이동 거리는 최대였다.
풀이핵심 : 가속도 가 (+)이면 속력이 증가하고, 가속도가 (-)이면 속력이 감소한다.
풀이 : ① 가속도의 값이 (+)이므로 속도는 증가한다.
② 4초 때의 가속도는 0이지만 속도는 0이 아니다. 예를 들어 등속도 운동은 가속도가 0이다.
③ 4초가 지난 후 가속도가 (-)이므로 속력은 감소한다.
④ 그래프에서 4초부터 8초사이에는 속력이 계속해서 줄어들고 있으므로 6초 이후의 속력이 더 작다.
⑤ 초속도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거리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 답 ③
그림과 같이 빗면에서 어떤 물체가 등속도로 미끄러져 내려가고 있다.
120. 이 물체에 작용하는 힘에 대하여 <보기>와 같이 설명하였을 때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
(가) 중력과 수직 항력은 평형을 이룬다.
(나) 중력과 마찰력은 평형을 이룬다.
(다) 중력과 수직 항력의 합력은 마찰력과 크기가 같다.
(라) 마찰력의 크기는 중력의 크기에 비례한다.
① (가), (다)② (가), (라)③ (나), (다)
④ (나), (라)⑤ (다), (라)
출제의도 : 등속도 운동하는 물체가 받는 힘의 합이 0임을 안다.
풀이핵심 : 힘과 가속도의 관계
풀이 : 빗면 위에서 운동하는 물체가 받는 힘은 중력, 수직 항력, 마찰력이다. 등속도 운동을 하는 경우는 이들 힘의 합이 0이 되어 평형을 이룬다. 중력과 수직 항력의 합은 빗면 아래 방향이고, 마찰력은 빗면 윗방향이 되며 이들의 크기는 같다. 또 마찰력의 크기는 수직 항력에 비례하는데, 이런 경우 중력의 수직 성분과 수직 항력이 같으므로 마찰력은 중력의 크기에 비례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답 ⑤
추천자료
분만 간호와 제왕절개 수술 전후 간호
Emergency kit 의 응급약물
소아 - 소화기 질환
물리화학적 특성을 이용한 약리작용
당뇨의 만성 합병증과 부갑상샘 관련질환
소독과 멸균
조직검사의 종류 & 조직검체의 절취
인슐린과 경구용 혈당 강하제
담낭절제술 담낭염 담석증 수술실 OR 케이스스터디 간호과정
TBA Assay
[검사][혈역학검사][방사선투과검사(RT)][주관절검사][흉곽검사][요추천자검사][덴버발달검사...
[질산, 질산 생산현황, 질산 독성, 질산과 질산환원효소, 질산과 아질산성질소, 질산환원효소...
[대기화학] 공학 및 실험 - 염화수소(HCl) 측정
[간호학] 정맥수액 주입 중 heparin lock과 3-way의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