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20세 초반까지 성인생활이 시작되는 시기를 성인전기라 한다. 이 시기에 청년들은 대인관계, 집단이나 직업에서의 역할, 이성교재, 부부관계 등을 통해 사회생활에 적응해 간다. 이 과정에서 자신의 정체감을 다른 사람과의 정체감으로 연결시키고 조화시키려는 노력을 하게 되는데, 단순한 인간관계를 넘어서 구체적인 친애관계를 추구하는 모습을 보인다.
에릭슨이 말하는 친밀감이란 그 의미와 범위가 다양한데 친구, 배우자, 형제자매, 부모 또는 다른 친척과 관계를 나누어 갖는 것으로 보았다. 진정한 친밀감은 전 단계를 순조로이 거쳐 합리적인 자아정체감이 형성되었을 때만 가능하다. 확고한 자아정체감을 확립한 사람만이 다른 사람과의 상호관계에 몰두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에 이 단계에서 부적응된 사람들은 경쟁적이고 투쟁적인 관계를 경험하면서 고립감을 경험하게 된다. 고립은 친밀감이나 사회적 관계를 맺게 해주는 관계를 회피하는 것이다. 단순히 공식적이고 피상적인 인간관계를 추구하며 친밀감의 요구를 위협으로 느끼기 때문에 진정한 참여로부터 자신을 소외시킨다. 친밀감 대 고립위기를 건전하게 해결할 경우 사회 심리적 능력인 사랑이 발생된다고 한다.
현재 나는 지금까지 키워온 자아정체성을 기초로 하여 본격적으로 다른 사람들과 함께 사회생활을 하고 있다. 조금씩 나이를 먹고 성숙해가면서 타인과의 관계에서 느껴지는 것은 남을 좀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이다. 다른 사람의 장점과 단점을 모두 수용할 수 있게 되었다. 사실 청소년기에는 친하고 좋아하는 친구들도 단점은 받아들이기가 어려웠다. 하지만 지금은 친밀한 사람들과 서로의 생각을 이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로 간에 애정과 존중하는 마음을 느낄 수 있다. 나는 나의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하고, 상대의 솔직한 생각도 듣길 원한다. 친밀한 사람들과 함께 있어서 나는 행복하다.
하지만 아직 '사랑'을 하기에는 성숙이 부족한 것 같다. 에릭슨은 사랑이란 분할된 역할 속에 들어 있는 대립적인 것들을 끊임없이 억제하는 상호 헌신의 관계이고, 정체감을 공유하며, 서로를 인정하는 가장 위대한 가치라고 했다. 나는 얼마 전에 사랑하던 사람과 헤어졌다. 우리는 서로를 인정하기 보다는 각자에게 너무 집중했던 것 같다.
또한 내가 해결해야 될 현재의 문제 중 하나는 아직도 정체성이 완벽하게 형성되지는 않았다고 생각되는 점이다. 나는 기본적으로 여러 사람과 여유롭고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려고 노력한다. 하지만 나와 굉장히 많이 다르다고 생각되는 집단과는 접촉을 두려워한다. 여러 다양성 속에서도 나 자신을 스스로 세울 수 있을 때 비로소 정체성을 확립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래야 타인과의 친밀감을 통해 사랑의 능력을 키울 수도 있을 것이다.
마지막 두 단계인 '생산성 vs 침체성' 과 '자아통합 vs 절망감' 단계는 아직 내가 겪어보지 않은 단계라서 뭐라 딱 설명하고 예를 들 순 없지만 생산성은 다음세대를 낳아 키우고 교육시키는 것에 대한 관심이며 제 8단계 노년기 에서는 자아통합감 을 형성하여 자신의 전 생애를 대단히 유익한 것으로 받아들이고 자기완성을 해 나가게 되는 것을 뜻한다. 반명 절망감은 자신의 생애를 헛된 것으로 보거나, 현재의 남은 여생이 새로운 생애를 설계하고 추진하기에 너무 짧다는 느낌의 발로를 말한다.
앞에서도 말했듯이 아직 겪어보지 않은 두 단계이지만, 나도 언젠가 아이를 낳고 그 아이를 나의 어머니가 그랬듯이 정성과 사랑을 다해 양육하며 삶의 끝자락에서 자아통합과 절망 사이에서 갈등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과정 역시 어머니의 도움을 받게 될 것이며 그 과정 속에서 얻은 갈등과 경험을 바탕으로 생을 마감할 것이다.
에릭슨이 말하는 친밀감이란 그 의미와 범위가 다양한데 친구, 배우자, 형제자매, 부모 또는 다른 친척과 관계를 나누어 갖는 것으로 보았다. 진정한 친밀감은 전 단계를 순조로이 거쳐 합리적인 자아정체감이 형성되었을 때만 가능하다. 확고한 자아정체감을 확립한 사람만이 다른 사람과의 상호관계에 몰두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에 이 단계에서 부적응된 사람들은 경쟁적이고 투쟁적인 관계를 경험하면서 고립감을 경험하게 된다. 고립은 친밀감이나 사회적 관계를 맺게 해주는 관계를 회피하는 것이다. 단순히 공식적이고 피상적인 인간관계를 추구하며 친밀감의 요구를 위협으로 느끼기 때문에 진정한 참여로부터 자신을 소외시킨다. 친밀감 대 고립위기를 건전하게 해결할 경우 사회 심리적 능력인 사랑이 발생된다고 한다.
현재 나는 지금까지 키워온 자아정체성을 기초로 하여 본격적으로 다른 사람들과 함께 사회생활을 하고 있다. 조금씩 나이를 먹고 성숙해가면서 타인과의 관계에서 느껴지는 것은 남을 좀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이다. 다른 사람의 장점과 단점을 모두 수용할 수 있게 되었다. 사실 청소년기에는 친하고 좋아하는 친구들도 단점은 받아들이기가 어려웠다. 하지만 지금은 친밀한 사람들과 서로의 생각을 이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로 간에 애정과 존중하는 마음을 느낄 수 있다. 나는 나의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하고, 상대의 솔직한 생각도 듣길 원한다. 친밀한 사람들과 함께 있어서 나는 행복하다.
하지만 아직 '사랑'을 하기에는 성숙이 부족한 것 같다. 에릭슨은 사랑이란 분할된 역할 속에 들어 있는 대립적인 것들을 끊임없이 억제하는 상호 헌신의 관계이고, 정체감을 공유하며, 서로를 인정하는 가장 위대한 가치라고 했다. 나는 얼마 전에 사랑하던 사람과 헤어졌다. 우리는 서로를 인정하기 보다는 각자에게 너무 집중했던 것 같다.
또한 내가 해결해야 될 현재의 문제 중 하나는 아직도 정체성이 완벽하게 형성되지는 않았다고 생각되는 점이다. 나는 기본적으로 여러 사람과 여유롭고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려고 노력한다. 하지만 나와 굉장히 많이 다르다고 생각되는 집단과는 접촉을 두려워한다. 여러 다양성 속에서도 나 자신을 스스로 세울 수 있을 때 비로소 정체성을 확립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래야 타인과의 친밀감을 통해 사랑의 능력을 키울 수도 있을 것이다.
마지막 두 단계인 '생산성 vs 침체성' 과 '자아통합 vs 절망감' 단계는 아직 내가 겪어보지 않은 단계라서 뭐라 딱 설명하고 예를 들 순 없지만 생산성은 다음세대를 낳아 키우고 교육시키는 것에 대한 관심이며 제 8단계 노년기 에서는 자아통합감 을 형성하여 자신의 전 생애를 대단히 유익한 것으로 받아들이고 자기완성을 해 나가게 되는 것을 뜻한다. 반명 절망감은 자신의 생애를 헛된 것으로 보거나, 현재의 남은 여생이 새로운 생애를 설계하고 추진하기에 너무 짧다는 느낌의 발로를 말한다.
앞에서도 말했듯이 아직 겪어보지 않은 두 단계이지만, 나도 언젠가 아이를 낳고 그 아이를 나의 어머니가 그랬듯이 정성과 사랑을 다해 양육하며 삶의 끝자락에서 자아통합과 절망 사이에서 갈등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과정 역시 어머니의 도움을 받게 될 것이며 그 과정 속에서 얻은 갈등과 경험을 바탕으로 생을 마감할 것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교육심리학) 에릭슨의 교육 심리학 - 심리사회 발달 이론
[프로이드, 에릭슨] Freud(프로이드)와 Erikson(에릭슨)의 이론을 통해 살펴본 성격발달 이론...
프로이드의 심리 성적 발달 댠계와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단계를 비교하고(두가...
프로이드의 심리 성적 발달단계와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 단계를 비교하고(두가지 이론의 ...
[아동간호학] 에릭슨의 사회-심리적 발달 이론을 요약정리 및 보육 및 교육현장에서 인성교육
[정신분석이론] 프로이드 (Freud)의 심리성적 이론과 에릭슨(Erikson)의 심리사회적 이론 (정...
에릭슨의 인간발달단계에 대하여 설명하고, 각 8단계의 심리사회적 위기에 대하여 설명 하세...
에릭슨(E. H. Erikson) 심리사회적 이론 (에릭슨의 생애, 에릭슨 이론의 특징, 자아발달의 8...
[영유아발달] 정신분석이론 - 프로이트(프로이드/Freud)의 정신분석이론(Psychoanalytic Theo...
[보육학개론 保育學槪論] 아동 발달 이론(兒童發達理論) {성숙 이론, 정신분석 이론(프로이트...
아동발달 이론에서 정신분석학 이론의 대표적인 학자 프로이드의 심리성적 이론과 에릭슨의 ...
프로이드(프로이트/Freud)의 성격발달단계와 에릭슨(Erikson)의 심리사회적 이론 8단계에 대...
[정신분석이론] 프로이드와 에릭슨의 이론(성격발달단계) - 프로이드의 심리성적발달단계(심...
에릭슨(Erikson)의 심리사회적 이론 - 에릭슨의 생애와 심리사회적 발달단계, 프로이드와 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