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외음부암
난소암
자궁경부암
자궁내막암
난소암
자궁경부암
자궁내막암
본문내용
출혈 : 폐경후의 자궁출혈로 환자들의 90%에서 나타난다. 폐경전의 여성에서는 월경과다가 흔한 증상으로 나타나지만 폐경 후 자궁출혈은 15-25%가 자궁내막암과 관련이 된다.
2. 비정상 대하 : 비정상 대하로 처음은 엷으나 곧 혈성 대하가 된다.
3. 동통 : 골반압통이나 둔통이 있다. 동통은 다른 부위의 암처럼 암 말기가 되기 전까지는 나타나지 않는다.
4. 기타 : 체중감소, 전신쇠약 등이 나타나며 심한 출혈로 인하여 빈혈을 초래한다.
진단적 평가
1. 골반검사 - 자궁비대를 촉진할 수 있다.
2. 경부내 흡인
3. 내막생검 - 결과가 양성인 것은 암을 의미한다. 그러나 음성 반응 결과도 암의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
4. 소파술 - 자궁내막암의 정확한 파급정도를 파악하는 가장 정확한 진단 방법이다.
5. 전이검사 - X-ray검사나 방광경 검사 등
관리
1. 외과적 측면과 임상적인 단계에 기초하여 병기를 정한다.
2. 초기 Ⅰ단계에서는 양측난소 - 난관적출술을 동반한 자궁적출술을 시행한다.
3. 진행된 Ⅰ,Ⅱ단계에서는 양측난소 - 난관적출술을 동반한 자궁적출술과 선택적인 림프제거술을 시행한다.
4. 방사선 치료 - 수술 전이나 수술 후 또는 병변이 진행되어 수술이 어려운 경우나 수술의 고위험 환자의 경우에 시행한다.
5. 호르몬 치료 - 프로게스테론제제가 내막의 에스트로젠 수용 부위를 변화시켜 암의 성장을 감소시킨다.
6. 화학요법 - 전이되었거나 재발된 경우 적용되며, 단기간의 치료로는 반응을 볼 수가 없다.
간호중재
자궁내막암의 주된 치료는 외과적 병기에 따라 수술적 치료를 하며, 수술 전 후의 방사선 치료를 겸용하거나 방사선 단독 요법 및 호르몬 요법이 시행된다. 치료 후 5년간 생존율은 제1기암은 수술요법만 한 경우는 90%이었고 외부 방사선 조사를 추가하면 88%로 낮았다. 만약 골반 임파절 전이가 있을 때는 방사선 조사를 추가하여도 생존율은 낮아진다.
통증완화
1. 처방대로 진통제를 투여하고 이에 따른 환자의 반응을 살핀다.
2. 심호흡, 연상법 등 편안감 증진을 위한 이완요법을 사용하도록 권장한다.
두려움 완화
1. 진단과정 동안 환자를 지지하고 가능한 치료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2. 필요시 방사선 치료를 위한 준비를 시킨다.
3. 필요시 자궁적출술을 위한 준비를 한다.
4. 제공하는 모든 시술이나 간호에 대해 설명한다. 환자의 회복에 대한 긍정적인 면을 강조한다.
2. 비정상 대하 : 비정상 대하로 처음은 엷으나 곧 혈성 대하가 된다.
3. 동통 : 골반압통이나 둔통이 있다. 동통은 다른 부위의 암처럼 암 말기가 되기 전까지는 나타나지 않는다.
4. 기타 : 체중감소, 전신쇠약 등이 나타나며 심한 출혈로 인하여 빈혈을 초래한다.
진단적 평가
1. 골반검사 - 자궁비대를 촉진할 수 있다.
2. 경부내 흡인
3. 내막생검 - 결과가 양성인 것은 암을 의미한다. 그러나 음성 반응 결과도 암의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
4. 소파술 - 자궁내막암의 정확한 파급정도를 파악하는 가장 정확한 진단 방법이다.
5. 전이검사 - X-ray검사나 방광경 검사 등
관리
1. 외과적 측면과 임상적인 단계에 기초하여 병기를 정한다.
2. 초기 Ⅰ단계에서는 양측난소 - 난관적출술을 동반한 자궁적출술을 시행한다.
3. 진행된 Ⅰ,Ⅱ단계에서는 양측난소 - 난관적출술을 동반한 자궁적출술과 선택적인 림프제거술을 시행한다.
4. 방사선 치료 - 수술 전이나 수술 후 또는 병변이 진행되어 수술이 어려운 경우나 수술의 고위험 환자의 경우에 시행한다.
5. 호르몬 치료 - 프로게스테론제제가 내막의 에스트로젠 수용 부위를 변화시켜 암의 성장을 감소시킨다.
6. 화학요법 - 전이되었거나 재발된 경우 적용되며, 단기간의 치료로는 반응을 볼 수가 없다.
간호중재
자궁내막암의 주된 치료는 외과적 병기에 따라 수술적 치료를 하며, 수술 전 후의 방사선 치료를 겸용하거나 방사선 단독 요법 및 호르몬 요법이 시행된다. 치료 후 5년간 생존율은 제1기암은 수술요법만 한 경우는 90%이었고 외부 방사선 조사를 추가하면 88%로 낮았다. 만약 골반 임파절 전이가 있을 때는 방사선 조사를 추가하여도 생존율은 낮아진다.
통증완화
1. 처방대로 진통제를 투여하고 이에 따른 환자의 반응을 살핀다.
2. 심호흡, 연상법 등 편안감 증진을 위한 이완요법을 사용하도록 권장한다.
두려움 완화
1. 진단과정 동안 환자를 지지하고 가능한 치료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2. 필요시 방사선 치료를 위한 준비를 시킨다.
3. 필요시 자궁적출술을 위한 준비를 한다.
4. 제공하는 모든 시술이나 간호에 대해 설명한다. 환자의 회복에 대한 긍정적인 면을 강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