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문학의 매체적 접근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구연하기

2. 그림 이야기책 읽어주기

3. 그림동화

4. 큰 책

5. 융판 및 자석판 동화

6. 슬라이드 동화

7. OHP 동화

8. 극화 활동

9. 미디어를 활용한 유아문학의 제시

본문내용

무대를 장치하는 방법에는 인형극의 상연을 위해 만들어진 틀이라고 하는 고정된 무대가 있다. 고정 무대는 나무와 합판으로 만들어졌거나 조립식으로 만들어진 형태가 있다.
다른 하나는 응용 무대이다. 테이블, 책상, 의자를 이용한 무대를 만들 수 있다.
<무대의 배경과 소도구>
무대의 배경은 원칙적으로 간단하게 설치하고 보관하기가 쉬운 것아 적절하다. 일반적으로 물감으로 그림을 그리거나 배경 속의 물체를 따로 그려내어 무대 배경 위로 장치를 하는 방법이 있다.
2) 창의적 극화 활동
창의적 극화 활동은 인형을 조종하거나 활용하는 형태가 아니며 유아들이 이야기 내용에 대해 역할을 정하고 연기하여 보는 형태를 말한다.
(1) 역할놀이
역할놀이는 일반적으로 문제 상황에서 대안을 발견하고 해결책의 결과를 발견해 보며 ‘문제를 연기’하여 보는 교육적 전략이다. 이야기 속의 등장인물들의 도전과 좌절을 함께 나누면서 작가가 이야기를 구성해 가는 방식을 평가해 보게 되기도 하고 동시에 개인적이며 사회적인 가치를 발달시키게 된다.
가) 역할놀이에 적합한 작품의 선택
첫째, 문제를 포함한 문학작품을 선택한다.
둘째, 역할놀이를 할 수 있는 문제 상황은 다음과 같은 가질 필요가 있다.
연령에 적합한 문제이어야 한다.
이야기의 배경과 등장인물이 익숙한 이야기는 문제 상황을 다루기가 더 쉽다.
셋째, 문제가 개인의 가지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인지의 여부이다.
나) 역할놀이의 활동 방법
① 이야기 읽어주기 단계
② 역할놀이를 할 유아들을 정한다.
③ 나머지 유아들은 조용히 듣도록 한다.
④ 연기하기
⑤ 토의와 평가
⑥ 다시 역할놀이 하기
⑦ 토의하고 일반화하기
(2) 무언극
무언극은 한사람이 이야기를 읽거나 말을 해 주는 동안 유아가 등장인물의 역할을 해 보는 것이다. 대화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어린 유아들이 하기에 적합한 극화 활동이다.
① 이야기를 읽어주거나 구연한다.
② 이야기 속에 나오는 등장인물에 대해 알아본다. 살아있는 인물들뿐만 아니라 나무와 구름, 별과 같은 물체들도 포함시킬 수 있다.
③ 배역이 결정되면 자신의 역할을 무언극으로 해 보도록 한다.
④ 배역을 충분하게 연습할 시간을 준다.
⑤ 자기가 맡은 배역에 대해 충분히 연습한 후 다시 이야기 구성을 간략하게 요약해 본다.
⑥ 소품은 필요하지 않으나 이야기 속에 나오는 움직임이 없는 물체들의 경우 배역을 정해 묘사할 수 있다.
⑦ 연기를 하는 동안 이야기를 구연하거나 읽어준다. 교사가 할 수도 있으나 유아가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3) 동극
유아들이 직접 자신이 등장인물의 역할을 하여 봄으로써 이야기를 스스로 해석하고 표현할 수 있는 표현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유아들은 동극을 통해 이야기 속의 인물을 재해석하고 이야기의 순서를 논리적으로 재구성하는 경험을 갖는 것이다.
가) 동극의 교육적 가치
① 극화 활동을 하는 동안 이야기의 문학적 요소에 대해 이해가 깊어진다.
② 극화 활동은 정서적 이완과 즐거움을 준다.
③ 이야기의 극화에 필요한 기술을 습득할 수 있다.
나) 동극에 적절한 이야기의 선택
극화에 적당한 갈등 상황이 있으며 사건이 풍부한 이야기가 적절하다. 또한 유아들이 이야기 속에서 다른 등장인물들과 구별할 수 있도록 성격 묘사가 잘 되어 있어야 하며 유아들이 동극을 잘 이끌어 갈 수 있도록 대화가 풍부하여야 한다.
다) 동극의 활동 방법
① 동극을 할 이야기나 동시를 선택한다.
② 이야기를 읽어주거나 구연한다.
③ 이야기 속의 등장인물을 알아보고 극화에 필요한 장면을 생각해 본다.
④ 등장인물에 대한 토론을 하며 인물의 성격을 묘사하는 무언극을 할 수 있다.
⑤ 등장인물과 무대에 대한 제작이 필요한 경우에는 시간을 부여한다.
⑥ 각자 자신의 역할에 따라 연기한다. 해설자를 유아가 할 수도 있다.
⑦ 시작과 끝의 경우 교사가 종소리나 다른 음악으로 알릴 수 있으며 장면의 도입과 장면의 변화에 따라 설명하여 줄 수 있다.
⑧ 역할을 새로이 선정하거나 팀을 나눌 경우 새 팀으로 바꾸어서 극화하도록 한다.
⑨ 동극에 대해 평가해 보도록 한다. 비평보다는 유아의 표현에 대해 격려를 하는 것이 적절하다.
9. 미디어를 활용한 유아문학의 제시
1) 이야기를 오디오 테이프에 녹음하여 들려주기
이야기책과 오디오 테이프를 함께 제공하는 것은 반복하여 이야기를 들려 줄 수 있고, 이야기를 전문적으로 구연가의 목소리로 녹음하였을 때 이 이야기의 풍부한 표현을 느낄 수 있다. 또 실감나는 음향 효과와 적절한 배경 음악의 선택은 문학에 대한 경험을 좀 더 풍요롭게 한다. 그리고 교사나 부모들이 녹음하여 주는 경우는 친근감을 느낄 수 있다.
교사나 부모가 스스로 이야기 테이프를 만들어 줄 때는 축약하거나 빠뜨리지 않고 본문의 글자대로 읽어서 녹음한다. 제목부터 제시한다. 적절한 음향 효과를 덧붙이는 것이 좋고, 페이지의 변화는 신호음을 넣는다. 그리고 이야기를 구연할 때는 분명하게 읽어주며 지나치게 빠르지 않도록 한다. 이야기의 끝부분에도 음향을 넣어서 끝나는 부분을 알 수 있도록 한다.
2) 비디오 테이프로 이야기 들려주기
1980년대에 VCR의 보급이 확산됨에 따라 유아들을 위한 영상매체가 가정에 급속하게 확산 보급되게 되었다. 비디오 테이프에 의한 영상물은 학교교육에서도 많이 사용하게 되었는데 간단한 조작만으로 대집단의 학생들이 시청할 수 있으며 이야기를 구연해 주거나 읽어주는 것의 절차를 모두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3) 컴퓨터를 통한 이야기 경험하기
컴퓨터는 자신의 사고를 제시하고 교정해 볼 수 있는 좋은 도구이다. 컴퓨터가 즉 놀이나 바깥 놀이를 대체해서는 안되겠지만 적절한 프로그램이 주어진다면 유아들에게 또 다른 탐색의 시회를 줄 수 있을 것이다.
유아문학을 경험할 때의 소프트웨어는 첫째, 소프트웨어의 내용이 유아에게 흥미롭고 발달 수준에 적절한가? 둘째, 소프트웨어의 내용이 융통성이 있다면 탐색을 격려하는가? 셋째, 성인의 지속적인 도움 없이도 쉽게 유아들이 조작할 수 있는 내용인가? 에 유의 하여야 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6.12.13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25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