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는 말로 억양있게 말하는지 관찰하였다.
→P:억양있는 것처럼 뭐라고 웅얼 거렸다.
⑮(의미 없이)엄마, 아빠한다.
검사 방법:선생님께 한솔이가 의미 없이 엄마, 아빠 하는지에 대해 물어보았다.
→P:의미 없이 엄마, 아빠라는 말을 한다고 한다.
연령선 오른쪽에 있는 항목
①7개의 단어를 정의한다.
검사 방법:5개의 단어를 정의하면서 5개를 정의 할 수 있으면 두개를 더 추가 해서 검사한다.
→F:5개 단어 정의도 하지 못하였고 따라서 이 항목은 당연히 실패이다.
(4)운동발달
연령선에 닿는 항목
①발끝을 붙여 걷는다.
검사 방법:아동에게 한쪽 발의 발 뒤꿈치를 다른 쪽 발의 앞에 붙여 놓아서 8걸음 정도 걸어서 보여준 후 아동에게 그렇게 하도록 한다.
→F:아동이 지시수행을 이해하고 하지 못하였다. 두발을 붙여서 걸을 때도 10cm 정도 떨어져서 걷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②한발로 깡총 뛴다.
검사 방법:아동에게 아무 것도지지 하지 않은 채 한발로 깡충 뛰어오를 수 있도록 시범을 보였다.
→F:아동은 두발로 뛰었고 한발로 뛰지 못하였다.
③한발로 선다(3초).
검사 방법:아동에게 한발로 서는 방법을 보여주고 따라해보도록 시도해 보았다.
→F:아동은 한발로 오랫동안 서지 못했고 한발을 때자 마자 균헝이 무너졌다.
연령선 왼쪽에 있는 항목
①한발로 선다(1초)
검사 방법:아동에게 한발로 서는 방법을 보여주고 따라해보도록 시도해 보았다.
→F:아동은 한발로 오랫동안 서지 못했고 한발을 때자 마자 균헝이 무너졌다.
②넓이 뛴다
검사 방법:바닥에 검사지 한 장(21.5cm)을 놓고 뛰도록 하고 시범을 3번 보여 주었다.
→F:아동은 21.5CM을 넘지 못하고 검사지를 밟았다.
③계단을 오른다.
검사 방법:신체 활동을 하기 위해 옥상으로 올라가는 동안 계단에서 아동의 반응을 관찰 하였다.
→P:아동이 벽을 짚고 올라갈 수 있었지만 안전을 고려하여 거의 대부분 교사의 손을 잡고 올라갔다 .
④뛴다.
검사 방법:옥상에서 신체 놀이를 할 때 아동을 관찰 하였다.
→P:교사가 뛰면서 같이 활동을 유도하였을 때 넘어지지 않고 잘 뛰는 모습을 볼 수 있
었다.
연령선 오른쪽에 있는 항목
①한발로 선다(6초).
검사 방법:아동에게 한발로 서는 방법을 보여주고 따라해 보도록 시도해 보았다.
→F:위에서 한발로 서는 검사를 해보았을 때 발을 떼자마자 균형이 무너졌으므로 당연히 6초 동안 한발로 설 수 없었다.
4.검사결과 해석
본 대상자 OOO은 자신의 연령인 43개월에 맞는 DenverⅡ 발달사정 도구를 이용 하여
검사한 결과,
■ 개인 - 사회성 발달 영역
연령선에 닿은 항목-F:5 P:0
연령선 왼쪽에 있는 항목-F:5(연령선이 닿지 않은 왼쪽 1~5번째까지)
P:6번째 부터 계속 pass(여기서는 2개 정도만 제시함)
연령선 오른쪽에 있는 항목:항목이 없었음
개인-사회성 발달 영역에서 연령선에 해당하는 항목은 모두 실패 하였고 그 중 1개는 25~75% 사이에 있었기 때문에 정상이나 나머지 4개는 75~90% 사이에 있는 항목이었으므로 주의에 해당한다. 그리고 연령선 왼쪽에 있는 항목을 실시하였을 때 연령선 아래로 5개 연속으로 실패 하였으므로 지연으로 볼 수 있다. 대상자는 연령선 아래로 6번째부터 계속해서 성공하였고 여기에 해당하는 나이는 12개월이다.
■ 미세운동 및 적응 발달 영역
연령선에 닿은 항목-F: 8 P: 0
연령선 왼쪽에 있는 항목-F: 4(연령선이 닿지 않은 왼쪽 1~4번째까지) P: 5번째부터 계속 pass(여기서는 2개 정도만 제시함)
연령선 오른쪽에 있는 항목:항목이 없었음
미세운동 및 적응발달 영역에서 연령선에 해당하는 항목은 모두 실패 하였고 그 중 4개는 25~75% 사이에 있었기 때문에 정상이나 나머지 4개는 75~90% 사이에 있는 항목에서 실패하였으므로 주의에 해당한다. 그리고 연령선 왼쪽에 있는 항목을 실시하였을 때 연령선 아래로 4개 연속으로 실패 하였으므로 지연으로 볼 수 있다. 대상자는 연령선 아래로 5번째부터 계속해서 성공하였고 여기에 해당하는 나이는 12개월이다.
■ 언어발달 영역
연령선에 닿은 항목-F: 13 P: 0
연령선 왼쪽에 있는 항목-F: 13(연령선이 닿지 않은 왼쪽 1~13번째까지)
P: 14번째부터 계속 pass(여기서는 2개 정도만 제시함)
연령선 오른쪽에 있는 항목-F: 1 P: 0
언어발달 영역에서 연령선에 해당하는 항목은 모두 실패 하였고 그 중 8개는 25~75% 사이에 있었기 때문에 정상이나 나머지 5개는 75~90% 사이에 있는 항목에서 실패하였으므로 주의에 해당한다. 연령선의 오른쪽에 있는 항목을 실시 하였을 때 실패하였으나 이 항목에서 실패는 정상으로 간주한다. 그리고 연령선 왼쪽에 있는 항목을 실시하였을 때 연령선 아래로 13개 연속으로 실패 하였으므로 지연으로 볼 수 있다. 대상자는 연령선 아래로14번째부터 계속해서 성공하였고 여기에 해당하는 나이는 4~5개월이다.
■ 운동 발달영역
연령선에 닿은 항목-F: 3 P: 0
연령선 왼쪽에 있는 항목-F: 2 P: 2
연령선 오른쪽에 있는 항목-F: 1 P: 0
운동발달 영역에서 연령선에 해당하는 항목은 모두 실패 하였고 그 항목 모두는 25~75% 사이에 있었기 때문에 실패 하여도 정상으로 간주한다. 연령선의 오른쪽에 있는 항목을 실시 하였을 때 실패하였으나 이 항목에서 실패는 정상으로 간주한다. 그리고 연령선 왼쪽에 있는 항목을 실시하였을 때 연령선 아래로 2개 연속으로 실패 하였으므로 지연으로 볼 수 있다. 대상자는 연령선 아래로 3번째부터 계속해서 성공하였고 여기에 해당하는 나이는 19~20개월이다.
☞검사 결과 해석
OOO 아동의 Denver Ⅱ 검사결과 다음과 같이 해석된다.
결과
영역
주의
지연
정상
개인-사회성 발달
4
5
1
미세운동 및 적응발달
4
4
4
언어발달
5
13
9
운동 발달영역
0
2
4
1가지 영역 이상에서 지연항목과 2개 이상의 주의항목이 있으므로 의심스런(Questionable) 발달으로 간주되며 특히 언어 발달이 다른 항목보다 더 심각하므로 언어발달과 관련해 집중적인 치료 및 교육을 필요로 한다.
→P:억양있는 것처럼 뭐라고 웅얼 거렸다.
⑮(의미 없이)엄마, 아빠한다.
검사 방법:선생님께 한솔이가 의미 없이 엄마, 아빠 하는지에 대해 물어보았다.
→P:의미 없이 엄마, 아빠라는 말을 한다고 한다.
연령선 오른쪽에 있는 항목
①7개의 단어를 정의한다.
검사 방법:5개의 단어를 정의하면서 5개를 정의 할 수 있으면 두개를 더 추가 해서 검사한다.
→F:5개 단어 정의도 하지 못하였고 따라서 이 항목은 당연히 실패이다.
(4)운동발달
연령선에 닿는 항목
①발끝을 붙여 걷는다.
검사 방법:아동에게 한쪽 발의 발 뒤꿈치를 다른 쪽 발의 앞에 붙여 놓아서 8걸음 정도 걸어서 보여준 후 아동에게 그렇게 하도록 한다.
→F:아동이 지시수행을 이해하고 하지 못하였다. 두발을 붙여서 걸을 때도 10cm 정도 떨어져서 걷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②한발로 깡총 뛴다.
검사 방법:아동에게 아무 것도지지 하지 않은 채 한발로 깡충 뛰어오를 수 있도록 시범을 보였다.
→F:아동은 두발로 뛰었고 한발로 뛰지 못하였다.
③한발로 선다(3초).
검사 방법:아동에게 한발로 서는 방법을 보여주고 따라해보도록 시도해 보았다.
→F:아동은 한발로 오랫동안 서지 못했고 한발을 때자 마자 균헝이 무너졌다.
연령선 왼쪽에 있는 항목
①한발로 선다(1초)
검사 방법:아동에게 한발로 서는 방법을 보여주고 따라해보도록 시도해 보았다.
→F:아동은 한발로 오랫동안 서지 못했고 한발을 때자 마자 균헝이 무너졌다.
②넓이 뛴다
검사 방법:바닥에 검사지 한 장(21.5cm)을 놓고 뛰도록 하고 시범을 3번 보여 주었다.
→F:아동은 21.5CM을 넘지 못하고 검사지를 밟았다.
③계단을 오른다.
검사 방법:신체 활동을 하기 위해 옥상으로 올라가는 동안 계단에서 아동의 반응을 관찰 하였다.
→P:아동이 벽을 짚고 올라갈 수 있었지만 안전을 고려하여 거의 대부분 교사의 손을 잡고 올라갔다 .
④뛴다.
검사 방법:옥상에서 신체 놀이를 할 때 아동을 관찰 하였다.
→P:교사가 뛰면서 같이 활동을 유도하였을 때 넘어지지 않고 잘 뛰는 모습을 볼 수 있
었다.
연령선 오른쪽에 있는 항목
①한발로 선다(6초).
검사 방법:아동에게 한발로 서는 방법을 보여주고 따라해 보도록 시도해 보았다.
→F:위에서 한발로 서는 검사를 해보았을 때 발을 떼자마자 균형이 무너졌으므로 당연히 6초 동안 한발로 설 수 없었다.
4.검사결과 해석
본 대상자 OOO은 자신의 연령인 43개월에 맞는 DenverⅡ 발달사정 도구를 이용 하여
검사한 결과,
■ 개인 - 사회성 발달 영역
연령선에 닿은 항목-F:5 P:0
연령선 왼쪽에 있는 항목-F:5(연령선이 닿지 않은 왼쪽 1~5번째까지)
P:6번째 부터 계속 pass(여기서는 2개 정도만 제시함)
연령선 오른쪽에 있는 항목:항목이 없었음
개인-사회성 발달 영역에서 연령선에 해당하는 항목은 모두 실패 하였고 그 중 1개는 25~75% 사이에 있었기 때문에 정상이나 나머지 4개는 75~90% 사이에 있는 항목이었으므로 주의에 해당한다. 그리고 연령선 왼쪽에 있는 항목을 실시하였을 때 연령선 아래로 5개 연속으로 실패 하였으므로 지연으로 볼 수 있다. 대상자는 연령선 아래로 6번째부터 계속해서 성공하였고 여기에 해당하는 나이는 12개월이다.
■ 미세운동 및 적응 발달 영역
연령선에 닿은 항목-F: 8 P: 0
연령선 왼쪽에 있는 항목-F: 4(연령선이 닿지 않은 왼쪽 1~4번째까지) P: 5번째부터 계속 pass(여기서는 2개 정도만 제시함)
연령선 오른쪽에 있는 항목:항목이 없었음
미세운동 및 적응발달 영역에서 연령선에 해당하는 항목은 모두 실패 하였고 그 중 4개는 25~75% 사이에 있었기 때문에 정상이나 나머지 4개는 75~90% 사이에 있는 항목에서 실패하였으므로 주의에 해당한다. 그리고 연령선 왼쪽에 있는 항목을 실시하였을 때 연령선 아래로 4개 연속으로 실패 하였으므로 지연으로 볼 수 있다. 대상자는 연령선 아래로 5번째부터 계속해서 성공하였고 여기에 해당하는 나이는 12개월이다.
■ 언어발달 영역
연령선에 닿은 항목-F: 13 P: 0
연령선 왼쪽에 있는 항목-F: 13(연령선이 닿지 않은 왼쪽 1~13번째까지)
P: 14번째부터 계속 pass(여기서는 2개 정도만 제시함)
연령선 오른쪽에 있는 항목-F: 1 P: 0
언어발달 영역에서 연령선에 해당하는 항목은 모두 실패 하였고 그 중 8개는 25~75% 사이에 있었기 때문에 정상이나 나머지 5개는 75~90% 사이에 있는 항목에서 실패하였으므로 주의에 해당한다. 연령선의 오른쪽에 있는 항목을 실시 하였을 때 실패하였으나 이 항목에서 실패는 정상으로 간주한다. 그리고 연령선 왼쪽에 있는 항목을 실시하였을 때 연령선 아래로 13개 연속으로 실패 하였으므로 지연으로 볼 수 있다. 대상자는 연령선 아래로14번째부터 계속해서 성공하였고 여기에 해당하는 나이는 4~5개월이다.
■ 운동 발달영역
연령선에 닿은 항목-F: 3 P: 0
연령선 왼쪽에 있는 항목-F: 2 P: 2
연령선 오른쪽에 있는 항목-F: 1 P: 0
운동발달 영역에서 연령선에 해당하는 항목은 모두 실패 하였고 그 항목 모두는 25~75% 사이에 있었기 때문에 실패 하여도 정상으로 간주한다. 연령선의 오른쪽에 있는 항목을 실시 하였을 때 실패하였으나 이 항목에서 실패는 정상으로 간주한다. 그리고 연령선 왼쪽에 있는 항목을 실시하였을 때 연령선 아래로 2개 연속으로 실패 하였으므로 지연으로 볼 수 있다. 대상자는 연령선 아래로 3번째부터 계속해서 성공하였고 여기에 해당하는 나이는 19~20개월이다.
☞검사 결과 해석
OOO 아동의 Denver Ⅱ 검사결과 다음과 같이 해석된다.
결과
영역
주의
지연
정상
개인-사회성 발달
4
5
1
미세운동 및 적응발달
4
4
4
언어발달
5
13
9
운동 발달영역
0
2
4
1가지 영역 이상에서 지연항목과 2개 이상의 주의항목이 있으므로 의심스런(Questionable) 발달으로 간주되며 특히 언어 발달이 다른 항목보다 더 심각하므로 언어발달과 관련해 집중적인 치료 및 교육을 필요로 한다.
추천자료
Intracerebral hemorrhage(뇌내출혈)환자에 대한 간호사례 연구
Hydrocephalus(뇌수종, 뇌수두증)
뇌경색(Cerebral infarction)
뇌경색(Crebral infarction)케이스 스터디
뇌실내 출혈 대상자 간호사례연구
뇌내 출혈(Intracerabral hemorrhage: ICH)
성인간호학-뇌출혈케이스
뇌경색 케이스
뇌경색 (Cerebral Infarction)
응급실 케이스 - 뇌출혈(지주막하출혈)
신경외과 중환자실 케이스 - 뇌농양 (brain abscess)
성인간호학 뇌경색 간호과정
뇌출혈 케이스
뇌내출혈(Intracerebral hemorrhage, ICH) 케이스 스터디 A+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