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명칭
2. 저자
3. 기록연대
4. 집필 의도
5. 정경에서의 위치
6. 목적
7.특징
8. 내용
9. 룻기에 나타난 고엘 제도
10. 룻기에 나타난 수혼 제도
11. 룻기의 신학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명칭
2. 저자
3. 기록연대
4. 집필 의도
5. 정경에서의 위치
6. 목적
7.특징
8. 내용
9. 룻기에 나타난 고엘 제도
10. 룻기에 나타난 수혼 제도
11. 룻기의 신학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선택하셨음을 알 수 있게 해준다. 하나님께서는 무엇보다도 이들의 계보를 통해 많은 왕들이 날 것을 약속하셨다.
Ⅲ. 결론
지금까지 살펴 본 대로 룻기는 단순히 읽기 쉬운 소설책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자기 백성을 어떻게 구원을 성취시키는가를 보여주는 것임을 알게 되었다. 하나님은 구원의 계획을 펼쳐서 자기 백성을 부르시고 구원의 반열을 세우심으로 약속을 성취하시는 것을 볼 수 있다.
룻기에서 느낄 수 있는 몇 가지 교훈은 첫째로, 우리는 아무리 어둡고 험난한 때가 닥친다 해도 하나님께서는 당신의 백성을 보호해주신다는 사실을 배울 수 있다. 하나님의 자녀인 우리들은 아무리 어렵고 고통스러운 시련의 때에 처해있을 때에도 항상 우리를 지켜주시는 하나님의 거룩한 손길과 은혜의 빛이 뒤따르고 있음을 믿고 하나님의 손에 의지해야 한다. 둘째로, 우리는 당시의 사회적 관습을 통해 거룩한 구속의 율법을 배울 수 있다. 룻기 내의 ‘고엘’ 이라는 율법을 통해 이 율법의 자비로움과 선함을 알 수 있고 또한, 가난한 사람과 부를 나누어 갖게 하는 하나님의 선하심을 알 수 있다. 밭 한 귀퉁이에 남겨놓은 이삭은 바로 타국인과 이방인들을 위해서 남겨놓은 것이었으며 오늘날로 말하면 불우한 이웃들을 위하여 남겨 놓은 작은 몫이었던 것이다. 아마도 이 방법을 오늘날 시행한다면 현대사회의 고질적인 부익부 빈익빈의 문제는 쉽사리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우리에게 구속의 은총을 주신 그리스도의 탄생을 예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룻기를 통하여 참된 그리스도인이 걸어가야 하는 신앙의 길을 배울 수 있다. 룻기는 성경의 다른 부분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어려움과 고난의 때에 하나님께 기도한다면 우리의 원하는 것을 채워주신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참고문헌◇
G. 포러, 「구약 성서개론」, (대한기독교출판소, 1993)
H.링그렌, 「국제 성서 주석」, (한국성서신학연구소, 1992)
캠프벨, 「Ruth」
Howard, 「구약 역사서 개론」, (서울: 크리스챤출판사)
강병도, 「호크마 종합 주석」, (서울: 기독지혜사, 2000)
R.L.Harris, 「구약 원어 신학 사전」, 상권 (서울: 요단출판사, 1988)
「여호수아, 사사기, 룻기」, 그랜드 종합주석 제 4권 (서울: 성서교재 간행사, 1994)
앗킨슨 D. 「룻기에 나타난 하나님의 섭리」,(서울: 풍만출판사, 1987)
손세훈, 「미발표논문」,(2006.5)
Ⅲ. 결론
지금까지 살펴 본 대로 룻기는 단순히 읽기 쉬운 소설책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자기 백성을 어떻게 구원을 성취시키는가를 보여주는 것임을 알게 되었다. 하나님은 구원의 계획을 펼쳐서 자기 백성을 부르시고 구원의 반열을 세우심으로 약속을 성취하시는 것을 볼 수 있다.
룻기에서 느낄 수 있는 몇 가지 교훈은 첫째로, 우리는 아무리 어둡고 험난한 때가 닥친다 해도 하나님께서는 당신의 백성을 보호해주신다는 사실을 배울 수 있다. 하나님의 자녀인 우리들은 아무리 어렵고 고통스러운 시련의 때에 처해있을 때에도 항상 우리를 지켜주시는 하나님의 거룩한 손길과 은혜의 빛이 뒤따르고 있음을 믿고 하나님의 손에 의지해야 한다. 둘째로, 우리는 당시의 사회적 관습을 통해 거룩한 구속의 율법을 배울 수 있다. 룻기 내의 ‘고엘’ 이라는 율법을 통해 이 율법의 자비로움과 선함을 알 수 있고 또한, 가난한 사람과 부를 나누어 갖게 하는 하나님의 선하심을 알 수 있다. 밭 한 귀퉁이에 남겨놓은 이삭은 바로 타국인과 이방인들을 위해서 남겨놓은 것이었으며 오늘날로 말하면 불우한 이웃들을 위하여 남겨 놓은 작은 몫이었던 것이다. 아마도 이 방법을 오늘날 시행한다면 현대사회의 고질적인 부익부 빈익빈의 문제는 쉽사리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우리에게 구속의 은총을 주신 그리스도의 탄생을 예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룻기를 통하여 참된 그리스도인이 걸어가야 하는 신앙의 길을 배울 수 있다. 룻기는 성경의 다른 부분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어려움과 고난의 때에 하나님께 기도한다면 우리의 원하는 것을 채워주신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참고문헌◇
G. 포러, 「구약 성서개론」, (대한기독교출판소, 1993)
H.링그렌, 「국제 성서 주석」, (한국성서신학연구소, 1992)
캠프벨, 「Ruth」
Howard, 「구약 역사서 개론」, (서울: 크리스챤출판사)
강병도, 「호크마 종합 주석」, (서울: 기독지혜사, 2000)
R.L.Harris, 「구약 원어 신학 사전」, 상권 (서울: 요단출판사, 1988)
「여호수아, 사사기, 룻기」, 그랜드 종합주석 제 4권 (서울: 성서교재 간행사, 1994)
앗킨슨 D. 「룻기에 나타난 하나님의 섭리」,(서울: 풍만출판사, 1987)
손세훈, 「미발표논문」,(2006.5)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