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목차
이자율의 종류
무이표 이자율
채권
액면가 수익률
현물이자율 계산을 위한 표본 데이터
Bootstrp법
선도이자율
상향과 하향 기울기의 수익률곡선
선도금리계약
다른관점에서의 FRA의 이해
기간구조론
일수계산
T-Bond T-bill
전환계수
유로달러
듀레이션
무이표 이자율
채권
액면가 수익률
현물이자율 계산을 위한 표본 데이터
Bootstrp법
선도이자율
상향과 하향 기울기의 수익률곡선
선도금리계약
다른관점에서의 FRA의 이해
기간구조론
일수계산
T-Bond T-bill
전환계수
유로달러
듀레이션
본문내용
무엇이 수익률곡선을 결정하는가에 대한 이론
(theory of the term structure)
기대이론(Expectations Theory): 가장 단순한 이론, 장기이자율이 미래의 기대단기이자율을 반영하여 결정된다.
즉, 미래특정기간의 선도이자율이 그 기간 동안 기대되는 미래 현물이자율과 같다.
분할이론(Market Segmentation): 단기, 중기 및 장기이자율 간에 어떤 관계도 있을 이유가 없다.
대형연금 등의 투자기관은 특정만기의 채권에 투자하며, 만기를 쉽게 변경시키지 않으려 하므로 단기이자율은 단기시장에서 수요와 공급에 의하여 결정되고 중기이자율은 중기시장에서의 수요와 공급에 의하여 결정된다.
(theory of the term structure)
기대이론(Expectations Theory): 가장 단순한 이론, 장기이자율이 미래의 기대단기이자율을 반영하여 결정된다.
즉, 미래특정기간의 선도이자율이 그 기간 동안 기대되는 미래 현물이자율과 같다.
분할이론(Market Segmentation): 단기, 중기 및 장기이자율 간에 어떤 관계도 있을 이유가 없다.
대형연금 등의 투자기관은 특정만기의 채권에 투자하며, 만기를 쉽게 변경시키지 않으려 하므로 단기이자율은 단기시장에서 수요와 공급에 의하여 결정되고 중기이자율은 중기시장에서의 수요와 공급에 의하여 결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