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능과 창의성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능과 창의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지능이란 무엇인가

2. 지능검사의 활용

3. 지능과 학력의 관계

4. 지능과 창의성의 관계

5. 지능을 향상시키는 비결

6. 지능 계발을 가로막는 말들
1. 창의성이란 무엇인가.
2. 창의력은 왜 필요한가
3. 창의성의 장애요인
4. 창의력의 실제
5. 寓話的 입장에서 살펴 본 창의력
6. 창의성 향상 방법

본문내용

) 아주 다른 성격을 가진 두 명의 소년이 숲 속을 걸어가고 있었다. 첫째 소년은 선생님도 부모님도 모두 똑똑하다고 인정받는 소년이었기에 늘 자기 자신이 똑똑하다고 생각하며 생활하였다. 그 소년은 시험 성적도, 학교 성적도, 그리고 기타 학생 자치활동 성적도 훌륭하였다. 반면 다른 소년은 한 번도 똑똑하다고 소리를 듣지 못하고 자란 소년이었다. 그 소년은 시험 성적도, 학교 성적도, 그리고 기타 학생 자치활동 성적도 신통치 않았다. 기껏해야 칭찬이라고는 눈치가 빠르다거나 현실 감각이 뛰어나다는 소리를 들었을 정도이다.
이 두 소년이 숲 속을 걸어가다가 커다란 어려움에 봉착하게 되었다. 몸집이 크고 화가 난 데다 배가 무척 고픈 회색 곰이 그들을 향해 달려오고 있는 것이었다. 이 때 똑똑한 첫 번째 소년은 자기가 아무리 빨리 도망을 간다고 하더라도 그 곰은 17.3 초 만에 자신들을 따라 잡을 것을 알고 도망가기를 포기한 채 공포에 사로 잡혀 두 번째 소년을 쳐다보았다. 그러나 두 번째 소년은 침착하게 자신의 조깅화 끈을 단단히 조이고 있었다. 이를 본 첫 번째 소년이 두 번째 소년에게 이렇게 말했다.
“너 돌았구나. 우리가 저 회색 곰보다 빨리 달릴 수 있을 가능성은 없어!”
그러자 두 번째 소년은 첫 번째 소년에게 이렇게 말하였다.
“그건 사실이야. 하지만 난 너보다 빨리 달리기만 하면 돼.”
이 이야기 속의 두 소년은 모두 똑똑하다. 단 똑똑한 방식이 다를 뿐이다. 첫 번째 소년은 자신이 갖고 있는 분석적 지능을 발휘하여 재빨리 문제를 분석했다. 그러나 그것이 똑똑한 그가 할 수 있는 것의 전부였다. 두 번째 소년은 문제점을 파악했을 뿐만 아니라 창조적이고 실천적인 해결안을 마련했다. 그는 성공 지능을 과시한 것이다.
(2) 반에서 똑똑하기로 소문난 태균은 자기 반의 멍청한 친구인 태식을 늘 놀리곤 하였다. 그 날도 태균은 다른 친구들을 불러 모아 놓고 태식의 멍청한 짓을 보여주려고 하였다.
태균: 태식! 여기 나의 왼 손에는 1000원이 있고, 오른 손에는 5000원이 있어.
이 둘 중 네가 갖고 싶은 것 아무 것이나 하나 가져도 돼.
(※ 지폐의 외형은 1000원이 5000원보다 크다.)
태식: (한 동안 두 지폐를 보더니) 나는 1000원을 가질게!
친구들: (태식을 놀려대며 배꼽을 쥐며 웃는다.)
선생님: (멀리서 그 광경을 보고 계시던 선생님이 태식을 부른다.)
윤태식! 이 멍청한 녀석아. 너는 결국 4000원를 손해본거야. 5000원을 집어야지.
태식: (선생님을 한심하다는 듯 쳐다보며) 선생님! 저도 알아요. 제가 만약 5000원을
집으면 태균이가 다음부터 나에게 동전을 골라가지라고 하겠어요?
제가 벌써 이렇게 해서 번 돈이 10000원이 넘어요.
성공 지능은 분석적창조적실천적이라는 세 측면의 생각을 잘 해내는 능력으로 서로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 문제를 해결하고 아이디어의 질을 판단하는 데에는 분석적 지능이 필요하다. 그러나 문제점과 아이디어를 훌륭하게 파악하는 데에는 창조적 지능이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일상생활에서 훌륭한 아이디어와 분석 방식을 활용하려면 실천적 지능이 있어야 한다.
성공 지능은 분석적창조적실천적이라는 세 측면이 균형을 이룰 때 가장 효과적이다. 이러한 세 측면은, 그것을 가지고 있는 것보다 적절히 활용하는 시기와 방법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성공 지능인은 단지 능력을 갖고 있기만 한 것이 아니다. 오히려 그 능력을 적절히 사용하는 시기와 방법을 늘 생각한다(Sternberg, 1996).
6. 창의성 향상 방법
(1) 뇌의 긴장을 풀어 휴식을 취한다.
(2) 좌. 우뇌를 동시에 사용하라.
(3) 평소 잘 쓰지 않는 곳 자주 사용한다.
- 오른손잡이의 경우 평소에 잘 쓰지 않는 쪽의 몸인 왼쪽 몸을 자주 사용하면 발달이 덜 된 뇌에 자극이 가서 우뇌가 발달한다.
(4) 음악으로 활기 불어넣기
(5) 뇌기능 활성음식을 섭취한다.
- 미네랄, 비타민, 단백질이 풍부한 음식. 고기보다는 야채.
(6) 의욕을 가져라.
- 대상에 흥미를 갖고 성취 의욕을 갖는 것은 뇌기능에 훌륭한 원천이 된다.
(7) 머리를 자주 사용하라
- 머리를 자주 사용해야 뇌의 회로가 증가하고 기능이 발달해 우수한 지능을 가진다.
(8) 이미지력과 공간 인식력
- 어떤 사건이나 그림, 과거나 미래를 머릿속에 그려 보면서 이미지력과 공간적 인식력을 키우는 것은 곧 창의력과 직결된다.
(9) 오감을 사용하라
- 뇌는 외부로부터 오는 감각자극을 받아들여 반응하는 과정에서 발달하기 때문에 오감을 모두 사용하면 뇌가 활발해진다.
(10) 패턴인식을 하라.
사람이나 사물을 볼 때 모든 부분을 기억하는 것이 아니라 특징을 잡아 조합해 기억하는 것이 패턴인식이다. 패턴인식은 문제의 핵심을 파악하고 집중력. 기억력. 직관력. 종합력 등을 증진시킨다.
(11) 유머감각을 키워라.
유머감각을 키우면 독창적인 아이디어들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계발된다.
[맺음말]
창의적 사고란 논리적 사고에 기초하고 있다. 창의적인 사고, 즉 창의성은 위에 기술한 이러한 사고 진행과정에 익숙할 때 비로소 만들어지는 것이다. 이렇게 창의성이란 논리적 사고라는 땅에서 피어나는 꽃이라는 사실을 항상 인식해야만 한다. 이번 조사를 통하여, 단지 상상력 등이 풍부한 사람이나 특별한 사람에게만 국한된 능력이라고 생각했던 창의성이 결국은 스스로의 노력여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알았고, 지능과 창의성의 관계에 대해서 오해하고 있던 부분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참고 문헌
창의적 문제해결 (김영채) 1999, 교육과학사
혁신리더 2006.1 한국능률협회
http://psychtest.educyber.org/index.shtml
http://www.sesri.re.kr/
천재, 그 창조성의 비밀 (김재은) 1991.
부모역할, 배워지는 것인가? 한국 심리상담 연구소, 1991.
창의성에의 초대(임선하) 1995.
리더십이 자라는 창의력 혁명 2000, 디모데
임선하 창의성연구소 홈페이지
지능과 창의성 홍순정, 1999, 양서원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7.01.09
  • 저작시기200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74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