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유집이 편찬한 상한론조변 3권20~27조문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방유집이 편찬한 상한론조변 3권20~27조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같이 생장하고 윤활하며 기름짐이다.
胎滑本由丹田有熱,胸中有寒而成.
설태가 윤활함은 본래 단전에 열이 있음과 가슴 속에 한기가 있음에 유래하여 생성한다.
然丹田、陰也.
그러므로 단전은 음이다.
胸中、陽也.
가슴 속은 양이다.
熱反在陰而寒反在陽,所以爲不可攻也.
열이 반대로 음에 있고 한기가 반대로 양에 있으므로 그래서 공격할 수 없음이 된다.
(二七)
問曰,病有結胸、有臟結,其狀何如?
27. 문길 병에 결흉이 있고 장결이 있으니 그 증상은 어떠합니까?
答曰,按之痛,寸脈浮,關脈沈,名曰結胸也.
대답하길 누르면 아프고 촌맥이 부맥이고 관맥이 침맥이면 이름하여 결흉이라고 합니다.
何謂臟結?
무엇을 장결이라고 말합니까?
答曰,如結胸狀,食如故,時時下利,寸脈浮,關脈小細沈緊,名曰臟結.
대답하길 결흉과 모양이 같고 음식은 예전처럼 먹는데 때때로 하리하고 촌맥이 부맥이고, 관맥은 세소하면서 침긴맥이면 이름하여 장결이라고 합니다.
舌上白胎滑者,難治.
혀위에 백태가 윤활하면 난치입니다.
주해
此設問答,以明結胸臟結之同異,時時下利者,陰邪結於陰臟而寒甚也.
이는 문답을 개설하여 결흉과 장결의 같고 다름을 밝히니 때때로 하리하고 음사는 음장에 울결하여 한증이 심해진다.
以寒甚,故脈多小細與緊,此其所以不同.
한증이 심해지므로 맥이 세소와 긴맥이 많으니 이는 그래서 같지 않음이다.
蓋結胸以陽邪結於陽,臟結以陰邪結於陰故也.
대개 결흉은 양의 사기가 양 부위에 결체함이고, 장결은 음의 사기가 음부위에 결체하기 때문이다.
末復申言,臟結有難治之故者,丁寧戒謹之意也。
끝에서 다시 펴서 말함은 장결에 난치가 있는 까닭이 있으니 정녕 경계하고 삼가는 뜻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7.01.28
  • 저작시기200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84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