되치기본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되치기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유도의 본

2.되치기 본의 특징

3.되치기 본의 효과

4.잡기. 받기의 위치

5.되치기 본
<제 1교>
1-1. 띄어치기[Uki otoshi] ➜L. 허벅다리걸기[Uchi mata]
1-2. 허리후리기[Harai goshi] ➜R.무릎들어 떨어뜨리기[Harai gaeshi]
1-3. 밭다리 후리기[O soto gari] ➜R.밭다리 걸기[O soto gake]
1-4. 안뒤축후리기[Ko uchi gari]➜R.발목후리기[Sasae taurikomi ashi]
1-5. 안다리후리기[O uchi gari]➜L.발뒤축후리기[Ko soto gari]
<제 2교>
2-1. 한팔업어치기[Ippon seoi nage]➜외깃안아조르기[Okuri eri jime]
2-2. 허래채기[Tsurikomi goshi]➜L.모로띄기[Uki waza]
2-3. 모두걸기[Okuri ashi harai]➜R.모두걸기[Okuri ashi harai]
2-4. 발뒤축 후리기[Ko soto gari]➜L.빗당겨치기[Tai otoshi]
2-5. 무릎대 돌리기[Hiza guruma]➜L.무릎대 돌리기[Hiza guruma]
<제 3교>
3-1. 어깨로 메치기[Kata-guruma]➜R.안오금띄기[Sumi-gaeshi]
3-2. 빗당겨치기[Tai-otoshi]➜L.발뒤축 후리기[Ko-soto-gari]
3-3. 허리튀기[Hane-goshi]➜R.발목후리기[Harai-tsurikomi-ashi]
3-4. 허벅다리걸기[Uchi-mata]➜L.빗당겨치기[Tai-otoshi]
3-5. 배대뒤치기[Tomoe nage]➜(다리잡아)안다리후리기[O uchi gari]

본문내용

기로] 되 친다.
잡기는 자호본체, 왼쪽 측방낙법 자세로 넘어간 받기는 일어나, 잡기와 호흡을 맞추듯 동시에 제 위치에 선다.
3-3. 허리튀기[Hane-goshi]R.발목후리기[Harai-tsurikomi-ashi]
[메치기]
허리튀기[Hane-goshi]
잡기, 받기 서로 자연본체로 맞잡는다.
받기는 왼발부터 뒤로 걷기 하면서 동시에 잡기를 앞으로 이끈다.
잡기의 오른발이 두 번째 앞으로 내디디려 할 때, 받기는 왼손을 당겨 기울이며, 동시에 왼발이 축이 되면서 오른발을 앞 왼쪽으로 몸 쓰기 하여 자세를 낮추면서 오른쪽 허리튀기로 잡기를 메친다.
넘어간 잡기는 일어나 받기와 호흡을 맞추듯 동시에 마주보고 선다.
[되치기]
R.발목후리기[Harai-tsurikomi-ashi]
자연본체로 맞잡는다.
받기는 같은 방법으로, 잡기를 끌어당기면서 왼발부터 뒤로 걷기를 한다.
잡기의 오른발이 두 번째 앞으로 나오려 할 때, 받기는 잡기의 중심을 충분히 기울이지 않으면서 받기 자신의 자세를 낮추지 못한 채, 오른쪽 허리튀기 공격을 시도한다.(공격이 정확하지 못했을 때)
이때 잡기는 몸의 중심을 낮추어 낮은 자세로서 막은 다음, 아랫배에 힘을 주고 무릎의 굴신 동작과 받기의 왼쪽 깃을 잡은 오른손을 계속 당겨 받기의 왼쪽 깃을 잡은 오른손을 계속 당겨 기울이며 받기의 허리를 튀겨 받기의 중심이 위로 올라갈 때, 잡기의 오른다리로(앞으로 전진 하는 기분으로) 받기의 왼 발목을 후려 [오른쪽 발목후리기로] 되 친다.
잡기는 자호본체, 받기는 오른쪽 측방낙법 자세가 된다. 넘어간 받기는 일어나 잡기와 호흡을 맞추듯 동시에 처음 위치에 선다.
3-4. 허벅다리걸기[Uchi-mata]L.빗당겨치기[Tai-otoshi]
[메치기]
허벅다리걸기[Uchi-mata]
잡기, 받기는 서로 자연본체로 맞잡는다.
받기는 왼발부터 뒤로 걷기 하면서 동시에 잡기를 앞으로 이끈다.
잡기의 오른발이 두 번째 앞으로 내디디려할 때, 받기는 왼손을 당겨 기울이며, 동시에 왼발이 축이 되면서 오른발을 앞, 잡기의 앞쪽으로 몸 쓰기를 하여 자세를 낮추면서 오른쪽 허벅다리 걸기로 잡기를 메친다.
넘어간 잡기는 일어나 받기와 호흡을 맞추듯 동시에 마주보고 선다.
[되치기]
L.빗당겨치기[Tai-otoshi]
자연본체로 맞잡는다.
받기는 같은 방법으로, 잡기를 끌어당기면서 왼발부터 뒤로 걷기를 한다.
잡기의 오른발이 두 번째 앞으로 나오려 할 때, 잡기의 중심을 충분히 기울이지 않고 동시에 받기 자신의 자세를 낮추지 못한 채, 오른쪽 허벅다리걸기 공격을 시도한다.(공격이 정확하지 못했을 때)
이때 잡기는 신속하게 왼쪽다리를 오른다리에 붙여 뒤로 빼면서,(뒤로 빼면, 받기가 후리는 오른다리는 허공을 후리게 되면서 자연히 받기의 중심은 왼쪽 다리에 쏠리게 된다.) 이 순간, 받기의 왼쪽 깃을 잡은 오른손을 신속하게 당기며 동시에 왼발 앞 오른쪽으로 몸 쓰기 하면서 [왼쪽 빗당겨치기로] 되 친다.
잡기는 자호본체, 받기는 오른쪽 측방낙법 자세가 된다. 넘어간 받기는 일어나 잡기와 호흡을 맞추듯 동시에 처음 위치에 선다.
3-5. 배대뒤치기[Tomoe nage](다리 잡아)안다리후리기[O uchi gari]
[메치기]
배대뒤치기[Tomoe nage]
잡기, 받기 2보 간격으로 서로 자연본체로 선다.
서로 1보 앞으로 우자연체로 나가면서 맞잡는 다음, 먼저 잡기가 받기를 민다. 이때 받기는 반작용으로 잡기를 밀며 앞으로 나아간다.
이때, 받기는 오른발을 시작으로 5보(또는 3보) 전진한 후, 왼발이 두발사이로 들어가면서 동시에 누우면서 오른쪽 배대 뒤치기로 잡기를 메친다.
(또는 잡기의 왼발이 세 번째 뒤로 내디디려 할 때, 받기는 신속하게 왼발을 잡기의 두발사이에 내 딛고, 동시에 잡기의 상체가 반작용으로 뒤로 기울였다가 앞으로 나오는 순간, 받기는 오른발 바닥을 잡기의 왼쪽 복부 부위에 대고 누우면서 오른쪽 배대 뒤치기로 잡기를 메친다.)
넘어간 잡기는 왼쪽 전방회전낙법으로 일어서고, 누운 받기는 일어나, 잡기와 호흡을 맞추듯 동시에 마주보고 선다.
[되치기]
(다리 잡아)안다리후리기[O uchi gari]
잡기, 받기 2보 간격으로 서로 자연본체로 선다.
서로 1보 앞으로 우자연체로 나가면서 맞잡는 다음, 먼저 잡기가 받기를 민다. 이때 받기는 반작용으로 잡기를 밀며 앞으로 나아간다.
잡기의 왼발이 다섯 번째(또는 세 번째) 뒤로 내디디려 할 때, 받기는 잡기를 충분히 기울이지 못한 채, 왼발을 잡기의 오른발 바깥쪽으로 디디면서 오른발을 잡기의 오른쪽 복부 부위에 다이면서 배대 뒤치기 공격을 시도한다.(공격이 정확하지 못했을 때)
이때 잡기는 왼손으로 받기의 오른다리를 잡고, 오른손으로 받기의 상체를 밀면서 동시에 오른다리로 받기의 왼쪽 다리 안쪽 부위를 [오른쪽 안다리후리기로] 후려 되 친다.
잡기는 상체를 앞으로 숙인 자세, 받기는 왼쪽 측방낙법 자세가 된다.
넘어간 받기는 일어나 잡기와 호흡을 맞추듯 동시에 도복을 고쳐 입으면서
처음 시작하였던 제 위치에 선 후, 마주보고 경례[立禮]를 한 후 다음, 호흡을 맞추듯 정면을 향하여 경례[立禮]하고 퇴장한다.
참고문헌
단행본
편집부 엮음 , 사진으로 배우는 유도 교본, 서울; 전원문화사 , 1997. 9.
이 상행 , 柔道, 서울; 정민사 ,1985. 2.
웹 사이트.
제목: ‘유도의 본
주소:
http://kin.naver.com/open100/db_detail.php?d1id=10&dir_id=100904&eid=K3riDtnRRAdLOZXldJtsYZHM5D2AF/F2
경로 네이버 검색 ‘유도의 본’ -> 카페, 블로그 란의 첫 번째 웹 사이트.
제목:‘ 유도 '되치기 본'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김의환 外
주소:
http://naver.nanet.go.kr:8080/dl/CommonView.php?u=gKCjFR8Pm0E2MW9z7BMUUvpkXVPlmSWQmY1SwhBcByyV6jQzzfeHWVWu%2B88xI1E5lNhS0CikN56M1LDaDL8%2Fql7JD3fBURbP
경로: 네이버 검색 ‘되치기 본’ ->국회 도서관 웹 사이트.
  • 가격3,0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07.05.17
  • 저작시기200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09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