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 이 씨앗은 이 세상에 존재하는 사물만큼 존재한다고 보았다. 그 씨앗에는 만물의 맹아가 들어있다는 것이다.
⑵ 운동과 변화를 설명하는 모종의 힘에 대해 ‘누스(nous), 즉 ’마음‘이라는 하나의 정신적인 힘만 상정했다. 정신을 물질로 보고 그 특징으로 미세하고 빠르고 순수하다고 보았다.
⑶ 씨앗에는 전체의 성격과 일부의 성격이 동일하다고 보고 어떤 특정한 원소가 많이 들어있기 때문에 그 특징이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10. 데모크리토스
⑴ 동질이형에 대해 설명을 했다. 이는 근본적인 원소는 질적으로 동일하지만 크기 형태,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배열 상태가 달라지고 곧 질이 달라지기 때문에 다른 사물이 생긴다고 주장했다.
⑵ kenon(허공)이라는 개념을 통해 파르메니데스와 반대로 빈 공간을 인정했고, 다수성과 원동을 설명했다.
⑶ 존재는 것은 수학적 무한분자, 원리적 최소립자로 보았다. 그 것이 원자 'atom'인데 이는 꽉찬 존재로 보았다. 'atom'은 스스로 움직인다고 보고, 영혼도 물질의 결합으로 보았다. 원자와 원자를 구분하기위한 공간(kenon)이 필요하다고 했다. 곧 존재는 atom과 kenon 이 두 가지로 이루어져 있다고 설명했다.
⑵ 운동과 변화를 설명하는 모종의 힘에 대해 ‘누스(nous), 즉 ’마음‘이라는 하나의 정신적인 힘만 상정했다. 정신을 물질로 보고 그 특징으로 미세하고 빠르고 순수하다고 보았다.
⑶ 씨앗에는 전체의 성격과 일부의 성격이 동일하다고 보고 어떤 특정한 원소가 많이 들어있기 때문에 그 특징이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10. 데모크리토스
⑴ 동질이형에 대해 설명을 했다. 이는 근본적인 원소는 질적으로 동일하지만 크기 형태,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배열 상태가 달라지고 곧 질이 달라지기 때문에 다른 사물이 생긴다고 주장했다.
⑵ kenon(허공)이라는 개념을 통해 파르메니데스와 반대로 빈 공간을 인정했고, 다수성과 원동을 설명했다.
⑶ 존재는 것은 수학적 무한분자, 원리적 최소립자로 보았다. 그 것이 원자 'atom'인데 이는 꽉찬 존재로 보았다. 'atom'은 스스로 움직인다고 보고, 영혼도 물질의 결합으로 보았다. 원자와 원자를 구분하기위한 공간(kenon)이 필요하다고 했다. 곧 존재는 atom과 kenon 이 두 가지로 이루어져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