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 론
II. 정부간 분쟁의 원인과 현주소
1. 정부간 분쟁 - 발생과 해소
2. 정부간 분쟁의 손실
III. 정부간 환경분쟁 사례분석
1. 경제적 부담(비용-편익배분의 형평성)
2. 정치적 압력
3. 상위자치단체 또는 중앙정부의 지원
4. 지역이기주의-님비와 정부간 분쟁
5. 공동이익(또는 공동위험)
6. 민주적 의사결정
7. 합리적 분쟁조정제도
IV.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II. 정부간 분쟁의 원인과 현주소
1. 정부간 분쟁 - 발생과 해소
2. 정부간 분쟁의 손실
III. 정부간 환경분쟁 사례분석
1. 경제적 부담(비용-편익배분의 형평성)
2. 정치적 압력
3. 상위자치단체 또는 중앙정부의 지원
4. 지역이기주의-님비와 정부간 분쟁
5. 공동이익(또는 공동위험)
6. 민주적 의사결정
7. 합리적 분쟁조정제도
IV.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역의 행정적·재정적 권한과 이익확보를 위해 보다 적극적인 활동을 펼칠 것이다. 또 하나는 자치정치의 비중확대이다. 이는 자치행정에 지역민의를 반영하여 정책과정의 민주성을 향상시킨다는 긍정적 측면이 있는 반면에 단체장과 의회의원들의 정치적 행로가 표에 달려 있기 때문에 광역적 나아가 전국적 차원에서의 자원과 가치의 배분보다는 배타적 지방정치가 강화되는 것을 말한다. 물론 이 두 가지 현상은 상호 긴밀한 관계를 갖는다. 그 결과 향후 정부간 분쟁은 그 빈도와 강도가 더욱 커질 것이다. 이렇게 볼 때 지방자치시대의 정부간 대립과 분쟁을 발전적 경쟁과 협조체제로 바꾸자면 governance와 리더십 측면에서의 접근도 중요한 연구과제가 아닌가 싶다.
참고문헌
김선희. (1996). 광역수질오염 문제를 둘러싼 지역간 갈등해소 방안, 「계간 환경과 생명」여름·가을호: 116-129.
김인철·최진식. (1999). 지방정부간의 갈등과 협상에 관한 연구: 대구 위천공단조성과 부산낙동강 수질개선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8(3): 99-120.
김종표. (1997). 「신지방행정론」. 서울: 법문사.
박양호. (1995). 지자제 이후 중앙과 지방간의 협력동향과 과제. 「도시문제」. 30: 49-58.
삼성경제연구소. (1997). 「함께 풀어가는 지역갈등」.
윤의영. (1997). 도시비선호시설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정책학회보」. 6(1): 152-173.
---------. (1998). 님비이해를 위한 이론 모색. 「한국행정학회 하계학술대회논문집」: 403-418.
---------. (1998). 님비분쟁의 근원적 이해를 위한 이론정립. 「한국행정논집」. 10(4): 951-969.
정세욱. (1997). 「정부간관계」. 서울: 법문사.
---------. (1998). 「지방행정학」. 서울: 법문사.
정정길. (1993). 「정책학원론」. 서울: 대명출판사.
하성규·전명진·윤의영. (2000). 「현대도시와 사회」. 서울: 형설출판사.
행정자치부·국토연구원·한국지방행정연구원(1999.3), 「지방자치시대의 분쟁사례집 I, II」
경기도(1999. 12). "자치단체간 갈등·분쟁 해소대책."
경인일보. 1999. 1. 11.
조선일보. 1999. 10. 25.
Ben-Elia, Nahum. (1993). Policymaking and management in Israel local government: evolving trends and strategic challenge. Policy Studies Journal, Spring. 21(1): 115-129.
Ducsik, Dennis W., (1978). Electricity Planning and the Environment: Toward a New Role for Government in the Decision Process. unpublished Ph. D. dissertation.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M. I. T., Cambridge Mass..
Easton, David. (1965). A Systems Analysis of Political Life. New York: Wiley.
Kamieniecki, Sheldon, Robert O'Brien, and Michael Clarke. (1985). Environmental `Policy and Aspects of Intergovernmental Relations, in Intergovernmental Relations and Public Policy. Ch. 4.: 49-61.
Lester, James P., James Frank, Ann O'M. Bowman, and Kenneth W. Kramer. (1983). "Hazardous Waste, Politics, and Public Policy: A Comparative State Analysis," Western Political Quarterly 36: 257-85.
Lieber, Harvey. (1983). "Federalism and Hazardous Waste Policy" in James P. Lester and Ann O'M. Bowman(eds). The Politics of Hazardous Waste Management. Duke University Press: 60-72.
Payne, B. A., Jay Olshansky, and T. E. Segel. (1987). "The Effects on Property Values
of Proximity to a Site Contaminated with Radioactive Waste," Natural Resources Journal 27, Summer: 579-590.
Pettit, C, L. and Charles Johnson. (1987). "The Impact on Property Values of Solid Waste Facilities," Waste Age, April: 97-104.
Reeves, Marvis Mann. (1974). "Change and Fluidity: Intergovernmental Relations in Housing in Montgomery County, Maryland," Publius 4: 5-44.
Rosener, Judy B. (1980). "Intergovernmental Tension in Coastal Zone Management: Some Observations," Coastal Zone Management Journal 7: 95-109.
Vidlakova, Olga. (1993). Local decisionmaking and management in Czechoslovakia: 1990-1992. (Local Government Policymaking and Management: A Crossnational Perspective). Policy Studies Journal, Spring. 21(1): 126- 134.
참고문헌
김선희. (1996). 광역수질오염 문제를 둘러싼 지역간 갈등해소 방안, 「계간 환경과 생명」여름·가을호: 116-129.
김인철·최진식. (1999). 지방정부간의 갈등과 협상에 관한 연구: 대구 위천공단조성과 부산낙동강 수질개선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8(3): 99-120.
김종표. (1997). 「신지방행정론」. 서울: 법문사.
박양호. (1995). 지자제 이후 중앙과 지방간의 협력동향과 과제. 「도시문제」. 30: 49-58.
삼성경제연구소. (1997). 「함께 풀어가는 지역갈등」.
윤의영. (1997). 도시비선호시설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정책학회보」. 6(1): 152-173.
---------. (1998). 님비이해를 위한 이론 모색. 「한국행정학회 하계학술대회논문집」: 403-418.
---------. (1998). 님비분쟁의 근원적 이해를 위한 이론정립. 「한국행정논집」. 10(4): 951-969.
정세욱. (1997). 「정부간관계」. 서울: 법문사.
---------. (1998). 「지방행정학」. 서울: 법문사.
정정길. (1993). 「정책학원론」. 서울: 대명출판사.
하성규·전명진·윤의영. (2000). 「현대도시와 사회」. 서울: 형설출판사.
행정자치부·국토연구원·한국지방행정연구원(1999.3), 「지방자치시대의 분쟁사례집 I, II」
경기도(1999. 12). "자치단체간 갈등·분쟁 해소대책."
경인일보. 1999. 1. 11.
조선일보. 1999. 10. 25.
Ben-Elia, Nahum. (1993). Policymaking and management in Israel local government: evolving trends and strategic challenge. Policy Studies Journal, Spring. 21(1): 115-129.
Ducsik, Dennis W., (1978). Electricity Planning and the Environment: Toward a New Role for Government in the Decision Process. unpublished Ph. D. dissertation.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M. I. T., Cambridge Mass..
Easton, David. (1965). A Systems Analysis of Political Life. New York: Wiley.
Kamieniecki, Sheldon, Robert O'Brien, and Michael Clarke. (1985). Environmental `Policy and Aspects of Intergovernmental Relations, in Intergovernmental Relations and Public Policy. Ch. 4.: 49-61.
Lester, James P., James Frank, Ann O'M. Bowman, and Kenneth W. Kramer. (1983). "Hazardous Waste, Politics, and Public Policy: A Comparative State Analysis," Western Political Quarterly 36: 257-85.
Lieber, Harvey. (1983). "Federalism and Hazardous Waste Policy" in James P. Lester and Ann O'M. Bowman(eds). The Politics of Hazardous Waste Management. Duke University Press: 60-72.
Payne, B. A., Jay Olshansky, and T. E. Segel. (1987). "The Effects on Property Values
of Proximity to a Site Contaminated with Radioactive Waste," Natural Resources Journal 27, Summer: 579-590.
Pettit, C, L. and Charles Johnson. (1987). "The Impact on Property Values of Solid Waste Facilities," Waste Age, April: 97-104.
Reeves, Marvis Mann. (1974). "Change and Fluidity: Intergovernmental Relations in Housing in Montgomery County, Maryland," Publius 4: 5-44.
Rosener, Judy B. (1980). "Intergovernmental Tension in Coastal Zone Management: Some Observations," Coastal Zone Management Journal 7: 95-109.
Vidlakova, Olga. (1993). Local decisionmaking and management in Czechoslovakia: 1990-1992. (Local Government Policymaking and Management: A Crossnational Perspective). Policy Studies Journal, Spring. 21(1): 126- 134.
키워드
추천자료
정부의 환경규제의 방법 및 범위
[행정정보화][행정개혁][행정]외국의 행정정보화 사례를 통해 본 우리나라 행정개혁의 현황과...
교황청과 세속권력(국가) 간의 대립 원인과 문제점 및 다양한 견해
[북한경제개방][남북경제협력][남북경협][북한경제][북한개혁개방][남북간 경제협력][북한]북...
교사(교원)와 학부모의 역할, 교사(교원)와 학부모의 협력, 교사(교원)와 학부모의 위치와 이...
[부부갈등과 의사소통] 부부관계와 부부간 의사소통, 부부갈등 대처유형 및 방식
[ARD와 국제협상] 국제협상에서 제3자의 역할과 제3자를 통한 집단갈등해결 및 대체적 분쟁해...
[★우수레포트★][가정과 청소년] 청소년기 가족관계의 중요성과 부모의 양육태도 분석, 부모 ...
[5분 스피치, 투표와 계층 갈등] 선거 투표에 나타난 사회 계층간 갈등, 투표율 분석 및 문제...
노사교섭력의 불균형과 외부환경(정부태도)이 노사관계에 미치는 영향 (Marshall`s four cond...
[갈등관리 (conflict management)] 개인 및 집단간 갈등 해소전략(갈등 해결방법) 및 협상전략
한중일 FTA - 한중일 3개국의 경제협력을 중심으로 (국제/국내 환경, FTA 정의, 한중일 FTA ...
영화 『슬럼독 밀리어네어(Slumdog Millionaire)』를 보고 (인도사회가 가지는 구조적병폐, ...
[부부갈등] 부부간의 갈등(부부갈등의 원인 및 해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