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라이머 학교는 죽는다.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학교를 왜 거부하는가

2. 학교는 무엇을 하는가

3. 학교는 무엇인가

4. 학교는 어떻게 돌아가는가

5. 학교의 기원

6. 특권유지의 제도적 기반

7. 민주적 제도는 가능한가

8. 교육자원의 재조직

9. 교육인력의 재조직

10. 보편적 교육의 재정문제

11. 교육의 혁명적 역할

12. 평화혁명을 위한 전략

13. 우리들 각자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인가

본문내용

며 셋째, 학습을 실제로 같이 할 수 있는 같은 또래의 동료학습자가 있어야 한다는 것, 마지막으로, 경험이 풍부하여 보다 중요한 교육자원을 쉽게 이용할 줄 아는 교육자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10. 보편적 교육의 재정문제
공공기금에 의한 교육비 지원은 학생들의 부에 반비례해서 이루어져야 한다. 개인적인 교육자금제도와 공적인 교육사업제도는 상호보완적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11. 교육의 혁명적 역할
진정한 교육은 사회의 근본적인 힘이 된다. 오늘날과 같은 사회구조는 교육받은 사람에 의해서 붕괴되고야 말 것이다. 여기서는 학교교육 이상의 다른 것이 필요하다. 사람들은 사회를 받아들이도록 학교에서 교육되지만 그들이 배우는 것은 사회를 창조하거나 혹은 다시 새로운 사회를 건설해야 한다는 것이다.
12. 평화혁명을 위한 전략
새로운 법을 제정하도록 하기보다는 현행법률을 공정하게 적용하도록 주장하는 것이 훨씬 용이하고 그것은 쐐기를 박는 일과 같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국가에 의한 교육의 제도적 독점이 철폐되어야 하고, 반차별법을 학교에까지 확대해야 하며, 교육기회를 평등하게 하기 위해 현재의 특권에 반비례하도록 교육자원을 배분해야 할 것이며, 반독점법을 교육분야에까지 효과적으로 확대하고 일반적으로 반독점법을 효과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13. 우리들 각자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인가
소비를 줄이고 나누어 갖고 보존한다는 것은 우리들 대부분이 할 수 있는 세 가지 행동이다. 또한 정의로운 세상이 조직되고 관리되는 방법이 무엇인가를 배워야하며 개인은 함께 행동하는 방법을 독자적으로 선택해서 강구해야 한다.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7.03.15
  • 저작시기200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92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