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합리주의
2. 대륙합리론 [大陸合理論, continental rationalism]
3. 데카르트(René Descartes, 1596.3.31~1650.2.11)
1) 생애
2) 방법론적 회의론(데카르트적 회의)
3) 신의 관념
2. 대륙합리론 [大陸合理論, continental rationalism]
3. 데카르트(René Descartes, 1596.3.31~1650.2.11)
1) 생애
2) 방법론적 회의론(데카르트적 회의)
3) 신의 관념
본문내용
관념을 지니고 있는데, 이 관념은 그저 암시적인 것으로 남아 있을 수도 있는데, 이 관념은 그저 암시적인 것으로 남아 있을 수도 있고 신을 인식하는 잠재 능력일 수도 있다고 믿었다. 우리는 자신의 마음에 들어 있는 것을 인식할 수는 없지만 마음 안의 모든 것을 낱낱이 인식할 수는 아마 없을 것이다. 따라서 몇몇 사람들이 자신이 신의 관념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부정한다 할지라도 이는 그리 놀라운 일이 아니다라고 히퍼라스피스테스에게 보낸 편지에 기록하고 있다.
신의 관념이 부정이 아님을 증명하면서 데카르트는 우리가 앞서 살펴보았던 회으로부터의 논증에 호소한다. 그는 만일 내가 더욱 완전한 어떤 존재에 대한 관념을 아직 지니고 있지 않다면 내가 불완전하다는 사실 또한 인식할 수 없을 것이라고 논증한다. 그러나 그는 은연중에 긍정이 항상 부정에 선행한다는 점을 가정하고 있다.
신의 관념에 관한 연구를 통해서 데카르트는 “신은 결코 기만자일 수 없다. 왜냐하면 우리는 자연의 빛을 통해서 사기나 기만은 필연적으로 어떤 부족함으로부터 생겨난다는 사실을 배우기 때문”이라고 결론짓는다. 이 원리를 이용하여 그는 후에 수학의 타당성과 외부 세계의 실재성을 증명한다.
신의 관념이 부정이 아님을 증명하면서 데카르트는 우리가 앞서 살펴보았던 회으로부터의 논증에 호소한다. 그는 만일 내가 더욱 완전한 어떤 존재에 대한 관념을 아직 지니고 있지 않다면 내가 불완전하다는 사실 또한 인식할 수 없을 것이라고 논증한다. 그러나 그는 은연중에 긍정이 항상 부정에 선행한다는 점을 가정하고 있다.
신의 관념에 관한 연구를 통해서 데카르트는 “신은 결코 기만자일 수 없다. 왜냐하면 우리는 자연의 빛을 통해서 사기나 기만은 필연적으로 어떤 부족함으로부터 생겨난다는 사실을 배우기 때문”이라고 결론짓는다. 이 원리를 이용하여 그는 후에 수학의 타당성과 외부 세계의 실재성을 증명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포지셔닝이란
인터넷광고로서의사이버마케팅의역할과전략
듀이(John Dewey, 1859-1952)의 생애와 사상적 특징
독일어 영어 한국어 수동구문의 통계적 비교연구
[운동학습]소뇌의 자동화된 운동학습 방법 및 모델의 탐색
상관분석과 회귀분석(Correlation Regression Analysis)
자신의 의도와 다른 실제 행동 -심리학적 해석-
[생리학과] 캡사이신과 들기름 섭취한 쥐의 유영훈련 후 혈청 CPK와 LDH 활성도 변화 (The Ch...
화학생물공정 실험 -Liquid Diffusion Coefficient
기독교인의 리더십
크리스챤 리더십이란 무엇인가
[박사논문] 철도물류의 사업다각화 성공을 위한 핵심요인과 신규 사업 선정에 관한 연구 (An ...
[범죄심리학 보고서] 음란물과 성범죄 - 음란물 규제에 대한 견해와 음란물 규제 근거(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