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시는 현실반영 측면뿐만이 아니라, 예술적 측면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아야 한다. 백석이 식민지 시대의 유유자적한 방랑체험을 바탕으로 전통적인 삶의 세계를 그려냈었다면 이용악은 어두운 현실 속에서 그러한 세계에 맞서는 치열한 자의식을 보여주고 있다. 동시대 시인들이 과거로의 회귀를 꿈꾸며 현실 대응에 다소 소극적이었다면 이용악은 당대의 문제를 직접적으로 다루면서 그것을 자의식과 함께 대화적 구조 속에서 드러내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
3.결론
지금까지 이용악 시인의 작품을 몇 가지 살펴보면서 여기에 나타난 고향의식과 비극적 현실 세계 인식을 시대배경과 관련하여 고찰해 보았다. 그의 시 세계에는 식민지 시대의 북방 유랑민의 비극적 삶, 해방과 미군정기로 이어지는 역사의 파고 속에서 통일적 민족국가 건설에 대한 열망, 그리고 귀향 이민자들의 고난과 역경을 표현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용악의 작품에서 그려지는 고향은 단순한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것이 아니라 그 시대의 현실적 상황을 총체적으로 가늠할 수 있게 해준다. 이는 또한 '고향'은 자기 충족적인 세계가 아니며, 신비와 경이의 세계도 아니다. 거기에는 화해보다는 갈등이 자리하고 있으며, 그것은 식민지의 정치 상황을 비유하는 시적 징표이며, '정신의 각성에 머물 게 하는 시적 매개물'로 작용한다. 즉 일제 강점기의 현실에서 우리 민족이 겪는 비극적인 삶과 절망적인 현실을 있는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다. 시대적인 상황으로 인해 고향은 궁핍한 삶의 현장으로 변해 버렸고 그로 인해 유랑민으로 전락하여 결국에는 고향을 잃어버리는 상황에까지 이르게 되는 것이다. 그의 시에서는 가난 체험과 탈출 의식, 유랑 생활을 통해 환기되는 향수 의식을 드러낸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뒷길로 가라’나 ‘오랑캐꽃’과 같은 작품에서는 비극적 세계에 대한 현실인식이 드러나 있음을 살펴보았다. 오랑캐꽃을 통해 더욱 극심해진 일제의 수탈과 만주 침략을 위한 이민정책으로 말미암아 유랑민의 급증과 이 땅의 주인으로서 나라를 빼앗기고 오랑캐 아닌 오랑캐 처지가 되어 강 건너로 쫓겨나야 했던 반어적인 현실을 잘 드러내었다.
더욱이 이러한 비극적 현실의 반영은 동시대 시인들이 과거로의 회귀를 꿈꾸며 현실 대응에 다소 소극적이었던 반면에 이용악은 당대의 문제를 직접적으로 다루었다는 점과 그것을 자의식과 함께 대화적 구조 속에서 드러내고 있다는 점이 더 높이 평가 받아야 할 부분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유랑민의 삶과 우리 민족이 처한 현실을 서정적인 형상화를 통해 시적작품으로 승화시켰다는 것은 예술적 미적 범주 측면에서도 높이 평가를 받아야 함은 당연하다.
이용악은 소년 시절의 가혹한 체험, 고학, 노동, 끊임없는 가난, 고달픈 생활인으로서의 고통 등 자서전적 체험을 뛰어난 서정시로 읊었다. 그러나 이러한 개인적 체험을 일제 강점 하 유랑민의 참담한 삶과 궁핍한 현실로 확대시킨 점에 이용악의 특징이 있다. 식민지 시대 조선인의 삶을 구속하는 정치적, 경제적 억압을 구체적 경험과 결합시켜 예술적 형상으로 창출했던 것이다.
그의 시에 자주 등장하는 '가족'은 그의 치열한 현실 인식의 핵심에 놓여 있으면서, 가족과 동일한 위치에 처해 있는 이웃으로 수평적 확대를 이룰 수 있는 시적 구심점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시적 특성은 구체적인 삶에 굳건히 토대를 둔 '이야기 시'로서 나타난다.
마지막으로 이용악 시인의 작품이 사실적이면서도 서정적인 면을 함께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토록 높은 평가를 받는 것이 아닌가 생각해 본다. 이는 앞으로 우리 민중시, 참여시가 나아가야 할 방향이기도 하다. 7,80년대의 참여시, 민중시가 너무 과격한 표현과 사실적 표현으로 인해 문학적 미학범주 측면에서 비판 받았던 것을 생각해 본다면 이용악의 시의 사실성과 서정성은 민중시의 새로운 가능성이 될 것이라는 생각에 동의한다.
<참고문헌>
윤영천 편, 이용악시전집 증보판, 창작과 비평사, 1995
윤영천, 이용악론: 민족시의 전진과 좌절, 김윤식, 정호응 편, 한국 리얼리즘작가 연구, 문학과 지성사, 1988.
김종철, 용악-민중시의 내면적 진실, 창작과 비평, 1988
백진기, 이용악 시 연구: 미적 근대성과 시적 리얼리즘, 국민대 석사학위논문, 2004
권순일, 이용악 시 연구: 모더니즘 시의식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4
양혜경, 한국 현대시인론, 새문사, 2003.
편집부, 한국 현대시인연구 (상), 푸른사상 펴냄, 2001.
3.결론
지금까지 이용악 시인의 작품을 몇 가지 살펴보면서 여기에 나타난 고향의식과 비극적 현실 세계 인식을 시대배경과 관련하여 고찰해 보았다. 그의 시 세계에는 식민지 시대의 북방 유랑민의 비극적 삶, 해방과 미군정기로 이어지는 역사의 파고 속에서 통일적 민족국가 건설에 대한 열망, 그리고 귀향 이민자들의 고난과 역경을 표현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용악의 작품에서 그려지는 고향은 단순한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것이 아니라 그 시대의 현실적 상황을 총체적으로 가늠할 수 있게 해준다. 이는 또한 '고향'은 자기 충족적인 세계가 아니며, 신비와 경이의 세계도 아니다. 거기에는 화해보다는 갈등이 자리하고 있으며, 그것은 식민지의 정치 상황을 비유하는 시적 징표이며, '정신의 각성에 머물 게 하는 시적 매개물'로 작용한다. 즉 일제 강점기의 현실에서 우리 민족이 겪는 비극적인 삶과 절망적인 현실을 있는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다. 시대적인 상황으로 인해 고향은 궁핍한 삶의 현장으로 변해 버렸고 그로 인해 유랑민으로 전락하여 결국에는 고향을 잃어버리는 상황에까지 이르게 되는 것이다. 그의 시에서는 가난 체험과 탈출 의식, 유랑 생활을 통해 환기되는 향수 의식을 드러낸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뒷길로 가라’나 ‘오랑캐꽃’과 같은 작품에서는 비극적 세계에 대한 현실인식이 드러나 있음을 살펴보았다. 오랑캐꽃을 통해 더욱 극심해진 일제의 수탈과 만주 침략을 위한 이민정책으로 말미암아 유랑민의 급증과 이 땅의 주인으로서 나라를 빼앗기고 오랑캐 아닌 오랑캐 처지가 되어 강 건너로 쫓겨나야 했던 반어적인 현실을 잘 드러내었다.
더욱이 이러한 비극적 현실의 반영은 동시대 시인들이 과거로의 회귀를 꿈꾸며 현실 대응에 다소 소극적이었던 반면에 이용악은 당대의 문제를 직접적으로 다루었다는 점과 그것을 자의식과 함께 대화적 구조 속에서 드러내고 있다는 점이 더 높이 평가 받아야 할 부분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유랑민의 삶과 우리 민족이 처한 현실을 서정적인 형상화를 통해 시적작품으로 승화시켰다는 것은 예술적 미적 범주 측면에서도 높이 평가를 받아야 함은 당연하다.
이용악은 소년 시절의 가혹한 체험, 고학, 노동, 끊임없는 가난, 고달픈 생활인으로서의 고통 등 자서전적 체험을 뛰어난 서정시로 읊었다. 그러나 이러한 개인적 체험을 일제 강점 하 유랑민의 참담한 삶과 궁핍한 현실로 확대시킨 점에 이용악의 특징이 있다. 식민지 시대 조선인의 삶을 구속하는 정치적, 경제적 억압을 구체적 경험과 결합시켜 예술적 형상으로 창출했던 것이다.
그의 시에 자주 등장하는 '가족'은 그의 치열한 현실 인식의 핵심에 놓여 있으면서, 가족과 동일한 위치에 처해 있는 이웃으로 수평적 확대를 이룰 수 있는 시적 구심점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시적 특성은 구체적인 삶에 굳건히 토대를 둔 '이야기 시'로서 나타난다.
마지막으로 이용악 시인의 작품이 사실적이면서도 서정적인 면을 함께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토록 높은 평가를 받는 것이 아닌가 생각해 본다. 이는 앞으로 우리 민중시, 참여시가 나아가야 할 방향이기도 하다. 7,80년대의 참여시, 민중시가 너무 과격한 표현과 사실적 표현으로 인해 문학적 미학범주 측면에서 비판 받았던 것을 생각해 본다면 이용악의 시의 사실성과 서정성은 민중시의 새로운 가능성이 될 것이라는 생각에 동의한다.
<참고문헌>
윤영천 편, 이용악시전집 증보판, 창작과 비평사, 1995
윤영천, 이용악론: 민족시의 전진과 좌절, 김윤식, 정호응 편, 한국 리얼리즘작가 연구, 문학과 지성사, 1988.
김종철, 용악-민중시의 내면적 진실, 창작과 비평, 1988
백진기, 이용악 시 연구: 미적 근대성과 시적 리얼리즘, 국민대 석사학위논문, 2004
권순일, 이용악 시 연구: 모더니즘 시의식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4
양혜경, 한국 현대시인론, 새문사, 2003.
편집부, 한국 현대시인연구 (상), 푸른사상 펴냄, 2001.
추천자료
안티고네(Antigone)의 문학적 신화 창조와 변천
이효석의 생애와 문학적 경향
김환태 비평과 양상 & 역학관계 & 문학적 가치와 한계
한국 고대 중세 근대의 문학적 특성
괴테의 생애, 괴테의 문학적 특성, 괴테와 마이스터징어, 괴테의 파우스트, 프로메테우스 작...
유아문학교육의 목표와 유아문학교육시 유아교사가 고려해야할점을 기술하고, 유아교사의 문...
16, 17세기 당시풍에 있어서 낭만성의 문제 & <주생전>의 창작 기층과 문학적 성격 &...
전래동화의 특성과 문학적 가치
그림책의 의의와 문학적 요소에 대해 자세히 서술.
[아동문학] 문학적 사고를 촉진할 수 있는 여러가지 활동 및 방법에 대해 의견을 제시
영유아 발달에 맞는 동화책을 한권 선정하셔서 문학적 접근활동의 세 단계에 맞추어 구체적인...
향가(鄕歌)의 민족문학적 성격과 그 문학사적 의의
William Wordsworth,작가作家의생애,William Wordsworth 의 문학적 특징,프랑스 혁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