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사상 및 학자
(1) 개관
(2) 교육원리
2) 교육적 적용
3) 의의 및 한계
(1) 개관
(2) 교육원리
2) 교육적 적용
3) 의의 및 한계
본문내용
서의 교사의 소극적인 역할 강조로 무질서한 교육 분위기가 조성되었다. 김미환 외, 위의 책, p.37
그에 더하여 1957년 소련의 인공위성인 스푸트니크 발사 이후 충격을 받은 미국교육에 본질주의는 큰 영향을 주었고, 학문중심 교육과정이 탄생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본질주의 교육은 교사중심의 지적훈련을 감조함으로써 어린이의 학습의욕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지적 진보성과 창의성 발달을 저해할 수 있다는 비판을 받았다. 또한 문화유산 가운데 본질적인 것을 전해야 하지만, 무엇이 본질적인 것인가에 대한 기준이 확실하지 않아 구분하기 힘들다는 지적도 받게 되었다. 김미환 외, 위의 책, p.38
본질주의
1) 사상 및 학자
(1) 개관
(2) 교육원리
2) 교육적 적용
3) 의의 및 한계
그에 더하여 1957년 소련의 인공위성인 스푸트니크 발사 이후 충격을 받은 미국교육에 본질주의는 큰 영향을 주었고, 학문중심 교육과정이 탄생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본질주의 교육은 교사중심의 지적훈련을 감조함으로써 어린이의 학습의욕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지적 진보성과 창의성 발달을 저해할 수 있다는 비판을 받았다. 또한 문화유산 가운데 본질적인 것을 전해야 하지만, 무엇이 본질적인 것인가에 대한 기준이 확실하지 않아 구분하기 힘들다는 지적도 받게 되었다. 김미환 외, 위의 책, p.38
본질주의
1) 사상 및 학자
(1) 개관
(2) 교육원리
2) 교육적 적용
3) 의의 및 한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