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준별 교육과정 개선방안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교육과정 문서 및 자료 구성 방안

2. 교과서 구분 및 구성 방안

3. 수준별 이동 수업 운영 방안

4. 수준별 수업과 평가

5. 수준별 수업을 위해 선결되어야 할 과제 및 지원 방안

본문내용

가사회적 요구 조사, 2004, 평가원』>
<표Ⅱ-4-11>을 보면, 중학교 교사와 교과전문가를 합한 전체 집단의 경우, 절대평가 기준의 60% 이상을 기준으로 설정하는 것(55.4%)에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으며, 다음으로는 절대평가 기준의 70% 이상(24.5%), 절대평가 기준의 80% 이상(10.8%)의 순으로 나타났다.
고등학교 교사의 40.1%가 절대평가 기준의 60%이상이면 진급시킨다는 것에 응답하여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절대평가 기준의 70%이상으로 34.9%가 응답하였으며, 가장 낮게 반응한 것은 절대평가 기준의 90%이상인 것으로 6.0%였다.
라. 수준별 수업을 위해 선결되어야 할 과제 및 지원 방안
수준별 수업을 운영하기 위해 선결되어야 할 과제는 무엇인지 복수 응답으로 조사한 결과는 <표Ⅱ-4-12>와 같다.
구분
응답 빈도 와 백분율(%)
전체
교사 수급
교과 교실 확보와 같은 시설 확충
학급당 학생 수 감축
수준별 교육자료 개발
수준별 교육에 대한 교사 인식 고양
수준별 교육에 대한 학생, 학부모 인식 고양
수준별 평가의 기준 및 방법 마련
초등 교사
267
(36.2)
205
(27.8)
551
(74.7)
361
(48.9)
57
(7.7)
119
(16.1)
189
(25.6)
738
(237.0)
초등 교육청
72
(51.4)
43
(30.7)
91
(65.0)
58
(41.4)
28
(20.0)
20
(14.3)
44
(31.4)
140
(254.3)
초등 전문가
28
(40.0)
24
(34.3)
36
(51.4)
37
(52.9)
18
(25.7)
9
(12.9)
19
(27.1)
70
(244.3)
전 체
367
(38.7)
272
(28.7)
678
(71.5)
456
(48.1)
103
(10.9)
148
(15.6)
252
(26.6)
948
(240.1)
<출처: 『교육과정 개정 관련 국가사회적 요구 조사, 2004, 평가원』>
<표Ⅱ-4-12>를 보면, 전체적으로 학급당 학생 수 감축이 선결되어야 한다는 견해가 71.5%의 비율을 차지하였고, 그 다음으로는 수준별 교육 자료 개발이 48.1%, 교사 수급이 38.8%로 나타났다. 초등 교사들과 교육청 관계자들은 수준별 수업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보다 적은 수의 학생들을 지도할 수 있게 되는 여건이 갖추어져야 한다고 보며, 이에 비해 전문가들은 교육 자료 개발의 필요성과 그에 기초한 수준별 교육의 가능성을 보다 중시한다고 할 수 있다.
중ㆍ고등학교 집단을 대상으로 수준별 수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필요한 지원 방안 중 우선되어야 한다고 생각되는 4가지를 골라 순위를 매기도록 한 결과는 <표 Ⅱ-4-13>과 같다 이 문항에 대해서는 7개의 답지 중 4가지를 고르고 순위를 매기도록 하였으며, 응답 결과에 대하여 1순위 빈도수에는 7, 2순위 빈도수에는 6, 3순위 빈도수에는 5, 4순위 빈도수에는 4, 5순위 빈도수에는 3, 6순위 빈도수에는 2, 7순위 빈도수에는 1을 곱한 후에 항목별로 합하였다.
.
교과
응답 빈도와 백분율(%)
전체
교사 전문성 제고
교사 수급
교과서 및 자료 보급
평가 방안 및 성적 산출
학급당 학생수 감축
학부모, 학생 홍보, 연수
시설 보완
중학교
교사
수학과
144
(8.9)
278
(17.3)
355
(22.0)
258
(16.0)
321
(19.9)
52
(3.2)
202
(12.5)
1610
(100.0)
영어과
155
(9.8)
216
(13.6)
413
(26.1)
264
(16.7)
305
(19.2)
52
(3.3)
180
(11.4)
1585
(100.0)
전체
299
(9.4)
494
(15.5)
768
(24.0)
522
(16.3)
626
(19.6)
104
(3.3)
382
(12.0)
3195
(100.0)
중학교 교육청
422
(17.7)
405
(17.0)
508
(21.4)
407
(17.1)
258
(10.8)
106
(4.5)
272
(11.4)
2378
(100.0)
중학교 전문가
124
(21.4)
87
(15.0)
135
(23.3)
72
(12.4)
78
(13.4)
32
(5.5)
52
(9.0)
580
(100.0)
전체
845
(13.7)
986
(16.0)
1411
(22.9)
1001
(16.3)
962
(15.6)
242
(3.9)
706
(11.5)
6153
(100.0)
고등
학교
교사
수학과
652
(13.3)
816
(16.7)
1178
(24.0)
813
(16.6)
756
(15.4)
150
(3.1)
535
(10.9)
4900
(100.0)
영어과
734
(14.0)
702
(13.4)
1392
(26.6)
951
(18.2)
805
(15.4)
140
(2.7)
505
(9.7)
5229
(100.0)
전체
1386
(13.7)
1518
(15.0)
2570
(25.4)
1764
(17.4)
1561
(15.4)
290
(2.9)
1040
(10.3)
10129
(100.0)
<출처: 『교육과정 개정 관련 국가사회적 요구 조사, 2004, 평가원』>
<표Ⅱ-4-13>을 보면, 중학교 집단은 전체적으로 초등학교 집단과는 다소 다른 결과가 나왔다. 중학교에서는 수준별 수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교과서 및 교수학습 자료의 보급 강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의 비율(22.9%)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는 평가 방안 및 성적 산출(16.3%), 교사(보조교사, 강사 등) 수급(16.0%), 학급당 학생수 감축(15.6%), 교사의 수준별 수업 전문성 제고(13.7%), 교실 등 교육 시설 보완(11.5%), 학부모와 학생 대상 홍보, 연수 강화(3.9%)의 순으로 나타났다.
고등학교의 경우 전체적으로 교과서 및 교수학습 자료의 보급 강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의 비율(25.4%)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는 평가 방안 및 성적 산출(17.4%), 학급당 학생수 감축(15.4%), 교사(보조교사, 강사 등) 수급(15.0%), 교사의 수준별 수업 전문성 제고(13.7%), 교실 등 교육 시설 보완(10.3%), 학부모와 학생 대상 홍보, 연수 강화(2.9%)의 순으로 나타났다.

키워드

수준별,   교육,   개선,   방안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7.04.16
  • 저작시기2006.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50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