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 론
본 론
1. 바로크 성경, 째즈 설교
2. 성경-작가, 설교-기자
3. 생활 설교, 생각 설교
결 론
본 론
1. 바로크 성경, 째즈 설교
2. 성경-작가, 설교-기자
3. 생활 설교, 생각 설교
결 론
본문내용
야기를 하고 있는 것이다. 하나님이 말씀하실 때 그 초점은 철저히 독자들에게 맞춰졌다는 것이다. 독자들의 입장에서 이것이 충격인 용어, 강조점, 그들이 이 글을 읽었을 때의 느낌에 하나님은 집중하고 계셨다. 성경의 많은 저자들을 통해 성경을 기록하셨지만, 오히려 하나님은 그들이 아닌 그 시대를 살아가는 독자들에게 말씀하셨던 것이다.
오늘날 우리의 설교를 통해 역사하시는 성령님을 우리가 바라본다면 과연 성령님은 무엇에 초점을 맞추어 사역하실까? 말씀을 전하는 사역자, 아니면 이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 아니면 이 시대를 통해 하나님이 무엇을 말씀하시는가를 듣기 위해 상한 심령을 가지고 교회로 나온 성도들.... 나는 쉽게 답을 찾을 수 있었다. 그동안 많은 부분 나는 설교를 준비할 때 하나님에게 초점을 맞추었다. 하나님께서 이 시대를 통해 무엇을 말씀하시려는 것일까? 그러나 진정한 설교의 완성은 한 걸음 더 나아가 이 설교를 통해 저들이 무엇을 들을 수 있을까?를 고민할 때 완성되는 것이 아닌가라는 생각을 갖는다.
유기적 영감을 이야기하면서 그것을 어떻게 풀어가야할지 말하지 않는 학교교육의 모순을 바라보면서 설교자로서의 미래를 생각하면 앞이 깜깜하다.
오늘날 우리의 설교를 통해 역사하시는 성령님을 우리가 바라본다면 과연 성령님은 무엇에 초점을 맞추어 사역하실까? 말씀을 전하는 사역자, 아니면 이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 아니면 이 시대를 통해 하나님이 무엇을 말씀하시는가를 듣기 위해 상한 심령을 가지고 교회로 나온 성도들.... 나는 쉽게 답을 찾을 수 있었다. 그동안 많은 부분 나는 설교를 준비할 때 하나님에게 초점을 맞추었다. 하나님께서 이 시대를 통해 무엇을 말씀하시려는 것일까? 그러나 진정한 설교의 완성은 한 걸음 더 나아가 이 설교를 통해 저들이 무엇을 들을 수 있을까?를 고민할 때 완성되는 것이 아닌가라는 생각을 갖는다.
유기적 영감을 이야기하면서 그것을 어떻게 풀어가야할지 말하지 않는 학교교육의 모순을 바라보면서 설교자로서의 미래를 생각하면 앞이 깜깜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