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본문
1. 시대상황
2. 한울님
3. 시천주
4. 성(誠), 경(敬), 신(信)
5. 동학의 교육사상
맺음말
본문
1. 시대상황
2. 한울님
3. 시천주
4. 성(誠), 경(敬), 신(信)
5. 동학의 교육사상
맺음말
본문내용
산업사회에서 크게 대두되고 있는 문제가 바로 익명성으로써의 자아 상실과 인간이 목적이 되지 못하고 수단화되어 가는 현상을 들 수 있다. 그리고 교육 역시도 이러한 사회 현상에 반하는 인간 교육을 실시하지 못하고 단지 이런 사회 틀에 부합되는 인간, 규격에 맞는 똑같은 인간을 양성해낼 뿐이다. 바로 이런 점에서 위에서 살핀 동학은 하나의 대안을 마련해 줄 수 있으리라 본다. 그리하여 이런 바탕 위에서 교육도 사회화, 지성화 교육에서 탈피하여 바로 내가 나로써 살아가는 길을 모색하는 인격의 도야를 위한 교육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럼으로써 우리는 하나의 라벨과 사회적 위치라는 이미지로써 구성된, 그리하여 더 좋은 라벨과 사회적 위치의 허상을 쫓는 사람들이 아닌, 본래적 나를 자각함으로써 이런 이미지를 허물어 버리고 진정한 나로 설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본래적 내가 아주 명료한 불변하는 우리의 기반이 될 수는 없다. 본래적 나는 바로 우리가 끊임없이 찾아 추구하지 않으면 사라져 버리는 그러한 기반이 될 수밖에 없다. 그렇기에 여기에서는 어떤 것이 자명한 “내”존재의 기반이라고 하는 독단적 주장을 할 수는 없다. 그것은 부동해 있는 것일 뿐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