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비문학 재창조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전통 구비문학의 전승과 재창조

2) 일상적 구비문학의 세계

3) 전파 정보매체와 구비문학

본문내용

방식과 형태, 내질(內質) 또한 큰 차이가 있다. 긴 설명을 생략하고 단순화해 본다면, 전통적 구비문학이 민중예술(民衆藝術)로서의 특성을 두드러지게 지니고 있었던 데 비하여 현대의 전파문학은 단연 대중문화(大衆文化)로서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그것은 대량적이고, 일방적-수동적이며, 상업적이다. 둘을 '구술문화'라는 하나의 묶음으로 엮기에는 아무래도 끈이 약해 보인다. 자생적 민중성과 타자적 대중성. 그 사이에는 심연(深淵)이 가로놓여 있다. 하지만, 이것이 곧 전통 구비문학과 현대 구비문학의 단절적 관계를 대변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살폈듯이 일상생활 속에서 자생적 구비문학의 맥이 이어지고 있다. 그리고 TV로 대표되는 전파문화(또는 전자문화) 너머에, 그와는 또 다른 첨단 정보매체가 펼쳐내는 언어문화의 장이 있다. 컴퓨터 테크놀로지가 창조해낸 사이버(cyber)세계가 그것이다. '디지털문화'로서의 사이버세계는 전파문화(또는 전자문화)와 존재방식을 달리하면서 새로운 차원의 문학적 소통을 구현해내고 있다. 구비문학의 전통과 긴밀히 통하는 방식으로.
이는 사이버문화가 대다수 사람들의 생활의 일부로 자리잡게 될 21세기의 삶 부분에서 다루는 것이 어울리겠다.
  • 가격7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7.06.16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28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