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적인 것과 서양적인 것, 그 충돌과 조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동양적인 것과 서양적인 것, 그 충돌과 조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불교의 보살의 개념
3. 유교의 군자의 개념
4. 서양의 자연주의 인간관과 합리주의적 인간관
5. 기독교 문화속의 개인주의
6. 일상생활에서의 두 사상의 예
7. 두 사상의 조화

※ 참고문헌

본문내용

린자녀의 방에 들어갈때도 반드시 노크와 양해를 얻고 가족의 물건이라도 자신의 것이 아니면 함부로 손대지 아니하고, 부부간에도 개인 편지를 함부로 개봉하지 않는 등 개인프라이버시 보호나 배려가 철저하다.
7. 두 사상의 조화
한국은 예로부터 계나 두레를 통하여 상부상조하는 전통이 있으며 이것은 우리의 자랑할 만한 공동체 의식이다. 반면에 상대적으로 서양은 개인주의 성향이 강하다. 공동체 의식을 강조하다보면 개인 성향이 경시되기 쉽고 반대로 개인 성향을 강조하면 공동체 의식이 약해진다. 사회가 잘 운영되기 위해서는 양자가 적절하게 조화되어야 할 것이다. 한국인은 공동체 의식이 강하지만 젊은 세대로 갈수록 개인주의 성향이 강해진다. 그러다 보니 종종 개인주의를 이기주의로 오해하는 사람들이 생겨난다. 개인주의는 이기주의가 아니다. 다른 사람을 배려하는 삶을 살아야 한다. 이런 이유에서 동양의 전통 윤리 사상에 대해 이해하는 것은 좋은 일이다. 앞으로는 사회 성원들의 개인적 자유와 자주성이 존중되면서도, 개인으로서 ‘나’보다는 사회 공동체로 ‘우리’가 우위를 차지하는 사회가 되어야 한다.
서양의 것이 전체를 부정하는 개인주의가 아니라는 점을 확신하고, 동양의 것이 개인을 말살하는 것 아니라는 점을 확신하게 될 때, 이 두 세계의 장점을 가진 새로운 사회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서구 개인주의의 장점과 동양의 전통적 공동체의식의 장점을 모두 살리는 사회를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 참고문헌
불교의 인간관과 인성관
동아대학교 학술저널 51-61(2001)
주자학의 인간학적 이해, 이강대, 예문서원, 2000
백과사전(용어 찾기 사용)
수업시간의 노트 필기
http://blog.naver.com/hl5blv
http://cafe.naver.com/gbuysolo.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170
http://blog.naver.com/hl5blv.do?Redirect=Log&logNo=140019395236
http://blog.naver.com/tkfidehajtma.do?Redirect=Log&logNo=120002749740
http://blog.naver.com/taucross.do?Redirect=Log&logNo=100011038478
http://blog.naver.com/yeowangk.do?Redirect=Log&logNo=7493407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06.09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40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