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표시]동양사상입문 4강(성균관대학교 한성구 교수님)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출표시]동양사상입문 4강(성균관대학교 한성구 교수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유학의 과거와 현재

(2) 오늘날 우리르 지배하고 있는 관념은 무엇인가?

(3) 孔子라는 인물

(4) 절대윤리와 상황윤리(situation ethics)

(5) 유가 사상의 핵심 :仁

(6) 인의 핵심 내용 :忠恕

(7) 仁의 다양한 내용

(8) 仁의 실천

(9) 仁과 사람의 본성

본문내용

不興則 刑罰不中 예악불흥즉 형벌부중
예악이 흥하지 않으면 형벌이 중심을 잡지 못하며
刑罰不中則 民無所措手足 형벌부중즉 민무소조수족
형벌이 중심을 잡지 못하면 백성이 손발을 둘 곳이 없어진다.
*인지소이인(人之所以人) - 사람이 사람인 까닭
사람의 본성에 대한 규정을 해야 도덕을 제대로 세움.
*윤리란 사람이 정한 것인가? 신이 내려준 것인가?
*어느정도의 절대윤리란 존재(ex.기독교의 십계명, 불교의 팔계)
-인간의 본성속에 내재
*유가에서의 절대윤리
*仁(인)
1)어질다
2)감각이 있다 (ex.수족불인(手足不人)-손발이 마비되었다.)
3)과육(핵심)
*번지(樊遲)의 질문 - 인이란 무엇입니까(3번 물음)
1)선난이후획(先難而後獲) - 어려움의 과정이 없으면 인은 얻어지지 않는다.(개인)
2)애인(愛人) - 남을 사랑하는 것(남, 사회)
3)거처공, 집사경, 여인충, 수지이적, 불가기야
→공(恭), 경(敬), 충(忠) -
거함에 있어서 마음자세 바르게, 일을하는데 성실, 다른사람과 함께할때는 충실,
오랑캐라 하더라도 이것은 버릴 수 없다.(개인, 남, 사회)
*‘오도일이관지' : 일관=인의 근거
<공자가 말하였다. 삼아! 나의 도는 하나로 요약할 수 있다.
증자가 말하였다. 그렇습니다.
공자가 나가자 문인들이 물어 말하였다. 무슨 말입니까?
증자가 말하였다. 선생님의 도는 충과 서일 뿐이다.>
충과 서는 인의 구체적 실천방법으로 역지사지의 기초 하에서
적극적, 소극적 측면에서 인을 정의한 것입니다.
*인은 충서(주관식 : 충과 서에대해 설명하시오)
*충(다른사람에 대한 도덕적양심)
-‘기욕입이입인, 기욕발이발인’
:자기가 서고자 하면 남을 먼저 세우고, 자기가 도달하고자 하면 남을 먼저 성취시켜라
*서(애타, 이타주의)
-충에비해 소극적, ‘기소불욕, 물시어인’
:자기가 하기싫은 것은 남에게 시키지 마라
*군자유어의 소인유어리(君子喩於義, 小人喩於利)
앞의 "喩"는 깨닫는다로, 뒤의 "喩"는 밝다로 해석하는 것이 하나의 해석방법.
많은 학자들은 이 구절을 근거로 '의로움과 이로움이 사람과 금수를 구별할 수 있는 점'
이라는 의견을 견지. '이'를 요즘말로 욕망으로 풀기도 함.
따라서 의를 '자각'할 수 있는 존재는 인간이며 욕망의 노예가 된다면 짐승과 다름없기에
과거 유학자들은 '인욕을 제거하고 천리를 보존하는 데' 힘썼음.
*인의 요소에 포함 - 공(恭), 경(敬), 직(直), 충, 지(智), 용(勇)-의(義), 신(信)
*자공이라는 제자가 정치에 대해 공자에게 물어봄.
-족식, 족병 민신지의(足食, 足兵 民信之矣:먹을것이 충족하고, 군대가 강하고,
국민들이 신해야 한다.)
-신은 믿음, 신뢰, 성실의 의미가 강함.
*하지만 효제(孝悌)가 되지 않으면 위의 것들(인)은 생각할 수도 없음.
*인의 출발은 쉽다. -간이(簡易)
*인원호재, 아욕인, 사인지의(仁遠乎哉, 我欲仁, 斯仁至矣)
-인이란 멀리있는 것이 아니라, 내가 인하고자하면, 어느새 인은 나에게 와있다.
*위인유기(爲仁由己) - 인을 행하는 것은 나로부터 말미암는다.
*공자는 인을 일관(一貫)
*오도일이관지(五道一以貫之) -나의 길은 하나(인(仁))로써 꿰뚫고있다.
*인간은 태어나면서 본성이 비슷하지만 이후의 환경과 습관에 따라 변화한다.
하지만 상지(上智:잘 깨닫는 사람)와 하우(下愚:우둔한 사람)는 습관에 의해서도 변화하지
않는다. - 사람의 지혜와 도를 깨닫는 정도의 차이를 긍정
*인간의 본성이 어떠한지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규명X
*巫와 어느정도 관련이 있다고 볼때, 초자연적 능력, 하늘의 주재자에 대해서 어느정도
기탁하는 마음이 있지 않았나..
*천의 다섯가지 의미
1)물질적 천- 일상생활에서 보는 땅과 상대적으로 푸른 하늘, 천문학의 대상
2)주재의 천(의지지천) - 종교적 의미의 인격을 가진 천 →공자가 강조
3)운명적 의미의 천 - 운명을 결정하는 천
4)자연지천: 유물론에서 말하는 자연, 혹은 자연의 운행을 의미
5)의리의 천(도덕지천) - 우주의 최고 원리, 도덕법칙
*이택후 - 서양, 일본, 중국문화 비교
서양은 죄감(罪感)문화 - 기독교의 원죄의식, 죄를 사하기 위해 열심히 삶.
일본은 치감(感)문화 - 수치를 견디지 못함.
중국은 악감(樂感)문화 - 낙관적, 세계는하나, 우리의 생활세계가 진정한 세계
*서양 - 선(善)과 악(惡)은 이분법적
동양 - 선은 원만 악은 일그러진 형태, 서로의 영역안에 내재할 수 있음.
악을 반성, 자각, 수양을 통해 선으로 돌아감.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0.09.01
  • 저작시기201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288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