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항존주의란?
2.항존주의의 여러가지 배경
3.항존주의의 주요인물들과 그의 이론들
4.항존주의교육이 우리에게 준 영향
5.<보너스> 항존주의 기출문제
2.항존주의의 여러가지 배경
3.항존주의의 주요인물들과 그의 이론들
4.항존주의교육이 우리에게 준 영향
5.<보너스> 항존주의 기출문제
본문내용
읽히면서 교양을 넓히라고 했기에 아동들은 이해보다는 암기식에 치우칠 수 밖에 없었다. 이런 교육방법이 우리나라 교육에 그대로 전해져 와서 결국 이해를 하기 보다는 무조건의 암기를 선호하는 모습으로 되었다.
④쌍방향이 아닌 일방통행교육
항존주의자들은 교육목표가 반드시 절대적이기 때문에 교육과정도 따라서 고정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교사는 설명하고 말해주는 사람,학생들은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사람으로 고정되었다. 이것은 토론위주로 진행되는 지금의 서양교육의 모습과는 달리 일반적으로 ‘주입식교육’을 선호하는 우리나라의 교육모습과 매우 흡사하다. 결국 학생의 자유로운 사고를 억제하여 문제에 대해 생각하는 힘보다는 문제의 해결 방법만을 외우는 힘을 키우게 했다. 이것은 크게 보면 새로운 환경을 접할때 대처할수 있는 능력을 크게 잃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⑤이런 과목만해야 성공한다.
항존주의자들은 교육과정에는 하찮은 과목들은 포함시킬 필요가 없고, 학습하기에 어려운 교과목만 집어넣는 것이 좋다고 생각했다. 그렇기에 고전이나 다른 어려운 자료를 읽을 수 있는 능력은 모든 학생이 갖추어야 하는 필수요건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감정이나 정서에 대한 교육, 그리고 신체운동에 관한 교육은 기억과 사고를 증진 시키는 교육과 결코 같은 부류가 될 수 없다고 주장하였다. 이 모습은 ‘언어,수학,외국어’등 특정과목만이 중시되는 우리 교육의 모습과 많이 닮아 있다. 자신의 적성이 무엇인지 찾고 원하는 교육을 받는 것보다는 특정과목을 잘해야지 성공적인 인간이 될 수 있다고 예전부터 들어 왔기에 결국 특정과목에만 주력하는 교육의 모습이 되었다.
5. <보너스> 항존주의 기출문제
㉮ 인간의 본질은 변하지 않기 때문에 교육의 본질도 변하지 않는다.
㉯인간의 특성은 이성에 있기 때문에 교육은 이러한 이성을 발달시키는데 주력해야 한다.
㉰교육이 지양해야 할 유일한 목표는 보통적이고 불변하는 진리에의 적응이다.
㉱교육은 생활을 위한 준비가 아니고, 생활의 복사이다.
㉲학생은 일정한 기본교과를 배움으로써 우주의 영원성에 접근하도록 해야한다.
㉳우주의 영원성은 과학에서 가장 잘 배울 수 있다.
1. <보기> 는 항존주의 교육의 원칙이다. 이 중 옳은 것만 고르면?
가. 나. 다. 라 가. 나. 다. 마 다, 라, 마, 바 가, 다, 라, 마
정답 : 번
항존주의 교육원리에 의하면 교육의 생활의 복사가 아니고 생활의 위한 준비이다.
또한 우주의 영원성은 고전에서 가장 잘 배울 수 있다고 주장한다.
2. 진리의 절대성과 영원성을 중시하는 교육 철학 사상은 무엇인가?
진보주의 본질주의 항존주의 재건주의
정답 :
항존주의는 사물에 있어서 공통적으로 항구적으로 존재하는 것은 외형적인 것에 있는 것이 아니고, 그 속에 깊이 포함되어 있는 정신에 존재한다는 이론이다.
참고문헌 및 참고 사이트
김종서 <최신교육학 개론> 1993.7 출간 (교육과학사)
조용태 <교육 철학의 탐구> 2002.8 출간 (문음사)
조영일 <교육의 역사와 철학적 기초> 2000.8 출간 (형설출판사)
박진규, 주영흠, 남현은 <신세대를 위한 교육학 개론> 2002.2출간 (학지사)
http://www.aiunivers.com/lecture/edu.hwp
http://knouedu1.com.ne.kr/11/04e00.hwp
http://www.gnedu.net/php-bin/board/data/t_education
http://knouedu1.com.ne.kr/11/04e00.hwp
http://cafe.daum.net/pyjfriends
http://211.185.219.3/phk/edu2.hwp
④쌍방향이 아닌 일방통행교육
항존주의자들은 교육목표가 반드시 절대적이기 때문에 교육과정도 따라서 고정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교사는 설명하고 말해주는 사람,학생들은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사람으로 고정되었다. 이것은 토론위주로 진행되는 지금의 서양교육의 모습과는 달리 일반적으로 ‘주입식교육’을 선호하는 우리나라의 교육모습과 매우 흡사하다. 결국 학생의 자유로운 사고를 억제하여 문제에 대해 생각하는 힘보다는 문제의 해결 방법만을 외우는 힘을 키우게 했다. 이것은 크게 보면 새로운 환경을 접할때 대처할수 있는 능력을 크게 잃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⑤이런 과목만해야 성공한다.
항존주의자들은 교육과정에는 하찮은 과목들은 포함시킬 필요가 없고, 학습하기에 어려운 교과목만 집어넣는 것이 좋다고 생각했다. 그렇기에 고전이나 다른 어려운 자료를 읽을 수 있는 능력은 모든 학생이 갖추어야 하는 필수요건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감정이나 정서에 대한 교육, 그리고 신체운동에 관한 교육은 기억과 사고를 증진 시키는 교육과 결코 같은 부류가 될 수 없다고 주장하였다. 이 모습은 ‘언어,수학,외국어’등 특정과목만이 중시되는 우리 교육의 모습과 많이 닮아 있다. 자신의 적성이 무엇인지 찾고 원하는 교육을 받는 것보다는 특정과목을 잘해야지 성공적인 인간이 될 수 있다고 예전부터 들어 왔기에 결국 특정과목에만 주력하는 교육의 모습이 되었다.
5. <보너스> 항존주의 기출문제
㉮ 인간의 본질은 변하지 않기 때문에 교육의 본질도 변하지 않는다.
㉯인간의 특성은 이성에 있기 때문에 교육은 이러한 이성을 발달시키는데 주력해야 한다.
㉰교육이 지양해야 할 유일한 목표는 보통적이고 불변하는 진리에의 적응이다.
㉱교육은 생활을 위한 준비가 아니고, 생활의 복사이다.
㉲학생은 일정한 기본교과를 배움으로써 우주의 영원성에 접근하도록 해야한다.
㉳우주의 영원성은 과학에서 가장 잘 배울 수 있다.
1. <보기> 는 항존주의 교육의 원칙이다. 이 중 옳은 것만 고르면?
가. 나. 다. 라 가. 나. 다. 마 다, 라, 마, 바 가, 다, 라, 마
정답 : 번
항존주의 교육원리에 의하면 교육의 생활의 복사가 아니고 생활의 위한 준비이다.
또한 우주의 영원성은 고전에서 가장 잘 배울 수 있다고 주장한다.
2. 진리의 절대성과 영원성을 중시하는 교육 철학 사상은 무엇인가?
진보주의 본질주의 항존주의 재건주의
정답 :
항존주의는 사물에 있어서 공통적으로 항구적으로 존재하는 것은 외형적인 것에 있는 것이 아니고, 그 속에 깊이 포함되어 있는 정신에 존재한다는 이론이다.
참고문헌 및 참고 사이트
김종서 <최신교육학 개론> 1993.7 출간 (교육과학사)
조용태 <교육 철학의 탐구> 2002.8 출간 (문음사)
조영일 <교육의 역사와 철학적 기초> 2000.8 출간 (형설출판사)
박진규, 주영흠, 남현은 <신세대를 위한 교육학 개론> 2002.2출간 (학지사)
http://www.aiunivers.com/lecture/edu.hwp
http://knouedu1.com.ne.kr/11/04e00.hwp
http://www.gnedu.net/php-bin/board/data/t_education
http://knouedu1.com.ne.kr/11/04e00.hwp
http://cafe.daum.net/pyjfriends
http://211.185.219.3/phk/edu2.hwp
추천자료
교육의 철학적 기초
교육의 주의 - 교육철학 에세이
현대교육이론
현대 교육사조
제 4장. 교육의 철학적 기초
현대 교육 사조의 흐름 요약
철학과 교육철학
교육철학 요약
교육철학(교육사상) 성격, 교육철학(교육사상) 기능, 교육철학(교육사상) 대표적 학자, 본질...
교육철학(교육사상) 도입과 발달, 교육철학(교육사상) 의의와 성격, 교육철학(교육사상) 분류...
현대교육철학사조
구성주의의 교수학습 원칙 (구성주의 정의, 구성주의와 객관주의 비교, 구성주의의 교수학습...
구성주의에 따른 교육평가방법 (구성주의 이론, 수행평가의 방법, 구성주의적 시각에 입각한 ...
본질주의 교육사조 [교육학] {본질주의 교육사상의 등장, 본질주의 교육원리, 본질주의에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