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① 비빔밥 ② 완자탕
2. ① 나박김치 ② 장국죽 ③ 섭산적
3. ① 만두국 ② 도라지생채 ③ 지짐누름적
4. ① 국수장국 ② 탕평채 ③ 제육구이
5. ① 북어찜 ② 떡산적 ③ 미나리강회
6. ① 생선찌개 ② 너비아니구이 ③ 호박선
7. ① 화양적 ② 비빔국수 ③ 닭찜
2. ① 나박김치 ② 장국죽 ③ 섭산적
3. ① 만두국 ② 도라지생채 ③ 지짐누름적
4. ① 국수장국 ② 탕평채 ③ 제육구이
5. ① 북어찜 ② 떡산적 ③ 미나리강회
6. ① 생선찌개 ② 너비아니구이 ③ 호박선
7. ① 화양적 ② 비빔국수 ③ 닭찜
본문내용
l, 설탕5g, 파1뿌리, 마늘2쪽, 깨소금2g, 식용유30ml, 후춧가루2g, 참기름5ml
② 완자탕- 쇠고기40g, 두부20g, 달걀1개, 밀가루10g, 파1/2뿌리, 마늘1쪽, 참기름5ml, 후춧가루2g, 간장5ml, 소금5g
● 실습방법:
① 비빔밥
1. 밥은 고슬고슬하게 짓는다.
2. 애호박은 0.3x0.3x5cm로 채썰어 소금에 절였다가 물기를 짠 후 기름에 볶으면서 다진 파, 마늘, 깨소금을 넣어 조미한다.
3. 도라지는 애호박과 같은 크기로 찢어 소금으로 주물러서 쓴 맛을 뺀 후 다진 파, 마늘, 깨소금, 참기름을 넣고 잘 무르도록 볶으면서 소금으로 간을 한다.
4. 고사리는 다듬어 5cm길이로 잘라서 양념장(다진 파, 마늘, 간장, 개소금, 참기름)에 무쳐 물을 조금씩 넣으면서 기름에 볶는다.
5. 청포묵은 0.5x0.5x5cm로 채썰어 소금, 참기름으로 무친다.
6. 달걀은 황백 지단을 부쳐 2.의 크기로 채썬다.
7. 쇠고기는 다져서 고추장볶이로 쓰고 나머지도 곱게 다져 양념장에 무쳐 물을 조금 붓고 기름에 부드럽게 볶는다.
8. 다시마는 기름에 볶아 잘게 부수어 놓는다.
9. 그릇에 밥을 담고 준비한 재료를 색 맞추어 돌려 담은 뒤 다시마 튀각, 황백 지단을 얹어서 낸다.
10. 볶은 고추장을 곁들여 낸다.
② 완자탕
1. 쇠고기의 반은 육수를 만들고 나머지는 살만 곱게 다진다.
2. 두부는 물기를 짜고 으깨어 쇠고기 다진 것과 섞어서 소금, 후춧가루, 파, 마늘, 참기름을 넣고 버무린 후 직경 2cm 정도의 완자를 만들어 밀가루를 묻힌다. 만든 완자는 소금을 넣고 풀은 달걀의 반 분량에 담그었다가 기름에 두른 팬에서 둥글게 굴려가며 지져 낸다.
3. 반 남은 달걀은 지단을 부쳐 마름모꼴로 썬다.
4. 육수는 간장과 소금으로 간을 맞추고, 끓으면 완자를 넣어 잠시 끓이다가 그릇에 담고 달걀 지단을 고명으로 얹어 낸다.
● 결과 및 평가:
- 우리조는 완자탕의 고기가 깨끗하지 못했다.
- 완자탕의 고기에 계란옷을 입힌게 지저분했다.
- 비빔밥은 괜찮았다.
- 처음하는 실습이라 미숙했지만, 열심히 했다.
● 학습란:
- 비빔밥의 유래:
비빔밥의 유래는 1800년대 말엽의 ‘시의전서’에 등장한다. 옛부터 내려오는 산신제, 동제 등은 집에서 먼 곳에서 지내므로 식기가 제대로 갖추어져 있지 않았다. 그러나 제물을 신인공식해야 하므로 그릇 하나에 이것저것을 받아 섞어서 먹게 되었다. 이것이 이른바 비빔밥이 되었을 것이며 곧 제삿밥에서 비빔밥으로 발달한 것이라고 보고 있다. 또한 궁중에서는 비빔밥을 골동반이라고 하여 섣달 그믐날에 만들어 먹었는데 골동반은 한자로 어지러운 ‘골’과 비빔밥 ‘동’으로 여러 재료가 고루 섞여 있는 밥이라는 뜻이다. 비빔밥은 지방의 향토음식으로 전주비빔밥, 진주비빔밥, 통영비빔밥이 있다. 전주비빔밥은 콩나물과 엿고추장, 청포묵이 들어가 있는 것이 특징이고, 진주비빔밥은 육회나 나물을 얹고 선지국을 곁들이며, 통영비빔밥은 생김무침과 무나물을 많이 넣은 것으로 각기 특징적인 맛을 낸다.
- 비빔밥의 특징:
비빔밥은 밥 위에 여러 가지 나물과 고기를 볶아서 한데 비벼먹는 밥으로 영양적으로 균형이 잘 이루어진 음식이다. 비빔밥에 이용되는 나물은 제철에 가장 흔하고 맛있는 채소를 세 가지 이상 준비하여 고추장과 함께 낸다.
- 완자탕의 유래:
완자탕은 조선 시대부터 있었던 국으로 ‘진연의궤’, ‘규합총서’, ‘산림경제’등의 문헌에서 찾아볼 수 있다. 완자탕은 궁중의 연회상에도 자주 차려졌던 음식으로 완자를 궁중에서는 완자 모양이 꽃봉오리같다 하여 봉오리라 하고, 민간에서는 모리라고도 해서 완자탕을 봉오리탕, 모리탕이라고도 부른다.
- 완자탕의 특징:
완자탕은 쇠고기, 두부를 다져서 동그랗게 완자를 빚어 넣어 끓인 맑은 국으로 반상보다는 교자상이나 주안상에 어울린다. 완자를 빚을 때에 잣을 하나씩 넣으면 씹히는 맛이 좋고, 두부를 섞어서 빚으면 고기만으로 빚은 것보다 부드럽다.
● 실습날짜: 3월 30일
● 실습제목: 4주차
① 나박김치
② 장국죽
③ 섭산적
● 실습재료:
① 나박김치- 무150g, 통배춧잎2장, 실파1뿌리, 미나리2줄기, 마늘2쪽, 생강1쪽, 고춧가루5g, 소금10g, 실고추5g
② 장국죽- 쌀120g, 쇠고기25g, 표고버섯1개, 참기름5ml
양념장- 간장5ml, 깨소금3g, 파1/2뿌리, 마늘1쪽, 후춧가루2g
③ 섭산적- 쇠고기(우둔)80g, 두부 30g, 파1뿌리, 마늘1쪽, 소금2.5g, 설탕2.5g, 후춧가루2g, 깨소금8g, 참기름2ml, 잣8개, 종이1장
● 실습방법:
① 나박김치
1. 배추를 가로 세로 2.5cm의 네모난 크기로 썬다.
2. 미나리를 줄기 부분만 사용하여 2.5cm 크기로 썬다.
3. 파도 2.5cm로 썬다.
4. 무도 껍질을 벗겨 0.2~0.3cm두께로 썬다.
5. 소금물(약간)에 무랑 배추를 살짝 절인다.
6. 고춧가루로 고춧물을 낸다. (체에 가재를 덮은 후, 그릇을 받치고 그 위에 체를 대고 물을 부으며 고춧물을 낸다. 색을 낸 후 소금간을 한다. 물은 끓인 후 식혀서 사용.)
7. 소금에 절여 둔 것은 물기를 짠다.
8. 고춧물에 넣는다.
9. 마늘(다지지 않음)과 생강을 채썬다.
10. 소금간을 해놓은 고춧물에 배추, 무를 넣고 미나리를 넣는다.
11. 실고추를 잘라서 넣는다.
② 장국죽
1. 쌀을 15~20분 정도 불린 후, 체에 물기를 빼고 일회용 팩에 넣는다.
2. 비닐팩에 들어간 쌀을 알갱이가 1/4로 부서질 정도로 빻는다.
3. 고기, 버섯이 들어가는데 버섯을 옆으로 슬라이스 한다. 꽁치는 뗀 후 채썬다.
4. 섭산적용 고기랑 약간만 섞어서 쓴다.
5. 양념장을 만든다.
6. 버섯도 양념을 해 놓는다.
7. 냄비에 참기름을 한큰술 두르고, 고기와 버섯을 같이 넣어 볶는다.
(고기는 뭉치지 않고 얇게 부서지게 볶는다.)
8. 빻아놓은 쌀을 함께 넣고 볶는다.
9. 쌀의 6배 정도의 물을 넣고 끓인다. (불세기를 약하게 하면서 계속 저어준다.)
10. 물이 반정도 줄고 쌀이 퍼지면, 간장을 넣고 색과 간을 맞춘다.
③ 섭산적
1. 두부를 곱게 으깬 후 가재에 넣고 물기를
② 완자탕- 쇠고기40g, 두부20g, 달걀1개, 밀가루10g, 파1/2뿌리, 마늘1쪽, 참기름5ml, 후춧가루2g, 간장5ml, 소금5g
● 실습방법:
① 비빔밥
1. 밥은 고슬고슬하게 짓는다.
2. 애호박은 0.3x0.3x5cm로 채썰어 소금에 절였다가 물기를 짠 후 기름에 볶으면서 다진 파, 마늘, 깨소금을 넣어 조미한다.
3. 도라지는 애호박과 같은 크기로 찢어 소금으로 주물러서 쓴 맛을 뺀 후 다진 파, 마늘, 깨소금, 참기름을 넣고 잘 무르도록 볶으면서 소금으로 간을 한다.
4. 고사리는 다듬어 5cm길이로 잘라서 양념장(다진 파, 마늘, 간장, 개소금, 참기름)에 무쳐 물을 조금씩 넣으면서 기름에 볶는다.
5. 청포묵은 0.5x0.5x5cm로 채썰어 소금, 참기름으로 무친다.
6. 달걀은 황백 지단을 부쳐 2.의 크기로 채썬다.
7. 쇠고기는 다져서 고추장볶이로 쓰고 나머지도 곱게 다져 양념장에 무쳐 물을 조금 붓고 기름에 부드럽게 볶는다.
8. 다시마는 기름에 볶아 잘게 부수어 놓는다.
9. 그릇에 밥을 담고 준비한 재료를 색 맞추어 돌려 담은 뒤 다시마 튀각, 황백 지단을 얹어서 낸다.
10. 볶은 고추장을 곁들여 낸다.
② 완자탕
1. 쇠고기의 반은 육수를 만들고 나머지는 살만 곱게 다진다.
2. 두부는 물기를 짜고 으깨어 쇠고기 다진 것과 섞어서 소금, 후춧가루, 파, 마늘, 참기름을 넣고 버무린 후 직경 2cm 정도의 완자를 만들어 밀가루를 묻힌다. 만든 완자는 소금을 넣고 풀은 달걀의 반 분량에 담그었다가 기름에 두른 팬에서 둥글게 굴려가며 지져 낸다.
3. 반 남은 달걀은 지단을 부쳐 마름모꼴로 썬다.
4. 육수는 간장과 소금으로 간을 맞추고, 끓으면 완자를 넣어 잠시 끓이다가 그릇에 담고 달걀 지단을 고명으로 얹어 낸다.
● 결과 및 평가:
- 우리조는 완자탕의 고기가 깨끗하지 못했다.
- 완자탕의 고기에 계란옷을 입힌게 지저분했다.
- 비빔밥은 괜찮았다.
- 처음하는 실습이라 미숙했지만, 열심히 했다.
● 학습란:
- 비빔밥의 유래:
비빔밥의 유래는 1800년대 말엽의 ‘시의전서’에 등장한다. 옛부터 내려오는 산신제, 동제 등은 집에서 먼 곳에서 지내므로 식기가 제대로 갖추어져 있지 않았다. 그러나 제물을 신인공식해야 하므로 그릇 하나에 이것저것을 받아 섞어서 먹게 되었다. 이것이 이른바 비빔밥이 되었을 것이며 곧 제삿밥에서 비빔밥으로 발달한 것이라고 보고 있다. 또한 궁중에서는 비빔밥을 골동반이라고 하여 섣달 그믐날에 만들어 먹었는데 골동반은 한자로 어지러운 ‘골’과 비빔밥 ‘동’으로 여러 재료가 고루 섞여 있는 밥이라는 뜻이다. 비빔밥은 지방의 향토음식으로 전주비빔밥, 진주비빔밥, 통영비빔밥이 있다. 전주비빔밥은 콩나물과 엿고추장, 청포묵이 들어가 있는 것이 특징이고, 진주비빔밥은 육회나 나물을 얹고 선지국을 곁들이며, 통영비빔밥은 생김무침과 무나물을 많이 넣은 것으로 각기 특징적인 맛을 낸다.
- 비빔밥의 특징:
비빔밥은 밥 위에 여러 가지 나물과 고기를 볶아서 한데 비벼먹는 밥으로 영양적으로 균형이 잘 이루어진 음식이다. 비빔밥에 이용되는 나물은 제철에 가장 흔하고 맛있는 채소를 세 가지 이상 준비하여 고추장과 함께 낸다.
- 완자탕의 유래:
완자탕은 조선 시대부터 있었던 국으로 ‘진연의궤’, ‘규합총서’, ‘산림경제’등의 문헌에서 찾아볼 수 있다. 완자탕은 궁중의 연회상에도 자주 차려졌던 음식으로 완자를 궁중에서는 완자 모양이 꽃봉오리같다 하여 봉오리라 하고, 민간에서는 모리라고도 해서 완자탕을 봉오리탕, 모리탕이라고도 부른다.
- 완자탕의 특징:
완자탕은 쇠고기, 두부를 다져서 동그랗게 완자를 빚어 넣어 끓인 맑은 국으로 반상보다는 교자상이나 주안상에 어울린다. 완자를 빚을 때에 잣을 하나씩 넣으면 씹히는 맛이 좋고, 두부를 섞어서 빚으면 고기만으로 빚은 것보다 부드럽다.
● 실습날짜: 3월 30일
● 실습제목: 4주차
① 나박김치
② 장국죽
③ 섭산적
● 실습재료:
① 나박김치- 무150g, 통배춧잎2장, 실파1뿌리, 미나리2줄기, 마늘2쪽, 생강1쪽, 고춧가루5g, 소금10g, 실고추5g
② 장국죽- 쌀120g, 쇠고기25g, 표고버섯1개, 참기름5ml
양념장- 간장5ml, 깨소금3g, 파1/2뿌리, 마늘1쪽, 후춧가루2g
③ 섭산적- 쇠고기(우둔)80g, 두부 30g, 파1뿌리, 마늘1쪽, 소금2.5g, 설탕2.5g, 후춧가루2g, 깨소금8g, 참기름2ml, 잣8개, 종이1장
● 실습방법:
① 나박김치
1. 배추를 가로 세로 2.5cm의 네모난 크기로 썬다.
2. 미나리를 줄기 부분만 사용하여 2.5cm 크기로 썬다.
3. 파도 2.5cm로 썬다.
4. 무도 껍질을 벗겨 0.2~0.3cm두께로 썬다.
5. 소금물(약간)에 무랑 배추를 살짝 절인다.
6. 고춧가루로 고춧물을 낸다. (체에 가재를 덮은 후, 그릇을 받치고 그 위에 체를 대고 물을 부으며 고춧물을 낸다. 색을 낸 후 소금간을 한다. 물은 끓인 후 식혀서 사용.)
7. 소금에 절여 둔 것은 물기를 짠다.
8. 고춧물에 넣는다.
9. 마늘(다지지 않음)과 생강을 채썬다.
10. 소금간을 해놓은 고춧물에 배추, 무를 넣고 미나리를 넣는다.
11. 실고추를 잘라서 넣는다.
② 장국죽
1. 쌀을 15~20분 정도 불린 후, 체에 물기를 빼고 일회용 팩에 넣는다.
2. 비닐팩에 들어간 쌀을 알갱이가 1/4로 부서질 정도로 빻는다.
3. 고기, 버섯이 들어가는데 버섯을 옆으로 슬라이스 한다. 꽁치는 뗀 후 채썬다.
4. 섭산적용 고기랑 약간만 섞어서 쓴다.
5. 양념장을 만든다.
6. 버섯도 양념을 해 놓는다.
7. 냄비에 참기름을 한큰술 두르고, 고기와 버섯을 같이 넣어 볶는다.
(고기는 뭉치지 않고 얇게 부서지게 볶는다.)
8. 빻아놓은 쌀을 함께 넣고 볶는다.
9. 쌀의 6배 정도의 물을 넣고 끓인다. (불세기를 약하게 하면서 계속 저어준다.)
10. 물이 반정도 줄고 쌀이 퍼지면, 간장을 넣고 색과 간을 맞춘다.
③ 섭산적
1. 두부를 곱게 으깬 후 가재에 넣고 물기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