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는 수화교실을 친구와 함께 듣기로 했었는데 교양과목으로 개설되어 매우 기쁘다. 현재 학교내에 수화동아리는 어느 학교든 쉽게 찾을 수 있듯 수화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은 긍정적인 편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분위기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으며 이러한 분위기를 더하여 청각장애인의 불편함을 일반인들 역시 인식하고 그들과 함께 공존 할 수 있는 바람직한 사회분위기를 형성하도록 힘써야 할 것이다.
외국의 경우 청각장애인들이 사용할 수 있는 전화기가 보급되어있고 청각장애인들의 보행안전을 위해서 그들이 사용하는 도로에는 표지판을 설치하는 등 세세한 배려가 돋보이는 것 같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현실은 아직 많이 부족한 듯 싶다. 얼마 전 신문에서 장애인 청소년 학교 앞에 마을버스가 지나가게 되면서 학교측과 지역사회의 충돌이 일어났다는 기사를 본적이 있다. 마을 주민들은 장애인들의 안전보다는 자신들의 편의가 먼저라는 입장이었따. 물론 이 문제가 청각 장애인의 문제는 아닐지 모르지만 이러한 장애인 문제에 있어서 자신의 일이 아니라는 생각으로 무조건 자신의 이익만 챙기려는 태도는 바람직하지 못하며 장애인을 우리 가족이라고 생각하고 그들의 관점에서 배려해야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외국의 경우 청각장애인들이 사용할 수 있는 전화기가 보급되어있고 청각장애인들의 보행안전을 위해서 그들이 사용하는 도로에는 표지판을 설치하는 등 세세한 배려가 돋보이는 것 같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현실은 아직 많이 부족한 듯 싶다. 얼마 전 신문에서 장애인 청소년 학교 앞에 마을버스가 지나가게 되면서 학교측과 지역사회의 충돌이 일어났다는 기사를 본적이 있다. 마을 주민들은 장애인들의 안전보다는 자신들의 편의가 먼저라는 입장이었따. 물론 이 문제가 청각 장애인의 문제는 아닐지 모르지만 이러한 장애인 문제에 있어서 자신의 일이 아니라는 생각으로 무조건 자신의 이익만 챙기려는 태도는 바람직하지 못하며 장애인을 우리 가족이라고 생각하고 그들의 관점에서 배려해야한다는 생각이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