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정도구의_타당성과_신뢰성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측정도구의_타당성과_신뢰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측정도구 (Measurement)
1. 측정도구의 의의
2. 측정의 의미
3. 측정수준(척도)
1) 명목척도 (nominal scale)
2) 서열척도 (ordinal scale)
3) 등간척도 (interval scale)
4) 비율척도 (ratio scale)

Ⅲ. 타당성 (Validity)
1. 개념과 의의
2. 형태
1) 내적타당도와 외적타당도
2) 내용타당도
3) 현재와 미래의 예측타당도
4) 구성적 타당도
5) 주관적 타당도
3. 측정(평가) 방법
1) 내용타당도
① 논리적 타당도 (Logical Validation)
② 관계자 의견 (Jury Opinion)
③ 집단 비교법 (Known Groups)
④ 독립적 기준 (Independent Criteria)
2) 구성적 타당도

Ⅳ. 신뢰성 (Reliability)
1. 개념과 의의
2. 측정(평가)방법
1) 재조사법 (Test Retest)
2) 복수양식법 (Multiple Form)
3) 반분법 (Split - Half)
3. 신뢰도의 개선방법 (Maxmincon Principle)
1) 개념
2) 구체적 방법

Ⅴ. 타당성과 신뢰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Ⅵ. 결 론

본문내용

전후에 걸쳐 두 번 실시할 때 처음 검사에서의 응답을 기억하는 능력은 두 번째 검사의 응답에 영향을 미친다.
4) 사회적 요청(social desirability)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것으로 인정되는 것이 포함될 경우 이것은 응답자의 전반적인 응답형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즉 응답자들은 자신들의 진실을 밝히기 보다 사회적으로 바람직하다고 하는 것을 응답할 가능성이 많다는 것이다. 확실히, 측정의 타당성과 신뢰성에 영향을 미치는 이러한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요청의 효과를 무시해서는 안될 것이다.
4. 조사자의 해석
조사자가 결과를 어떻게 해석하는가에 따라 신뢰성과 타당성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다. 부호화, 즉 조사자는 자신이 수집한 정보를 자기가 원하는 대로 부호화할 수 있는데, 신뢰성과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부호화의 객관성을 최대화해야 한다. 그리고 어떤 태도의 측정결과 획득한 점수의 해석이 신뢰성과 타당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Ⅵ. 결 론
이상에서 사회과학의 조사연구에 사용되는 측정도구의 타당성과 신뢰성에 대하여 각각의 개념과 평가방법을 중심으로 알아보았다. 그리고 이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이에 결론에서는 타당성과 신뢰성의 상호관계를 살펴보는 것으로 정리하고자 한다.
사회과학 연구의 측정에 있어서 연구방법의 정확성 확보를 위한 측정도구의 타당성과 신뢰성의 확보는 양자 모두가 중요하지만 그 중요성의 초점이 일반적으로 타당성 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이는 측정평가의 주된 관심이 조사자가 측정하고자 하는 바를 얼마나 정확하게 측정했느냐 하는 관심에서부터 시작되기 때문일 것이다. 또한 측정에 있어 신뢰성을 기한다는 것도 대단히 어렵고 기술적이나, 타당성의 문제는 과학적 연구의 핵심이며 동시에 철학적인 뒷받침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더 중요한 것으로 여겨지는 이유 때문일 것이다. 즉, 측정도구의 신뢰성이 타당성에 비해 확보하기가 용이한 이점이 있긴 하지만 일반적으로 타당성의 수립이 보다 더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신뢰성과 타당성과의 관계는 이처럼 단순하게 타당성에 가치의 중심을 두는 것으로 모든 것이 설명되지는 않는다. 그 이유는 실제의 경우에 있어서 많은 경우 타당성이 결여되어 있기 때문에 신뢰성의 가치가 드러난다는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타당성이 있는 측정은 항상 신뢰성이 있다.
둘째, 타당성이 없는 측정은 신뢰성이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
셋째, 신뢰성이 있는 측정은 타당도가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
넷째, 신뢰성이 없는 측정은 타당도가 없다.
결과적으로 측정은 정확하여하며 측정도구의 신뢰성과 타당성이 높아야만 과학적인 측정의 의의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회과학의 조사연구에 있어 조사자는 측정에 있어서 두 가지 기준이 모두 만족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
참 고 도 서
권우상, 『주제중심 신조사방법론』, 서울, 법전출판사, 1985.
김동기, 『조사방법론』, 서울, 대왕사, 1975.
김석준, 『조사방법론』, 서울, 대명출판사, 1976.
김해동, 『조사방법론』, 서울, 법문사, 1993.
남궁근, 『행정조사방법론』, 서울, 법문사, 1998.
이명해, 『조사방법론』, 서울, 광문사, 1990.
이만갑, 『사회조사방법론』, 서울, 한국학습교재사, 1983.
이원욱, 『조사방법론』, 서울, 경진사, 1991.
한영춘, 『현대조사방법론』, 서울, 법지사, 1992.
홍두승, 『사회조사분석』, 서울, 다산출판사, 1992.

키워드

  • 가격2,7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7.08.09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44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