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순서>
1. 고위공무원단제도 운영 일반
2. 고위공무원단 개방형. 공모직위 운영
3. 인사심사 및 적격심사 등
4. 후보자교육과정 및 역량평가
5. 직무분석 및 직무등급 설정
6. 직무성과급적 연봉제 운영
7. 고위공무원단 제도에 대한 나의 생각(평가)
1. 고위공무원단제도 운영 일반
2. 고위공무원단 개방형. 공모직위 운영
3. 인사심사 및 적격심사 등
4. 후보자교육과정 및 역량평가
5. 직무분석 및 직무등급 설정
6. 직무성과급적 연봉제 운영
7. 고위공무원단 제도에 대한 나의 생각(평가)
본문내용
연봉책정
-.연봉책정대상자 : 2006년 7월 1일 고위공무원단에 속하는 공무원.
② 성과연봉 지급방안
S등급
A등급
B등급
C등급
20%
30%
40%
10%
-.평가등급별 인원비율
③ 성과연봉 지급액
-. 성과연봉지급기준액 평가등급별지급률
-. 성과연봉지급액: 단일의 성과연봉 지급 기준
-. 평가등급별 지급률(2007년): 성과연봉의 지급률 차등을 확대 적용
평가등급
S등급
A등급
B등급
C등급
지급율(%)
현행
7
5
3
0
개정
15
10
5
(S등급 지급액을 B등급의 230%에서 300%로 확대 지급)
구분
현행제도 좋은 점
현행제도 우려되는 점
1
외부 전문가 공직진출의 기회제공.
공직사회의 근무의욕 상실 및 사기저하.
인사적체 우려.
2
공모직위 신설로 자기의 전문분야 및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타 직무로 이동의 기회부여.
조직의 분위기 적응과 유관 업무파악에 많은
시간 소비 염려 및 업무의 연속성 중단이 우려됨.
3
고위공무원단은 1-3급의 구분이 없어,
업무간, 정책간 위계질서 보다는 민주적인
요소가 가미된 협의체적 분위기 가능
전통적으로 공직사회는 계급제에 의한 피라미드 사회였으며, 일반 기업과는 다르게 이런 계급 사회의 질서가 붕괴되어 일관되고 신속한 업무 추진에 장애가 발생할 우려가 있음.
4
구태의연한 자리지키기식 공직사회가 아닌
성과도출을 위해 최선의 노력과 봉사를 하는 분위기 조성.
공직의 특성(국민에게 봉사)이 무시되고, 공직자 개인에게 평가되는 성과위주의 편의 또는 무리한 업무 추진으로 공익 보다는 성과가 우선시 됨.
7. 고위공무원단 제도에 대한 나의 생각(평가)
-.연봉책정대상자 : 2006년 7월 1일 고위공무원단에 속하는 공무원.
② 성과연봉 지급방안
S등급
A등급
B등급
C등급
20%
30%
40%
10%
-.평가등급별 인원비율
③ 성과연봉 지급액
-. 성과연봉지급기준액 평가등급별지급률
-. 성과연봉지급액: 단일의 성과연봉 지급 기준
-. 평가등급별 지급률(2007년): 성과연봉의 지급률 차등을 확대 적용
평가등급
S등급
A등급
B등급
C등급
지급율(%)
현행
7
5
3
0
개정
15
10
5
(S등급 지급액을 B등급의 230%에서 300%로 확대 지급)
구분
현행제도 좋은 점
현행제도 우려되는 점
1
외부 전문가 공직진출의 기회제공.
공직사회의 근무의욕 상실 및 사기저하.
인사적체 우려.
2
공모직위 신설로 자기의 전문분야 및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타 직무로 이동의 기회부여.
조직의 분위기 적응과 유관 업무파악에 많은
시간 소비 염려 및 업무의 연속성 중단이 우려됨.
3
고위공무원단은 1-3급의 구분이 없어,
업무간, 정책간 위계질서 보다는 민주적인
요소가 가미된 협의체적 분위기 가능
전통적으로 공직사회는 계급제에 의한 피라미드 사회였으며, 일반 기업과는 다르게 이런 계급 사회의 질서가 붕괴되어 일관되고 신속한 업무 추진에 장애가 발생할 우려가 있음.
4
구태의연한 자리지키기식 공직사회가 아닌
성과도출을 위해 최선의 노력과 봉사를 하는 분위기 조성.
공직의 특성(국민에게 봉사)이 무시되고, 공직자 개인에게 평가되는 성과위주의 편의 또는 무리한 업무 추진으로 공익 보다는 성과가 우선시 됨.
7. 고위공무원단 제도에 대한 나의 생각(평가)
소개글